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왕릉

東明王陵
1338227093.jpg

1 고구려의 시조인 동명성왕(주몽)의 무덤

삼국사기》에는 동명성왕이 재위 19년만인 기원전 19년음? 가을 9월에 사망하여 용산 남쪽에 장사지냈다고 되어 있는데, 고구려인들이 남긴 광개토대왕비나 고려 시대 이규보의 동명왕편에서 인용된 《구삼국사》는 재위 19년만에 하늘로 올라가서 내려오지 않자 태자 유리와 신하들이 왕이 남긴 옥채찍을 왕 대신 장사지냈다고 한다. 이 옥채찍은 비류국의 왕 송양을 굴복시킬 때 사용한 물건 같다.

2 평양의 동명왕릉

북한의 시설물
체육시설
김일성경기장 · 류경정주영체육관 · 릉라도5월1일경기장 · 마식령 스키장 · 빙상관 · 서산축구경기장 · 양각도축구경기장 · 태권도전당 · 평양보링관 · 평양체육관 · 미림 승마구락부
식사 · 숙박시설
옥류관 · 류경 호텔 · 고려호텔 · 양각도국제호텔 · 평양호텔
유희시설
문수 물놀이장 · 조선중앙동물원 · 만경대 유희장
의료시설
평양산원
정치시설
만수대 의사당
군사시설
상원동 미사일 기지 · 판문점
도로시설
고속도로#s-5.2 · 대동강의 교량 · 압록강철교
철도시설
북한의 철도 환경 · 철도 노선 정보/북한 · 평양 지하철 · 평양전차
항구시설
서해갑문 · 남포항 · 원산항 · 청진항 · 해주항 · 흥남항 · 라선항
공항시설
평양순안국제공항 · 원산국제공항 · 청진공항
기념물
평양 개선문 · 주체사상탑 · 금수산태양궁전 ·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 · 당창건기념탑 · 북관대첩비 · 영생탑 · 천리마동상 · 해방탑 ·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유적지
정일봉 · 단군릉 · 보통문 · 대동문 · 동명왕릉 · 총석정 · 백상루 · 박연폭포 · 광법사 · 만월대 · 안학궁 · 대성산성 · 평양성 · 함흥본궁 · 선죽교 · 현릉 · 현정릉
세계유산
개성역사유적지구 · 평양·남포 고구려 고분군
수용소
정치범수용소
산업체
대동강텔레비전수상기공장 · 아동식료품공장 · 순천구두공장 · 승리자동차연합기업소 · 김종태전기기관차연합기업소 · 흥남비료연합기업소 · 2.8비날론련합기업소 · 김책수산사업소 · 운곡목장
교육시설
김일성종합대학 · 김책공업종합대학 · 인민대학습당 · 평양과학기술대학 · 고려성균관 · 김책수산사업소유치원 · 자강도 강계시 동문유치원 · 천리마련합제강기업소유치원 · 평양정오1유치원 · 평양관광대학 · 미림 군사대학
박물관
과학기술전당 · 3대혁명전시관 · 당창건기념관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 조선민속박물관 · 조선중앙력사박물관 · 조선혁명박물관 · 조선인민군 무장장비관
종교시설
장충성당 · 정백사원 · 봉수교회 · 정릉사 · 금강사

2.1 개요

북한수도 평양직할시 역포구역 용산리에 위치한 고구려 시조 동명왕무덤으로 전해지는 무덤. 북한의 국보 문화유물 제36호. 하지만 이 무덤이 정말 동명성왕의 무덤이라는 결정적인 증거가 나오지는 않았기 때문에 엄밀하게는 전(傳)동명왕릉이다.

무덤 자체는 단군묘와 마찬가지로 이미 오래 전부터 존재하고 있었다. 《세종실록》 지리지 및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다른 이름을 진주묘(珍珠墓)라고도 불렀다고 하는데, 1번 항목에서 북한 당국이 1974년에 발굴 조사를 하였으며 1994년에는 크게 개건을 하였다. 단군릉 수준의 막장은 아니지만 상당히 큰 규모로 만든 편.

현재 봉분의 높이는 11m로, 유홍준의 《나의 북한문화유산답사기》에 나오는 북한측 설명에 따르면 이 무덤의 봉분 높이는 원래 9m 정도였는데, 김일성이 "오랜 세월 비바람에 깎여서 지금의 높이가 된 것이니 원래 높이는 얼마나 더 컸겠느냐"며 비바람에 깎이기 전의 원래의 높이를 계산해 그만큼 더 높이라고(...) 교시를 내린 바람에 과학자들이 1,400년 동안의 기후 변화 같은 것을 계산해서 지금의 높이를 계산해 냈다고.뭔 뻘짓이냐 하지만 동아일보 등 당시 기사에는 동명왕릉 개건 2년 전인 1992년 당시 남쪽을 방문했던 북한의 부총리 김달현이 포스코(당시 포항제철)에 이어 경주시를 방문해 천마총을 보고는 "이 무덤을 보니 동명왕릉의 높이를 높여야겠다"고 발언했다는 것으로 보아[1] 그냥 당시 김일성이나 북한 정권의 쓸데없는 자존심 때문일 가능성이 더 크다. 비바람에 깎이기 전의 원래 높이를 계산해 그만큼 천마총의 높이를 더 높여라

2.2 동명왕의 무덤인가?

