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27

제2차 세계대전의 일본군 항공병기
육군 전투기Ki-27 97식 전투기, Ki-43 하야부사, Ki-44 쇼키, Ki-61 히엔, Ki-84 하야테, Ki-100 5식 전투기
육군 쌍발 전투기Ki-45 토류, Ki-102 5식 습격기
육군 폭격기BR-20 시코그나, Ki-21 97식 중폭격기, Ki-30 97식 경폭격기, Ki-32 98식 경폭격기, Ki-49 돈류, Ki-51 99식 습격기, Ki-67 히류
함재기함상전투기A5M 96식 함상전투기, A6M 0식 함상전투기, A7M 렛푸
함상공격기B5M 97식 2호 함상공격기, B5N 97식 함상공격기, B6N 텐잔, B7A 류세이
함상폭격기D3A 99식 함상폭격기, D4Y 스이세이
함상정찰기C6N 사이운
노획 항공기LaGG-3, F2A 버팔로, B-17, P-51 머스탱, P-40 워호크
해군 소속 육상공격기/폭격기G3M 96식 육상공격기, G4M 1식 육상공격기, P1Y 깅가, H6K 97식 비행정, H8K 2식 비행정, G5N 신잔, G8N 렌잔
해군 소속 국지전투기N1K-J 시덴, J1N 겟코, J2M 라이덴
해군 소속 수송기L2D, H6K 97식 비행정, H8K 2식 비행정, G5N 신잔
해군 소속 수상기F1M 영식수상관측기, E13A 영식수상정찰기, N1K 쿄후, M6A 세이란, E16A 즈이운
특공기MXY-7 오카, Ki-115 츠루기
프로토타입J4M 센덴, J7W 신덴, J9Y 깃카, 나카지마 Ki-87, Ki-88^, 다치카와 Ki-94, Ki-201, Ki-200 슈스이, R2Y 케이운, J6K 진푸^
페이퍼 플랜A8M 리후쿠, G10N 후가쿠*, 와쿠세이 함상폭격기, Ki-162
대잠 초계기Q1W 토카이
*엔진만 몇기 만들어졌다. ^목업으로만 존재함.
제2차 세계대전기의 태국군 항공기
전투기복엽 전투기P-12, 커티스 호크 III,
단엽기P-36 호크, Ki-27 97식 전투기, Ki-43 하야부사
폭격기中폭격기마틴 B-10, Ki-21 97식 중폭격기
경폭격기Ki-30 97식 경폭격기
정찰기Ki-36, 보트 O2U 커세어, E13A 영식수상정찰기, E8N 95식 수상정찰기
항공병기 둘러보기
1차 세계대전
연합군
독일 제국
전간기
프랑스
2차 세계대전
미국
영국
나치 독일
일본 제국
이탈리아 왕국
소련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
스위스
태국
프랑스
제트전투기
미국
러시아
프랑스
유럽
아시아



nakajima-ki-27-nate-7.png

Japanese Imperial Army Air Superiority Fighter Nakajima Ki-27 "Nate" Type-97 Fighter
キ27 中島 九七式戦闘機

1 개요

1940년 전후 일본군 육군의 주력전투기. 약칭은 97전, 97식전 등. 연합국 코드명은 '네이트(Nate)'. 개발은 나카지마 비행기(이하 나카지마), 제조는 나카지마 외에 타치카와 비행기와 만슈 비행기도 행했다.

나카지마제 육군전투기의 대명사로 알려진 테이퍼익을 최초로 채용한 기체로 제2차 세계대전 초기의 전장에서 어느 정도 활약했다.

비행정 97식은 이쪽
97식

2 개발경위

1935년, 해군의 9시단좌전투기(후의 96식 함상전투기)의 성공에 자극받은 육군은 해군의 양해를 얻어 9시단전을 육군용으로 개조한 미쓰비시 Ki-18을 가와사키 95식 전투기를 채용하던 때의 시작심사에 도중 참가시켰다. 하지만 엔진의 신뢰성부족과 성능불충분을 이유로 채용에는 이르지 못했으며, 가와사키 Ki-10을 95식 전투기로 채용했다. 하지만 구태의연한 복엽기였던 95식은 차기 주력 전투기로서는 부족했기 때문에 이를 대신할 전투기로서 1936년 4월, 저익단엽전투기의 경쟁시작을 나카지마, 미쓰비시, 가와사키 3사에 지시했다.

이리하여 나카지마의 Ki-27, 가와사키의 Ki-28, 미쓰비시의 Ki-33의 경쟁이 되었는데, 이전에 Ki-18이 채용되지 못한 것에 미련이 남았던 미쓰비시는 시작기 제출은 했지만 열의를 보이지는 않았다. 그래서 1937년 2월부터 시작된 심사는 수냉식으로 엔진에 불안이 있었던 Ki-28을 누르고 이 기체가 선정되었다. 그동안 루거우차오 사건이 발생했기 때문에 심사를 서둘러 9월에 종료, 1937년 97식 전투기로서 정식채용되었다.

결론적으로 미쓰비시는 이 기체의 기술적 성숙을 위한 떡밥으로 쓰였으며, 이후 해군의 전투기는 미쓰비시, 육군의 전투기는 나카지마가 주체가 되는 형태가 되었다. 중일전쟁 후 중국 한커우 기지에서 가끔 행해진 육군과 해군의 모의 공중전에서는 A5M보다 Ki-27이 속도, 상승력, 격투전 성능 등 모든 면에서 우세, 해군의 조종사들을 놀라게 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유럽에서는 Bf109,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호커 허리케인 등이 97식 전투기와 비슷한 시기에 완성되었고, 경량형 전투기에 한계를 느낀 일본은 중전투기 개발쪽으로 나가게 된다.

3 평가

내장식 기어가 주류가 되어가던 시대에 시대를 거스른 듯한 고정식 랜딩 기어를 채용한 기체였지만 그 돌출부가 오히려 좋은 영향을 미쳐서인지 높은 기동성을 자랑했다. 특히 선회능력이 뛰어나 수평면에서의 격투전에서는 둘째가라면 서러울 기체였다고 한다. 하지만 비슷한 시기에 등장한 독일이나 영국의 전투기(Bf109,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등)에 비해 활약기간은 짧았다.

1선에서 물러났음에도 꾸준히 연습기로 사용되거나 타국에 공여되었으며, 심지어 대전말 1944년 11월 태국 공군 소속의 Ki-27 5대가 자국 영공을 침범한 미국의 P-38, P-51 16대 편대와 맞붙어 P-38 1기 격추, P-51D 2기를 염상시키는 성과를 이루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