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시설물 | |
체육시설 | 김일성경기장 · 류경정주영체육관 · 릉라도5월1일경기장 · 마식령 스키장 · 빙상관 · 서산축구경기장 · 양각도축구경기장 · 태권도전당 · 평양보링관 · 평양체육관 · 미림 승마구락부 |
식사 · 숙박시설 | 옥류관 · 류경 호텔 · 고려호텔 · 양각도국제호텔 · 평양호텔 |
유희시설 | 문수 물놀이장 · 조선중앙동물원 · 만경대 유희장 |
의료시설 | 평양산원 |
정치시설 | 만수대 의사당 |
군사시설 | 상원동 미사일 기지 · 판문점 |
도로시설 | 고속도로#s-5.2 · 대동강의 교량 · 압록강철교 |
철도시설 | 북한의 철도 환경 · 철도 노선 정보/북한 · 평양 지하철 · 평양전차 |
항구시설 | 서해갑문 · 남포항 · 원산항 · 청진항 · 해주항 · 흥남항 · 라선항 |
공항시설 | 평양순안국제공항 · 원산국제공항 · 청진공항 |
기념물 | 평양 개선문 · 주체사상탑 · 금수산태양궁전 ·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 · 당창건기념탑 · 북관대첩비 · 영생탑 · 천리마동상 · 해방탑 ·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
유적지 | 정일봉 · 단군릉 · 보통문 · 대동문 · 동명왕릉 · 총석정 · 백상루 · 박연폭포 · 광법사 · 만월대 · 안학궁 · 대성산성 · 평양성 · 함흥본궁 · 선죽교 · 현릉 · 현정릉 |
세계유산 | 개성역사유적지구 · 평양·남포 고구려 고분군 |
수용소 | 정치범수용소 |
산업체 | 대동강텔레비전수상기공장 · 아동식료품공장 · 순천구두공장 · 승리자동차연합기업소 · 김종태전기기관차연합기업소 · 흥남비료연합기업소 · 2.8비날론련합기업소 · 김책수산사업소 · 운곡목장 |
교육시설 | 김일성종합대학 · 김책공업종합대학 · 인민대학습당 · 평양과학기술대학 · 고려성균관 · 김책수산사업소유치원 · 자강도 강계시 동문유치원 · 천리마련합제강기업소유치원 · 평양정오1유치원 · 평양관광대학 · 미림 군사대학 |
박물관 | 과학기술전당 · 3대혁명전시관 · 당창건기념관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 조선민속박물관 · 조선중앙력사박물관 · 조선혁명박물관 · 조선인민군 무장장비관 |
종교시설 | 장충성당 · 정백사원 · 봉수교회 · 정릉사 · 금강사 |
500px
정릉사의 복원도.
정릉사(定陵寺)
1 개요
한국 평양에 있었던 고구려의 사찰. 백제의 미륵사, 신라의 황룡사와 함께 삼국시대를 대표하는 사찰이기도 하다. 대표적인 한국 건축물 중 하나. 평양특별시 역포구역 무진리[2]에 위치. 동명왕릉 앞에 있으며, 현재는 부분 복원되었다. 비슷한 고구려 사찰로는 청암리 사지가 있다.
2 역사
372년에 전진에서 고구려로 불교가 전래되었으며, 375년 2월에 한국 역사상 최초의 절인 초문사(肖門寺)[3]가 세워진다. 초문사의 주지는 경문을 가져와 불교를 전래한 전진의 승려 순도(順道)가 맡았으며, 비슷한 시기에 세워진 이불란사(伊弗蘭寺)의 주지는 동진의 승려 아도(阿道)가 맡게 되었다.[4] 이후 고구려는 수도를 평양으로 옮기면서 393년에 평양에 9개의 절(九寺)을 건립한다.
정릉사는 이 9개의 절 중 하나로 추정되며, 5세기 초에 세운 절로 보기도 한다. 북한의 학자들은 고구려가 천도하면서 시조인 동명왕의 능을 평양으로 옮겼고, 정릉사는 이 능을 지키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추측한다. 능을 지키는 절이라는 의미의 '정릉(定陵)'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출토 기와가 증거로 꼽힌다. 실제로 정릉사지 뒷편의 숲에는 왕릉이 있다.
