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9Y 깃카

제2차 세계대전의 일본군 항공병기
육군 전투기Ki-27 97식 전투기, Ki-43 하야부사, Ki-44 쇼키, Ki-61 히엔, Ki-84 하야테, Ki-100 5식 전투기
육군 쌍발 전투기Ki-45 토류, Ki-102 5식 습격기
육군 폭격기BR-20 시코그나, Ki-21 97식 중폭격기, Ki-30 97식 경폭격기, Ki-32 98식 경폭격기, Ki-49 돈류, Ki-51 99식 습격기, Ki-67 히류
함재기함상전투기A5M 96식 함상전투기, A6M 0식 함상전투기, A7M 렛푸
함상공격기B5M 97식 2호 함상공격기, B5N 97식 함상공격기, B6N 텐잔, B7A 류세이
함상폭격기D3A 99식 함상폭격기, D4Y 스이세이
함상정찰기C6N 사이운
노획 항공기LaGG-3, F2A 버팔로, B-17, P-51 머스탱, P-40 워호크
해군 소속 육상공격기/폭격기G3M 96식 육상공격기, G4M 1식 육상공격기, P1Y 깅가, H6K 97식 비행정, H8K 2식 비행정, G5N 신잔, G8N 렌잔
해군 소속 국지전투기N1K-J 시덴, J1N 겟코, J2M 라이덴
해군 소속 수송기L2D, H6K 97식 비행정, H8K 2식 비행정, G5N 신잔
해군 소속 수상기F1M 영식수상관측기, E13A 영식수상정찰기, N1K 쿄후, M6A 세이란, E16A 즈이운
특공기MXY-7 오카, Ki-115 츠루기
프로토타입J4M 센덴, J7W 신덴, J9Y 깃카, 나카지마 Ki-87, Ki-88^, 다치카와 Ki-94, Ki-201, Ki-200 슈스이, R2Y 케이운, J6K 진푸^
페이퍼 플랜A8M 리후쿠, G10N 후가쿠*, 와쿠세이 함상폭격기, Ki-162
대잠 초계기Q1W 토카이
*엔진만 몇기 만들어졌다. ^목업으로만 존재함.
아시아의 제트전투기
개발/도입년도중국인도이스라엘일본대한민국터키이란대만
1940년대J9Y 깃카
Ki-201
1950년대J-2,J-5
1960년대J-6
J-7
HF-24
1970년대J-12네샤
크피르
미쓰비시 F-1
1980년대J-8 / J-9
J-7E/G / J-13
라비
1990년대JH-7
J-11
나메르아자라크쉬F-CK-1 경국
2000년대J-10
FC-1
F-2 바이퍼 제로사에케
M-ATF
2010년대J-15/J-16
J-20/FC-31
테자스FA-50 골든이글카헤르 313
보르한
샤파크
도르나
2020년대AMCA
FGFA
F-3KFXTFX
항공병기 둘러보기
1차 세계대전
연합군
독일 제국
전간기
프랑스
2차 세계대전
미국
영국
나치 독일
일본 제국
이탈리아 왕국
소련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
스위스
태국
프랑스
제트전투기
미국
러시아
프랑스
유럽
아시아

中島 橘花(なかじま きっか)


* 길이: 9.25m
* 전폭: 10.00m
* 높이: 3.05m
* 익면: 13.21제곱 미터
* 자체중량: 2.300kg
* 전비중량: 3.550kg
* 엔진: 2기의 IHI Ne-20 터보 제트 엔진, 475 kgf (4.66kN)
4식 1호 20형 800kg 로켓 두 기(JATO)
* 최대 속도: 677km/h
* 최대 항속 거리 : 584km
* 상승 한도: 10.700m
* 무장: 1개의 500 kg 혹은 250 kg 폭탄,20mm 기관포 2정
일본군 최초의 제트기.

