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시설물 | |
체육시설 | 김일성경기장 · 류경정주영체육관 · 릉라도5월1일경기장 · 마식령 스키장 · 빙상관 · 서산축구경기장 · 양각도축구경기장 · 태권도전당 · 평양보링관 · 평양체육관 · 미림 승마구락부 |
식사 · 숙박시설 | 옥류관 · 류경 호텔 · 고려호텔 · 양각도국제호텔 · 평양호텔 |
유희시설 | 문수 물놀이장 · 조선중앙동물원 · 만경대 유희장 |
의료시설 | 평양산원 |
정치시설 | 만수대 의사당 |
군사시설 | 상원동 미사일 기지 · 판문점 |
도로시설 | 고속도로#s-5.2 · 대동강의 교량 · 압록강철교 |
철도시설 | 북한의 철도 환경 · 철도 노선 정보/북한 · 평양 지하철 · 평양전차 |
항구시설 | 서해갑문 · 남포항 · 원산항 · 청진항 · 해주항 · 흥남항 · 라선항 |
공항시설 | 평양순안국제공항 · 원산국제공항 · 청진공항 |
기념물 | 평양 개선문 · 주체사상탑 · 금수산태양궁전 ·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 · 당창건기념탑 · 북관대첩비 · 영생탑 · 천리마동상 · 해방탑 ·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
유적지 | 정일봉 · 단군릉 · 보통문 · 대동문 · 동명왕릉 · 총석정 · 백상루 · 박연폭포 · 광법사 · 만월대 · 안학궁 · 대성산성 · 평양성 · 함흥본궁 · 선죽교 · 현릉 · 현정릉 |
세계유산 | 개성역사유적지구 · 평양·남포 고구려 고분군 |
수용소 | 정치범수용소 |
산업체 | 대동강텔레비전수상기공장 · 아동식료품공장 · 순천구두공장 · 승리자동차연합기업소 · 김종태전기기관차연합기업소 · 흥남비료연합기업소 · 2.8비날론련합기업소 · 김책수산사업소 · 운곡목장 |
교육시설 | 김일성종합대학 · 김책공업종합대학 · 인민대학습당 · 평양과학기술대학 · 고려성균관 · 김책수산사업소유치원 · 자강도 강계시 동문유치원 · 천리마련합제강기업소유치원 · 평양정오1유치원 · 평양관광대학 · 미림 군사대학 |
박물관 | 과학기술전당 · 3대혁명전시관 · 당창건기념관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 조선민속박물관 · 조선중앙력사박물관 · 조선혁명박물관 · 조선인민군 무장장비관 |
종교시설 | 장충성당 · 정백사원 · 봉수교회 · 정릉사 · 금강사 |
平壤體育館 / Pyongyang Gymnasium
평양 모란봉구역에 자리잡고 있는 실내 체육관. 부지 면적 약 350,000m², 연건축 면적 약 70,000m²로, 북한 최대의 실내 체육관이다. 한국전쟁 종료 후 대파된 평양 시가지를 복구하면서 체육 시설에 대한 공사도 진행되었지만, 대부분 야외 운동장 형태의 경기장 정도였고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체육 경기를 치를 수 있는 대규모 실내 체육관은 없는 상태였다.
1970년대 이후 북한이 각종 세계 대회 유치에 뛰어들면서 실내 체육 시설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김일성의 지시로 1972년에 착공해 1973년 4월 8일에 완공했다. 총 4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는 직사각형으로 한 면을 무대처럼 쓸 수 있도록 설계해 체육 경기 외에 대규모 집회 등의 행사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정확한 좌석 수는 불명이지만, 고정 좌석만 헤아려 보면 최대 20,0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라고 집계되고 있다.
개관 후 북한의 대표적 체육 시설로 홍보되고 있지만, 노후화 문제가 불거지자 2012년 5월에 김정은이 대규모 개보수 공사를 진행하도록 지시해 이듬해 10월 3일에 재개관했다. 공사는 주로 조명 밝기(조도) 조정과 바닥 보수, 전광판 교체, 음향 시설 추가, 경기에 참가하는 선수와 감독을 위한 개별 휴게실과 훈련실, 식당 등 부대시설 확충 등에 집중되었다고 한다. 김정은 집권 후 체육 강국이라는 슬로건 아래 각종 체육 경기가 개최되고 있으며, 김일성/김정일 추도 대회 등 전국 단위 대규모 정치 집회 개최장, 해당 집회 참가자들이 김정은을 비롯한 당정군 수뇌부와 기념 사진을 찍을 때의 실내 촬영장[1], 출연 인원 1,000명 이상의 대규모 공연을 위한 공연장으로도 사용되고 있다.[2] 집회나 공연 때는 무대형 공간 뒤에 있는 객석을 가리는 차양막을 치고 그 앞에 주석단이나 무대를 마련하는 식으로 활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