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문서는 실제로 발생한 것으로 증명되지 않은 현상을 다룹니다. 따라서 카더라 통신에 기반한 증명되지 않은 비윤리적이거나 비과학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문서에는 일부 이용자들이 혐오하거나 범죄 등 불법적인 내용 및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일부 포함할 수 있으므로 문서를 열람하실 때 주의하세요. 또한, 문서의 하단에 이 틀과 함께 분류:도시전설을 포함해 주세요.
1 개요
미국의 굴러다니는 음모론 중 SF소설 한 권 정도는 쓰고도 남을 것 같은 괴사건. 일명 '프로젝트 레인보우'
이 실험은 바로 강력한 전압을 발생시키는 변압 장치인 테슬라 코일을 이용해서 선체에 막대한 전기를 흘려보내 특수한 자기장을 형성시켜(혹은 선체의 자기를 소멸시켜서) 레이더에 발견되지 않도록 하는 스텔스 계획 실험이었다.
잘 알려진 음모론에 따르면 1931년 니콜라 테슬라가 계획을 입안하고, 여기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1]도 합류하여 실험을 진행했다.
1943년 10월 28일 펜실베니아 주 필라델피아의 해군 조선소에서 프로젝트 레인보우의 일환으로 미국 구축함 엘드리지(USS Eldridge, DE-173)를 눈에 보이지 않게 하는 실험을 했다.
탑재된 테슬라 코일은 강력한 자기장을 발생시켰고, 계획대로 엘드리지는 레이더에 감지되지 않았다. 이것은 모두 예상한 결과였지만 갑자기 이상한 현상이 일어났다. 함선 주변에 푸른 안개층이 형성되었고 다음 순간에 점차 눈에 보이지 않게 되었다가 완전히 사라졌다.
그리고 엘드리지가 사라진 순간, 배는 250마일 이상 떨어진 노포크 항구 앞에 모습을 드러냈다. 전류를 끊자 배는 다시 나타났는데 사람들이 갑판에 올라섰을 때 그곳은 생지옥이었다. 선원의 대부분이 사망하였고 일부는 젤화되어벽이나 기둥, 바닥과 융합해 녹아내리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상당한 방사선이 검출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소수의 생존자들은 정신이상 증세를 보이기까지 했다. 이 실험은 당시 미국의 원자폭탄 프로젝트와 함께 최중요 군사기밀이었다고 한다. 실로 믿거나 말거나.
2 실상
...그러나 지금까지의 이야기는 모두 음모론자의 낚시.
사실 실제 필라델피아 실험은 독일 U보트가 새로 배치한 자성추적 어뢰[2]의 추적을 방해하기 위해 선체에 일정한 전류를 흘려 자기장을 상쇄시키려 한 연구였다. 이걸 선체소자라고 한다. 결론적으론 이 실험은 실패했지만 소문처럼 사상자 같은건 없었다. 그리고 얻은 것도 있었다. 자기장 상쇄, 일명 디가우징은[3] 후에 더욱 발전되어 핵잠수함이나 소해함에 전류를 흘려 자성을 중화시키는 기술로 발전한다.[4] 이건 미국뿐만 아니라 러시아, 중국 심지어 우리나라처럼 다른 국가들도 잘 사용하는 기술이다.
위 음모론의 내용은 1956년 아마추어 천문가인 모리스 K. 제섭(Morris K. Jessup)이 카를로스 아옌데(Carlos Miguel Allende)라는 사람의 주장을 바탕으로 글을 쓰면서 소개되었다.[5] 카를로스 아옌데는 당신 상선인 앤드류 푸루셋호(SS Andrew Furuseth)에 근무했는데, 필라델피아 실험 당시 노포크 근처에서 엘드릿지가 사라졌다 나타나는 장면을 목격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1959년에 제섭이 죽은 후, 아옌데가 이 내용에 살을 붙여 소개했는데, 다시 1965년에 빈센드 가다디스가 버뮤다 삼각지대, 아틀란티스 등의 내용을 담은 책 "Invisible Horizons : True mysteries of the Sea"에 그 내용을 소개하면서 대중에 알려졌다.
사실은 필라델피아 앞바다에서 사라진 배가 노포크 해군기지에 나타났다는 얘기는 당시 군함만 다닐 수 있었던 작은 수로를 통해 엘드리지호가 이동한 것을 몰랐기 때문에 나온 이야기다. 여기에 기름을 부은 것은 외출한 승무원들이 취해서 "우리 배는 지금 비밀 실험 중이다! 배에 전기를 흘려서 안 보이게 한다!" 라고 술집에서 떠들어댄 것이다. 여기에 카를로스 아옌데가 살을 붙인 것이 오늘날 알려진 필라델피아 실험이 된 것이다.
결정적으로 당시 실험에 사용되었다는 엘드리치 호는 1946년까지 각지를 돌아다니며 호위 임무를 맡아 활약했고, 1951년에 제적되서 그리스로 팔려가 HS Leon이란 이름으로 활동하다 1991년에 처분되었다. 그리고 엘드릿지호의 항해 기록과 전시 일보는 다른 함선들과 마찬가지로 마이크로 필름에 보존되어서 누구나 복사 열람할 수 있는데, 그 내용 어디에도 1943년에 필라델피아에 들렀다는 기록은 없다. 필라델피아에 들른 일도 없는 배가 어떻게 필라델피아 실험을 진행할 수 있을까?