3 가람
1탑 3금당식이며, 중앙의 큰 탑을 동서북에서 금당이 애워싸고 있는 독특한 형식이다. 이 가람배치는 일본의 최초의 절인 아스카데라(飛鳥寺)[5]에서도 발견된다. 다만 아스카데라는 백제의 왕흥사가 모델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백제가 고구려의 가람배치를 모방한 적이 있을 것이라고 추측할 뿐이다. 아무튼 정릉사는 총 3만㎡의 넓은 면적을 가진 절로, 223m, 남북 132.8m의 회랑에 둘러싸여 동서로 병렬된 5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 특이한 것은 돌을 가지런하게 쌓은 물 도랑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가람배치 때문에 고구려의 절은 금당보다 탑을 더 중요하게 생각했을 것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 탑을 둘러 보호하는 형국이며, 금당이 모두 탑을 바라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은 비슷한 1탑 3금당식의 신라사찰인 분황사와도 차이가 있다.[6] 다층 목탑 역시 평면이 팔각탑이라는 점에서 신라, 백제와는 큰 차이가 있다. 돌 기단의 너비가 20.4m이며, 목탑의 팔각 중 한 변의 길이는 약 8.4m로 상당히 큰 탑이었을 것이다. 기단의 너비 등으로 추측하면 높이가 60~70m급 목탑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 정릉사 부분 복원 모형
고구려의 출토 유물 중에는 붉은 기와가 있는데, 이를 반영해서 지붕이 전부 붉은 것으로 만들어져 있다. 안학궁과 아차산에서 이러한 기와가 발견되었는데, 그 때문에 아차산에 새로 만들어진 정자도 이러한 모습을 반영했다. 아차산 정자
정릉사의 뒤쪽에는 거의 완전한 우물이 발굴되었다. 그 안에서 투구, 방패, 보습을 비롯한 5종의 철제품이 나왔고, 정릉사의 머리글자인 '정'자가 새겨진 자배기를 비롯한 질그릇들, 그리고 호랑이, 사슴, 노루, 너구리를 비롯한 11종의 짐승뼈 등 모두 35종에 1,130점이나 되는 유물이 나왔다. 절에서 살생이라도 하며 제사를 지낸 것인가? 흠좀무. 고구려의 패기가 느껴진다.[7]
4 복원
북한은 1974년에 발굴작업을 한 후 이 절의 일부분을 복원하였다. 금당들과 정문, 회랑 일부를 복원하였지만 목탑은 복원하지 않고 작은 석탑으로 대체하였다.[8]
단청이 꽤 독특해서 이슈가 되었었다. 가끔 이 정릉사 복원이 남한의 복원보다 낫다는 의견도 있다. 실제로 남한의 경우 단청을 천편일률적으로 조선시대 형태로 칠하지만[9] 정릉사의 단청의 경우엔 4~6세기경에 그려졌던 고구려 고분내 벽화에서 묘사된 건축물 단청을 문양부터 색상까지 전부 복붙한 수준이라 고증 면에서도 근거가 있다고 볼 수 있다.[10] 또한 고구려 유적 발굴을 통하여 밝혀진 대로 붉은색 기와를 쓴 것도 특징. 다만, 중앙의 목탑이 복원되지 못하고 석탑으로 대체된 부분이나 경제적 사정상 불상에 금박을 못 입히고 비슷한 색으로 칠을 한 점이 좀 안습. 사진들 참고로 저기 사진에 있는 붉은 옷을 입은 북한 승려들은 전부 통일전선부 산하 요원들이다. 가끔 등장하는 봉수교회의 목사라든가 하는 종교 관계자들도 마찬가지.
