타카스기 신사쿠

250px-Shinsaku_Takasugi.jpg

高杉晋作(たかすぎ しんさく)

텐포 10년 8월 20일(1839년 9월 27일) - 케이오 3년 4월 14일(1867년 5월 17일)


일본판 모택동

일본 막말기, 조슈 번존황양이 지사.

야마구치현, 하기시 출생. 봉록 200석의 번사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세 명의 여동생이 있었다.
10살 때, 천연두를 앓았다. 한자 서당을 거쳐, 1852년 번교 명륜관에 다녔다. 1854년에는 아버지를 따라 에도에 가서 미일화친조약을 위해 일본을 다시 찾아 온 페리 제독의 흑선(쿠로후네) 사건으로 혼돈에 휩싸인 국내 정세를 체험했다.
857년 요시다 쇼인의 송하촌숙에 문하생으로 들어갔다. 일본을 외적으로부터 지켜내기 위해서라면 막부를 무너뜨려도 된다는 과격 사상을 가르치는 쇼인은 그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적을 무찌르기 위해서는 적을 알아야 한다." 서양의 외적을 대항하기 위해서는 적대하기 보다 오히려 그들의 힘을 알고자 그 나라에 가서 살필 필요가 있다는 가르침을 받았다.
송하촌숙의 동문이자 죽마고우였던 쿠사카 겐즈이와 쌍벽을 이루는 수재로 평가받았다. 두 사람은 라이벌이었는데, 쿠사카는 180cm가 넘는 장신이었고, 타카스키는 키가 작은 것이 컴플렉스여서 서서 찍은 사진은 한 장도 없다.

1858년 번의 명령으로 에도로 유학, 1859년 스승 요시다 쇼인이 안세이 대옥으로 수감되자 옥중수발을 들었다. 번의 명령으로 초슈 번으로 돌아오는 도중 요시다 쇼인은 참수당했다. 1860년 귀향 후 결혼한다.

1861년에는 해군 수련을 위해 에도로 유학, 토호쿠 지방을 여행하고, 사쿠마 쇼잔과도 교제했다.
1862년 에도 막부의 사절단의 응모에 뽑햐사 그 일행으로 두 달간 청나라 상하이에 처음으로 외국을 접하고, 아편전쟁 이후로 서양의 식민지화가 되고 있는 중국의 실태와 태평천국의 난을 보고 귀국했다. 인생에 큰 영향을 받았다는 기록을 남겼다. 일본도 이대로라면 그 큰 중국이 당한 것 이상으로 서양 세력한테 농락당하리는 위기감을 느꼈다.
한편, 이때 상하이에서 구입한 권총을 훗날 사카모토 료마에게 호신용 선물로 준 일화가 있다.

이즈음 초슈 번은 보수파가 실각하고 존황양이파가 대두한다. 12월 12일에는 막부에 항의하기 위해 동지들과 에도의 시나가와에 건설중이던 영국대사관을 불태워버리는 방화사건을 저지르고 막부에 쫓기는 몸이 된다.

1863년시모노세키 전쟁이 발발하고, 6월에 기병대(奇兵隊, 키헤이타이)를 창설한다. 기병대는 이전까지 사무라이 계급으로 구성된 군대라는 전통을 무시하고, 신분 계급을 가리지않고 일반 서민들도 받아들인 민병대였다. 무진전쟁에서는 신정부군의 일익으로 활약했고, 국민개병제의 원형이 되었다. 일본군 창설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초창기에는 문제가 많아 기병대가 시모노세키 전쟁에서 패한 선봉대를 겁쟁이 무사라고 욕하는 등 대립하다 벌어진 1863년 쿄호지 사건으로 3개월간 기병대 총독에서 물러난 적도 있었다. 그러나 기병대는 훗날 쵸슈번의 강력한 무력이 되었다. 일본군 초대 육군 총감 야마가타 아리토모 또한 기병대 출신이다.

시모노세키 전쟁 전후처리의 강화회의에서는 초슈 번 대표로 참석했다. 이토 히로부미가 통역을 맡았는데, 히코시마홍콩처럼 차지하려고 하자, 타카스기는 뜬금없이 고사기를 줄줄 읆으면서 시간을 끌며 논점을 흐리고 없던 일이 만들었다고 한다.

1865년 막부에 의한 제1차 초슈 정벌로 보수파가 정권을 잡고, 토막파가 숙청되자, 시모노세키로 돌아와 200명의 키헤이타이와 동지들의 연합부대로 쿠데타를 일으켜 실권을 쥔다.

1866년 6월 제2차 초슈 정벌에서는 초슈 번 해군총독으로 막부군의 함대와 싸웠다. 7월 20일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가 사망하고, 사실상 막부군은 패퇴했다.

이후 지병인 폐결핵으로 요양을 하다, 1867년 5월 17일 사망. 향년 29살.

병상에서 남겼다는 사세구「おもしろき こともなき世を おもしろく」(재미난 일도 없는 세상을 재미있게)가 유명하다.

도도이츠[1]「三千世界の鴉を殺し、主と添寝がしてみたい」(삼천세계까마귀를 죽이고, 서방님과 늦잠[2]을 자고 싶구나)를 지었다고도 알려져 있다.[3] 그러나 이 시는 타카스기 신사쿠가 아니라 기도 다카요시가 지었다는 설도 있어 확실한 건 알 수 없다.

미디어믹스

  1. 都々逸(どどいつ). 구어조로 된 속곡. 가사는 7·7·7·5의 4구로 되었으며, 내용은 주로 남녀간의 애정에 관한 것임.
  2. '아침잠'(寝寝)이라고도 함.
  3. 이 시구는 은혼/낙양결전편 작중에서 다카스기 신스케의 입을 통해 언급된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