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대전의 일본군 항공병기 | |||||||||||||||||||||||||||||||||||||||||||||||||||||||||||||||||||||||||||||||||||||||||||||||||||
육군 전투기 | Ki-27 97식 전투기, Ki-43 하야부사, Ki-44 쇼키, Ki-61 히엔, Ki-84 하야테, Ki-100 5식 전투기 | ||||||||||||||||||||||||||||||||||||||||||||||||||||||||||||||||||||||||||||||||||||||||||||||||||
육군 쌍발 전투기 | Ki-45 토류, Ki-102 5식 습격기 | ||||||||||||||||||||||||||||||||||||||||||||||||||||||||||||||||||||||||||||||||||||||||||||||||||
육군 폭격기 | BR-20 시코그나, Ki-21 97식 중폭격기, Ki-30 97식 경폭격기, Ki-32 98식 경폭격기, Ki-49 돈류, Ki-51 99식 습격기, Ki-67 히류 | ||||||||||||||||||||||||||||||||||||||||||||||||||||||||||||||||||||||||||||||||||||||||||||||||||
함재기 | 함상전투기 | A5M 96식 함상전투기, A6M 0식 함상전투기, A7M 렛푸 | |||||||||||||||||||||||||||||||||||||||||||||||||||||||||||||||||||||||||||||||||||||||||||||||||
함상공격기 | B5M 97식 2호 함상공격기, B5N 97식 함상공격기, B6N 텐잔, B7A 류세이 | ||||||||||||||||||||||||||||||||||||||||||||||||||||||||||||||||||||||||||||||||||||||||||||||||||
함상폭격기 | D3A 99식 함상폭격기, D4Y 스이세이 | ||||||||||||||||||||||||||||||||||||||||||||||||||||||||||||||||||||||||||||||||||||||||||||||||||
함상정찰기 | C6N 사이운 | ||||||||||||||||||||||||||||||||||||||||||||||||||||||||||||||||||||||||||||||||||||||||||||||||||
노획 항공기 | LaGG-3, F2A 버팔로, B-17, P-51 머스탱, P-40 워호크 | ||||||||||||||||||||||||||||||||||||||||||||||||||||||||||||||||||||||||||||||||||||||||||||||||||
해군 소속 육상공격기/폭격기 | G3M 96식 육상공격기, G4M 1식 육상공격기, P1Y 깅가, H6K 97식 비행정, H8K 2식 비행정, G5N 신잔, G8N 렌잔 | ||||||||||||||||||||||||||||||||||||||||||||||||||||||||||||||||||||||||||||||||||||||||||||||||||
해군 소속 국지전투기 | N1K-J 시덴, J1N 겟코, J2M 라이덴 | ||||||||||||||||||||||||||||||||||||||||||||||||||||||||||||||||||||||||||||||||||||||||||||||||||
해군 소속 수송기 | L2D, H6K 97식 비행정, H8K 2식 비행정, G5N 신잔 | ||||||||||||||||||||||||||||||||||||||||||||||||||||||||||||||||||||||||||||||||||||||||||||||||||
해군 소속 수상기 | F1M 영식수상관측기, E13A 영식수상정찰기, N1K 쿄후, M6A 세이란, E16A 즈이운 | ||||||||||||||||||||||||||||||||||||||||||||||||||||||||||||||||||||||||||||||||||||||||||||||||||
특공기 | MXY-7 오카, Ki-115 츠루기 | ||||||||||||||||||||||||||||||||||||||||||||||||||||||||||||||||||||||||||||||||||||||||||||||||||
프로토타입 | J4M 센덴, J7W 신덴, J9Y 깃카, 나카지마 Ki-87, Ki-88^, 다치카와 Ki-94, Ki-201, Ki-200 슈스이, R2Y 케이운, J6K 진푸^ | ||||||||||||||||||||||||||||||||||||||||||||||||||||||||||||||||||||||||||||||||||||||||||||||||||
페이퍼 플랜 | A8M 리후쿠, G10N 후가쿠*, 와쿠세이 함상폭격기, Ki-162 | ||||||||||||||||||||||||||||||||||||||||||||||||||||||||||||||||||||||||||||||||||||||||||||||||||
대잠 초계기 | Q1W 토카이 | ||||||||||||||||||||||||||||||||||||||||||||||||||||||||||||||||||||||||||||||||||||||||||||||||||
*엔진만 몇기 만들어졌다. ^목업으로만 존재함. |
1 개요
구 일본군 해군의 시제 육상 정찰기로, 해군은 당시 광대한 중국 대륙에서 육상 정찰기가 없다는 것은 작전에 커다란 지장을 가져온다고 생각했다.
함상 정찰기로 C6N 사이운이 개발되고 있었지만, 대규모 점령지를 운영하고 있던 해군으로서는 육상 기지에서 발진하고 임무를 수행할 신형 고속 정찰기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하지만 중국 전선과 태평양 전쟁의 초기에 승승장구하던 일본은 승세를 믿고 개발작업을 서두르지 않았다.