원칙적으로 공산주의 국가에는 종교란 것이 없다. 물론 북한이 공산주의냐고 물으신다면...드릴 말씀이... 북한에서 그나마 쳐주던 종교는 천도교로 천도교청우당이라는 관제 야당이 있다. 다만 1980년대 들어 국제 사회의 시선을 의식해서인지 교회, 성당도 세우고 종교를 탄압하지 않는다는 퍼포먼스를 하고는 있지만 말 그대로 퍼포먼스이다. 정부에서 발간하는(뭐, 진보든 보수든 어느시절 정부든) 북한관련 책자를 접해보면 개신교, 천주교, 정교회, 불교 등의 종교시설도 분명 존재하고 각각의 성직자들에 의해서[11] 종교생활이 유지는 되고 있다. 어쨌든 종교라는 게 존재하기는 하는 것이다.[12]
북한에도 승려나 성직자가 있다고는 하지만 실상은 조선로동당원으로 일과 이후 껍데기만 종교인임으로서 종교 시설에 찾아온 주민들을 감시한다. 그래서 북한 주민들은 예배, 예불이 금지되어있다. 물론 속으로만 기도를 드리고 가기만 한다는듯.
5 기타
구글 어스로 보면 부근에 김씨 일가의 별장이 2채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북한의 국보 184호이다.
- ↑ 조선 시대부터 해당 무덤이 동명왕의 무덤이라는 전승이 있기는 했지만, 확실한 증거는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엄밀하게 말하면 전傳동명왕릉이라는 명칭이 보다 정확하다.
- ↑ 舊 중화군 동두면 진파리(東頭面 眞坡里)
- ↑ 명칭에 대해서 이견이 있다.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에는 성문사(省門寺)라고 표기되어 있는데, 고구려왕이 불교를 전래한 승려 순도를 맞이한 성문(省門)을 절로 고쳐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필사하면서 생긴 오류였을 것이다. 처음에는 사당으로 출발해 능사로 승격되고 아울러 왕실의 별전이 부속건물로 세워졌으며 나중에는 다시 사찰로 환원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주춧돌의 배열상태가 매우 복잡하고 그 배치가 넓다는 것이 증거.
- ↑ 이불란사의 아도는 후에 신라에도 들어가 절을 지었다고 하는데, 이 것이 신라의 최초의 절이라고 하는 흥륜사다. 이후 신라가 불교를 공인하기까지 150년이나 걸렸기에 왕실의 지원을 받지 못했는지 건물이 모옥(茅屋)(초가집)이었다고 한다. 법흥왕 14년(527)에 공인한 후에는 기와가 올라 갔겠지만.
- ↑ 596년에 완성. 다만 그 당시의 건물은 모두 사라졌기에 호류지가 더 오래되었다고 하는 것이다.
- ↑ 분황사는 금당이 모두 남쪽을 보고 있다.
- ↑ 물론 이상하게 볼 수만도 없는 것이, 한반도 남부의 사찰에서도 절에 딸린 우물에 동물뼈가 발굴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경주의 전(傳)인용사지 우물이나 안압지 우물터에서도 동물뼈가 수습되었다) 이는 기우제의 대상인 용왕이 우물에 산다는 믿음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출처: 김현희 <신라 우물과 제사>
- ↑ 유홍준은 이것 때문에 장중한 건축의 마스터플랜과 고구려 문화 특유의 웅장함이 흔들려 버렸다고 지적한다.(출처: 나의 북한 문화유산답사기)
- ↑ 백제문화단지의 백제 궁궐과 능사 5층 목탑을 복원한 것을 보면 알겠지만 단청이 붉은색과 초록색 위주로 심히 조선시대에 가깝다는 점이 고증오류라 까인다.
- ↑ 이는 동명왕릉이나 청암리 사지 목탑 복원도 비슷하다.
- ↑ 다만 천주교는 신부가 없어서 미사를 드릴 수가 없다. 신부가 없으면 성체성사도 고해성사도 볼 수 없기 때문에 사실상 신앙 생활은 불가능하다. 가능하다고 해도 일반 시민들이 할 수가 없는 것이 북한이지만.
- ↑ 공산주의가 아무리 종교를 배격한다 해도 정치 사상이라는 건 현실에 적응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 소련시절에도 러시아에는 러시아 정교가 활동하고 있었고 중국도 자기네들이 임명하기는 하지만 천주교 추기경도 활동 중이다. 오히려 잘 구슬리면 체제안정에 유리한 측면이 있어서 종교를 악용하는 사례가 드물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