1 개발배경

제2차 세계대전 말 일본은 사기적인 스펙을 자랑하는 B-29[1]를 필두로 한 미군의 전략폭격에 속수무책으로 얻어터지고 있었다. 물론 일본군도 B-29를 격추하기 위해서 온 힘을 다했지만 근본적으로 떨어지는 일본군의 방공능력 그리고 전투기의 고고도 성능부족에 더해 고고도 전투기 수량도 부족한 상황이거니와 태평양전선 일선의 격전 속에서 많은 에이스 파일럿을 상실하는 바람에 숙련된 탑승원도 부족했다.

여기가 끝이 아니어서 미 해군이 제해권을 틀어쥐면서 연료는 답이 없는 상황으로 치달았다. 항공기 엔진을 위한 고옥탄가 휘발유가 없어서 알콜도 섞어보고 소나무에서 송근유까지 짜내서 섞어보고... 여하튼 연소실에서 탈 만한건 죄다 섞은 대용연료로 전투기를 띄우는데다 그리고 엔진은 불량식품 먹고 배탈나서 파일럿과 비행기를 동시에 잡았다. 원유가 없으니 윤활유[2]같은 정비용 잡유도 같이 안드로메다 익스프레스를 탔다.

2 개발과정

이런 까닭에 일본도 귀한 고옥탄가 가솔린이 아니라 등유경유 같은, 비교적 넉넉한 연료 또는 아예 대용연료를 집어넣어도 돌아가는 제트엔진에 대해 연구를 개시했고, Ne-10, Ne-10改, Ne-12, Ne-12B 등의 제트엔진을 개발하며 실험에 실험을 거듭하고 있었다.[3] 하지만 Ne-12B(추력 320kgf)까지 와서도 충분한 추력을 얻지 못한 일본은 선박용 디젤엔진 기술을 독일에게 넘겨주는 대신 Me262의 BMW 003A 엔진(추력 800kgf)과 유모 004B엔진(추력 900kgf)각각 1기와 설계도를 독일에 요청하기로 결정하고 1943년 12월 16일 일본 해군 잠수함 I-29에 각종 원자재[4]를 실어 프랑스 로리엥으로 보낸다.

미군의 추적을 피해 무사히 로리엥에 도착한 I-29는 003A 엔진 실물과 많은 설계자료들, 그리고 기타 화물[5]을 싣고 일본으로 출항했다. I-29는 순조로운 항해 후 중간 기착지인 싱가폴에 입항하여 기술인원과 항공편으로 전달할 서류를 내려놓고 출항하였으나, 출항 직후 기뢰에 걸려 침몰, 엔진 샘플과 설계자료는 그대로 바다에 가라앉았다.[6] 싱가폴에서 따로 하역된 003A 엔진의 일부 설계도와 004B 엔진 시험 보고서 등과 같은 간단한 자료만이 남아 항공기편으로 일본에 전달되었다.

닭 쫒던 개 꼴이 난 일본은 손에 남은 BMW 003A의 엔진도면을 참고로 하여 Ne-12B 이후의 신형 제트엔진 개발을 계속 진행하되 일단 Ne-12B를 탑재한 제트전투기를 먼저 개발하여 띄워보기로 결정하고, 이 전투기는 날이 갈수록 막장이 되어가는 일본을 구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개발이 되어야 하는 무기라 하여 황국 2호병기로 지정된다.[7]

주 엔진으로 선정된 Ne-12B가 추력이 부족한 관계로 전투기 자체도 최대한 소형 경량화가 요구되었다. 깃카의 생김새는 Me262와 많이 닮아있으나 실제로는 Me 262보다 작고 가벼우며 주익형상도 테이퍼익을 채용하였으며 동굴진지 같은 데 짱박을 때 편하도록 육상전투기임에도 불구하고 주익을 접을 수 있는 등[8] 실제로는 Me262와 상당한 차이가 있는 독자적인 설계의 전투기이다.[9] 개발기간도 단축하고 개발비도 절감할 목적으로 기존 전투기와의 부품공유도 추진되어 주 랜딩기어의 경우 요코스카 P1Y 깅가의 테일기어를, 보조 랜딩기어는 A6M의 메인기어를 그대로 가져다 쓰게 된다.