그러나 전황이 급변하면서 필요성도 높아지고 더욱 고성능의 기체가 요구되자 결국 시작된 프로젝트가 Y40 프로젝트다. 이것이 구체화되어 새로이 개발에 착수한 기체가 바로 육상 정찰기 케이운이다.
2 R2Y1 케이운
* 분류: 장거리 육상 고고도 정찰기 * 길이: 13.05m * 전폭: 14.00m * 높이: 4.25m * 익면: 34.00제곱 미터 * 자체중량: 6,015kg * 전비중량: 8,100kg * 엔진: 아이치 Ha-70 수냉식 엔진 * 최대 속도: 741km/h * 최대 항속 거리 : 3,610km * 상승 한도: 11,700m * 무장: 없음 |
독일에서 수입한 하인켈 He 119 정찰폭격기의 구조를 참고하여 엔진을 동체중앙부에 탑재하여 4m 이상의 샤프트를 통하여 기수에 달린 6엽 프로펠러를 구도시키는 형태를 가졌다.
또한 He 119에서 따온 것은 엔진 배치뿐만 아니라, 인입식 래디에이터도 채용하여 장거리 순항시 1개의 엔진만으로 비행할 때는 동체 하부의 방열기를 집어넣고 후방 동체 상단과 주익 앞전에 뚫린 인렛을 통해 엔진을 식히는 방식을 도입하였고, 조종석은 병렬 복좌, 착륙장치는 전륜 식으로 하였다. 이런 다양한 신설계들은 당시 일본으로서는 처음으로 시도한 것들이 대부분이어서 성공여부를 떠나 기술적인 모험이나 도전이었다.
그 결과 케이운은 그때까지의 통상적인 일본기들과는 판이하게 다른 독특한 모양의 기체가 되었고 개발은 복잡하고도 어려운 기술적인 난제를 수없이 해결해야만 하는 긴 작업이 되었다.
하지만 아이치 Ha-70 엔진의 문제가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았고, 1944년(쇼와 19년) 6월까지도 원형기의 초도비행이 실시되지 못하자 마침내 해군 수뇌부는 전국의 약화에 따른 긴축을 구실 삼아 개발진도가 부진한 기종에 대한 정리를 하게 되었는데, 여기에 케이운도 대상으로 꼽혔다.
3 R2Y2 케이운改
* 분류: 제트 공격기 * 길이: 13.05m * 전폭: 14.00m * 높이: 4.25m * 익면: 34.00제곱 미터 * 자체중량: 5,700kg * 전비중량: 8,850kg * 엔진: 미츠비시 Ne-330 터보 제트엔진 , 추력 1,320kg x 2기 * 최대 속도: 783km/h * 최대 항속 거리 : 1,269km * 상승 한도: 10,500m * 무장: 30mm 5식 기관포 4정 , 800kg 폭탄 1기(1,764파운드) |
그러나 1944년, 미츠비시에서는 일본 최초의 제트엔진인 Ne-20을 만들어낸 이시가와지마 사로부터 기술을 제공받아 신형 제트엔진 Ne-330을 출시하도록 예정하였고, 이 실험에는 현재 개발중인 기체에서 가장 제트화가 쉬운 기체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는데, 그 기체가 바로 R2Y1 케이운 이였다. 이렇게 해서 자연히 케이운의 개발작업에 대한 취소명령은 기각되어 개발작업을 계속할 수 있었다.
1945년(쇼와 20년) 4월에 시제 1호기가 과급기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로 완성되어 5월에 시험비행을 하였지만 문제가 많았다.
회전수 동조와 출력전달, 진동문제에 시달리던 병렬식 엔진은 독일의 다임러-벤츠사조차 해결에 어려움을 겪던 문제였고, 이를 일본에서 자체적으로 해결하기에 힘이 들었던 것은 당연한 것이었다.
심지어 고속을 위하여 무리하게 도입한 집합식 배기관도 문제였다. 어느 정도 한계에서 타협을 보아야 할 배기가스 추력증강효과가 오히려 엔진 배기연을 제대로 내보내는데 방해가 되어 전체 출력이 떨어지고 과열에도 한몫을 보태고 있었던 것이다.
2번째 비행에서는 엔진실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비상착륙을 시도하다가 기체가 반파되고 말았다.
그 후 1호기는 엔진의 교환가 수리를 받는 동안 미군기의 공습으로 파괴되었고, 2호기는 종전 전까지도 제작중이었으나 역시 공습으로 파괴되어 바다에 투기되었다.
제트화의 첫번째 방안으로 날개에 제트엔진을 달고, 두번째 방안은 몸통에 제트엔진을 내장하고 기수에서 흡입구를 마련할려고 했다고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카더라이며 실태는 분명치 않다.
여담이지만 함재기로서의 개발과 어뢰탑재도 진행했다고 한다.
4 매체에서의 등장
워 썬더에서 일본 단발 폭격기 트리의 제트기로 등장한다.
전함소녀에서는 다이호를 개장시 얻을 수 있다. 폭격수치는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