더군다나 아옌데가 근무했다는 앤드류 푸루셋호는 10월 25일에 노포크를 출항했고 그 후에는 계속 지중해에서 활동했다. 물론 아옌데 이외의 승무원들 중에는 노포크에서 이상한 일을 겪었다는 이가 없다. 아옌데는 어디서 엘드릿지를 봤다는 말인가?[6]
선체에 자기장을 걸어서 레이더에 잡히지 않게 한다는 말부터가 어불성설로, 위에 쓰여진 것처럼 자성추적어뢰에 잡히기 않기 위해 한 것이다. 애초에 레이더란 ‘전파를 포착하는 기술’로 테슬라 코일로 고주파,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것은 레이더가 사용하는 반사파를 막는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전파를 발산하여 적에게 포착될 가능성을 높일 뿐이다. 재미있는건 후에 U-2의 레이더 피탐면적을 줄이는(스텔스) 실험의 명칭이 레인보우 프로젝트라는 점이다.
설사 테슬라 코일로 레이더를 막을 수 있다고 해도 그것을 계속 가동하는 데 필요한 동력을 생각할 때 전술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 그리고 당시에 함선의 주적인 U보트가 목표를 찾는 가장 유효한 관측수단은 인간의 눈이었다(...).
3 대중매체에서
공간을 다루는 과학실험과 관련된 최초의 호러라는 점에서 DOOM, 이벤트 호라이즌, 하프 라이프 같은 후세 작품들의 선조 격이 되는 도시전설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또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시리즈에 등장하는 갭 제너레이터와 크로노스피어가 이 실험에서 모티브를 따왔다고 한다. 레드얼럿 1에는 정박한 군함 주변의 갭 제너레이터들이 일시적으로 군함의 모습을 사라지게 하는 동영상도 나온다.
월간 만화과학잡지인 과학소년에서도 심도있게 다룬 적이 있다(...)
모바일 1인칭 생존 서바이벌 게임 Radiation Island의 모티브가 이 실험이다.
4 영화화
1984년 스튜어드 레필 감독, 윌리엄 그레이, 마이클 제노버등 각본 마이클 파레, 낸시 알렌, 에릭 크리스마스, 바비 디 시코 주연으로 만들어진 영화.
시놉시스는 USS Elderidge에 승무원이었던 데이빗 헤디그가 롱스트리트 박사의 시간이동 실험의 여파로 1984년으로 건너와 미국 동해안과 네바다주를 왔다갔다 한다는 스토리 결과적으로 그는 과거로 돌아가지 못하고 미래세계에 남아 결혼한다.
그후 1993년 필라델피아 실험 2라는 영화로 만들어졌다. 주인공 데이빗 헤디그의 뒷 이야기로 아내도 죽고 사업도 실패한 데이빗 헤디그를 1에서 그를 미래로 날려버린 롱스트리트 교수가 다시 꼬셔서 해군으로 돌아오라고 하지만 돌아가지 않고 아들을 데리고 야구연습장에 가게된다. 한편 독일계 과학자 말러 2세는 롱스트리트 교수가 만류하는데도 필라델피아 실험을 다시 하자고 미 군부를 설득하여 실험을 다시 하는데, 실험 대상은 핵폭탄을 실은 F-117 스텔스 전투기...그러나 말러 2세의 진짜 속셈은 F-117을 나치 시대로 시간여행시켜 나치 과학자였던 아버지 말러 1세에게 보내 나치가 세계를 정복하게 만드는 것이었다. 결국 나치에 의해 워싱턴에 핵폭탄이 투하되어 미국이 독일에 항복하고 독일의 총독부가 설치되는 역사 개변이 일어나지만, 주인공 데이빗도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F-117을 파괴시키고 다시 역사가 정상화된다는 줄거리.
- ↑ 나중에 테슬라가 이 실험에 반대하고 나간 뒤 총책임자는 존 폰 노이만이 맡게 된다.
- ↑ 배는 강철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일정한 자기장이 나오기 마련인데 이 자기장을 추적하는 어뢰
- ↑ 여러분 하드디스크에서도 잘 쓰이는 기술이다. 이런걸 믿는 사람이 있으면 너희집 컴퓨터는 언제 미래로 가냐고 비꼬아 주자.
시드 마이어의 문명을 깔면 가능하지만 - ↑ 물론 요즘은 전선을 무식하게 두르지 않고 따로 거대한 디가우징용 도크가 있고 거대한 철골 구조물들로 이루어져 있다. 다만 우리나라 같은 중소국가들은 이런 시설이 없어서 옛날처럼 전선을 두르고... 안습
- ↑ 훗날 밝혀진 바에 따르면 카를로스 아옌데는 칼 앨런이라는 사람이 자신의 이름을 스페인 사람처럼 바꿔서 쓴 것으로, 칼 앨런은 망상증에 빠진 정신분열증 환자였다고 한다.
- ↑ 앤드류 푸루셋호는 7,000톤급 상선으로 40명 이상의 승무원이 탑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