기체의 제작은 나카지마 공장에서 진행되었지만 당연히 나카지마 공장도 미군의 폭격으로 날아갔다. 깃카가 격납되어 있던 격납고도 폭탄을 얻어맞아 파괴되었으나 격납고 안의 깃카는 거의 파손되지 않았고 이후 제작은 시골 농가로 분산 이전되어 진행되었다. 시제기의 기체 조립은 45년 6월 완료되어 테스트 비행을 위해 키사라즈 기지로 이송된다.
깃카 시제기 제작과 별개로 제트엔진의 개량도 계속 진행되어 45년 4월 BMW 003A를 참고하여 Ne-12B보다 좀 더 추력이 올라간 Ne-20(추력 475kgf[10])엔진이 완성, 기존의 Ne-12B 대신 이 엔진을 사용하기로 결정이 내려진다. 이 엔진은 키사라즈 기지로 옮겨졌고 45년 6월 조립 완료된 깃카의 기체도 키사라즈 기지로 이송되어 기지 내에서 기체에 엔진을 탑재, 최종 테스트를 후 첫 시험비행 일정을 8월로 잡는다.

3 시험비행

45년 8월 7일, 깃카는 활주로에서 이륙하여 12분간의 첫 비행에 성공한다. 이때는 첫 비행인 만큼 이륙중량을 줄이기 위해 노즈기어 커버와 라디오, 라디오 안테나를 뗀 상태였고 연료 역시 만재한 상태가 아니었으며 랜딩 기어는 내린 상태였다. 첫 비행에 성공한 깃카의 다음 테스트는 연료를 만재한 상태에서의 비행시험 실시가 예정되었다. 연료를 채운의 깃카는 약 3.5톤으로 Ne-20엔진의 추력으로는 깃카가 이륙하기 힘들어 이륙시에는 보조로켓(JATO)을 달도록 되어 있었다.[11]

10일로 예정된 두번째 비행테스트는 공습으로 연기, 11일에는 악천후로 연기, 역사를 바꾼 폭격기가 성지순례를 하고 난 6일 후 12일 깃카의 두번째 비행시험이 실시되었다. 엔진 전출력 가동과 JATO 보조로 이륙 활주를 시작했지만 JATO의 연소가 종료되어 가속도가 떨어지자 테스트 파일럿[12]은 이것을 엔진 트러블에 의한 출력저하로 판단, 이륙을 단념하고 브레이크를 걸었다. 그러나 깃카는 제대로 멈춰서지 못하고 그대로 활주로를 이탈, 전복되며 기체가 파손된다.[13]

깃카를 수리하여 다시 테스트를 재개하기로 했지만 3일 후인 45년 8월 15일 일본 제국은 무조건 항복하고 제작된 두 대의 시제기는 미군에게 접수된다. 그러나 이미 P-80 슈팅스타를 띄우고 있었고, 깃카보다 훨씬 뛰어난 독일의 Me262도 테스트해본 미군은 깃카에 큰 관심이 없었기에 미 해군 메릴랜드 공창에서 조사 후 분해 폐기하려다 그 중 한대가 재조립되어 스미소니언 박물관에 전시되는 것으로 깃카의 역할은 끝났다.

여담이지만 당시 이 병기를 '특공병기'로 부른 것과 이름에 花자가 들어간 것, MXY-7 오카의 뒤를 이어 황국 2호 병기로 지정된 것을 보면 아마 이 놈도 자살병기로 사용하려 했던 것 같다는 의혹이 있지만 사실이 아니다, 정확히는 '특수공격기' 취급한건데, 제트기로써 초고속으로 미국 함대에 500kg 폭탄을 떨구고 오는 것을 목표로 하였기 때문에 일반기에 비해 특수하다고 해서 붙여졌다. 이런 특수공격기는 유인유도탄(...)인 MXY-7 오카, 잠수함용 함재기로 미 본토 공격에 사용될 예정이었던 M6A 세이란도 포함된다.