북한이 이 무덤을 동명성왕의 무덤으로 주장하는 것은 이 무덤의 구조가 밑에 퉁거우의 고구려 고분처럼 3단으로 정방형 돌축대를 쌓고 내부에 석실을 만들어 벽화[2]까지 그리고 그 위에 흙으로 봉분을 덮은, 평양 천도 이전 국내성 시절의 고구려에서 무덤을 지을 때 주로 썼던 적석총(돌각담무덤) 양식과 평양 천도 이후에 주로 나타나는 석실분(돌간흙무덤)의 중간 형태를 띠고 있다는 것,[3] 그리고 동명왕릉의 무덤 옆에 위치한 절터 우물에서 '정릉(定陵)', '능사(陵寺)'라는 글자가 새겨진 토기 파편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절이 지어진 목적이 애초에 능(陵)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이 '능'이란 왕의 무덤을 의미한다는 것,[4]

졸본에서 사망해 졸본에서 묻혔을 동명성왕의 무덤이 왜 평양에 있는 거냐는 점에 대해서는, 고구려가 장수왕 때 수도를 평양으로 옮기면서 같이 옮겨온 것이라고 하는 추정이 따라붙는다. 외적의 침입 때마다 선왕의 무덤이 파헤쳐지는 수모를 겪다보니[5] 수도를 옮기면서 동명성왕릉 같은 중요한 무덤은 평양으로 옮겨서 관리하게 되었다는 것.

사실 이 무덤이 동명성왕의 무덤이라는 것은 북한이 뜬금없이 한 주장은 아니고 이미 조선 시대에도 그러한 주장이 존재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도 이 무덤을 동명성왕의 무덤이라고 기록했고, 대표적으로 순암 안정복 역시 현재 북한의 주장과 비슷한 견해를 내놓았다.

동명(東明) 때 평양은 낙랑군이 다스리고 있었는데 동명이 어떻게 이곳에 이를 수 있었겠는가? 《응제시주(應製詩註)》에,

“주몽이 졸본(卒本)에 도읍하였는데 그 소재는 알 수 없으나 당(唐)의 이적(李勣)이 아뢴 말에 ‘국내성(國內城)에서 평양까지 17역(驛)이다.’ 하였으니 거리가 서로 너무 멀다. 아마 일찍이 구제궁(九梯宮)을 짓고 와서 놀다가 죽어 이곳에 장례한 것이리라.”
하니, 이 말 역시 잘못이다. 대개 고구려가 관구(毌丘)ㆍ모용(慕容)의 난을 만나 도읍이 잔파(殘破)되고 선왕의 능묘가 헐려 나라를 옮길 지경에 이르렀으니, 선왕의 능침도 따라 남쪽으로 옮겨서 동명묘를 지금 중화(中和)의 용산(龍山)에 장례하였으므로 이르는 말일 것이다. 고려 고종이 몽고(蒙古)의 난을 만나 강화(江華)로 천도하고 태조 이하 모든 능묘를 죄다 이장하였으니 이것으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다시 상고하건대 《광여기(廣輿記)》에,
“요동(遼東) 복주(復州)에 명왕산(明王山)이 있는데 고구려의 왕자 동명을 이곳에 장례하였다.”
하였으니, 혹시 처음 이곳에 장례한 것이 아닌지 모르겠다.
《동사강목》 부록 상권 고이(考異) 中 '동명을 용산에 장사지내다'

다만 그럼에도 이 무덤이 정말 동명성왕의 무덤일 거라고 섣불리 믿기 어려운 까닭은 우선 수도를 평양으로 옮긴 뒤에도 고구려의 왕들은 졸본까지 가서 동명왕을 참배했다는 것. 북한에서는 이에 대해 평양에 있는 것이 무덤(墓)이고 졸본에 있는 것은 사당(廟)이라고 해석하지만, 장군총 위에서 사당의 흔적으로 보이는 건물터가 발견되고 《삼국유사》에서도 수로왕의 무덤(墓)을 두고 버젓이 수릉왕묘(首陵王)라고 부른 것이 확인되어 무덤과 사당이 구분되었다고 보기에는 희박하다고.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동명성왕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출처 동아일보 1992년 7월 23일자 보도(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2. 1970년대 무덤을 재조사하면서 벽면의 석회를 씻어내렸는데 그때 보라색 바탕에 붉은 자색을 칠한 지름 12센티미터의 연꽃무늬가 4.2센티미터 간격으로 빼곡하게 그려져 있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당시 남아있었던 연꽃 무늬가 모두 641개였다고.
  3. 이런 구조의 무덤은 북한에서는 용강큰무덤밖에 없다고.
  4. 설령 이 무덤이 실제 동명성왕의 무덤이 아니라고 해도 정릉사 곁에 있는 이 무덤이 왕릉급 무덤임은 틀림없는 것으로 보인다.
  5. 봉상왕전연모용외가 쳐들어와 서천왕의 무덤을 파헤쳤고, 고국원왕 때엔 모용황환도성을 불태우고 퇴각하면서 또 미천왕의 무덤을 파헤쳐 아예 그 시신까지 가져가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