4 미디어 등장

배틀스테이션 시리즈의 유일한 일본 제트기로 등장한다.

워 썬더에서도 등장하나 나쁜 성능과 무장으로 잘 보이지 않는다.

함대 컬렉션에서는 쇼카쿠즈이카쿠 2차개장 업데이트 시 대중량 함재기와 제트기 운용 가능 가능성이 언급되었고, 이후 랭킹 보상으로 킷카에 쓰인 엔진인 네식엔진이 풀리면서 함재기로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1. 순항고도가 10,500m에 최고속도 574km/h라는, 대전 초기 어지간한 전투기 속도를 발휘하는 고속성능에다가 기체 중앙의 사수가 기계식 탄도컴퓨터의 보조를 받으며 목표를 조준하면 기체 4개소의 12.7mm 2연장 원격조작 포탑이 조준된 목표에 집중포화를 퍼붓는 진일보된 방어기총 시스템까지 갖추고 있었다. 20mm 기관포를 실제로 쏘아가며 테스트한 방어력은 덤이다.
  2. 일설에는 정어리 기름을 정제하면 고순도의 윤활유로 사용이 가능하다 하여 일본 근해에 풍족한 정어리를 잡아다 윤활유 수요를 메꿀 생각을 했다고 한다. 근데 우연인지 필연인지 40년대 초반부터 정어리 조황이 개박살.
  3. 참고로 일본 제트엔진 형식명의 Ne(일본어로는 ネ)는 연소로켓(燃焼(ネンショウ)ロケッ)의 앞글자
  4. 고무, 텅스텐, 주석, 아연등의 원자재, 키니네와 아편 등의 의약품 원재료에다 커피같은 기호품까지 실려있었다.
  5. 문제는 이때 선적된 화물 중에 무려 우라늄 산화물까지 있었다는 점이다. 정련하면 원폭의 재료가 되니 일본 외무부 암호 해독을 통해 I-29의 화물 선적목록을 알아낸 미군은 이 잠수함을 미친 듯이 찾았다고 전해진다.
  6. 다른 설에 따르면 싱가폴 입항 후 I-29 함장이 이후 항로를 보고하는 무전을 미 해군이 방수, 암호해독을 통해 잠수함 2척을 예상항로에 매복시켰다가 어뢰로 격침했다고도 전해진다.
  7. 참고로 대본영"빨리 주세요 현기증 난단 말이예요" 하던 황국 1호 병기는 다름아닌 정신줄 놓은 자폭병기의 대표작 MXY-7 오카. 신병기보다 자폭병기가 우선인가?!
  8. 물론 유압이나 전동식으로 조종석에서 레버 하나로 접히는 우아한 방식이 아니라 인력 근성 방식. 그런데 일본도 이전에 수압식으로 날개가 접히는 방법을 개발했는데 왜 인력으로 사용하는것을 고집했는지는 알 수 없다.
  9. 물론 전체적인 외형 등은 Me262를 상당부분 참조했을 개연성도 존재한다.
  10. 이 엔진은 비슷한 시기에 개발된 엔진들의 절반 수준의 출력을 가진 물건인데 10시간 엔진 가동 후 오버홀을 해야 하는 형편없는 내구성을 자랑했다. 물론 초창기 제트엔진들의 수명이 대부분 100시간 미만이기는 하지만 10시간은 심각한 수준이다.
  11. 비슷한 시기에 개발된 제트 전투기들의 엔진과 비교하면 절반이 조금 넘는 수준의 출력이다.
  12. 다카오카 스스무 소좌. 패전 후에는 항공자위대에 입대하여 최초의 일본제 제트연습기 T-1A의 테스트 파일럿을 맡기도 했다.
  13. 제로센 브레이크인데 당연한 결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