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대전의 일본군 항공병기 | |||||||||||||||||||||||||||||||||||||||||||||||||||||||||||||||||||||||||||||||||||||||||||||||||||
육군 전투기 | Ki-27 97식 전투기, Ki-43 하야부사, Ki-44 쇼키, Ki-61 히엔, Ki-84 하야테, Ki-100 5식 전투기 | ||||||||||||||||||||||||||||||||||||||||||||||||||||||||||||||||||||||||||||||||||||||||||||||||||
육군 쌍발 전투기 | Ki-45 토류, Ki-102 5식 습격기 | ||||||||||||||||||||||||||||||||||||||||||||||||||||||||||||||||||||||||||||||||||||||||||||||||||
육군 폭격기 | BR-20 시코그나, Ki-21 97식 중폭격기, Ki-30 97식 경폭격기, Ki-32 98식 경폭격기, Ki-49 돈류, Ki-51 99식 습격기, Ki-67 히류 | ||||||||||||||||||||||||||||||||||||||||||||||||||||||||||||||||||||||||||||||||||||||||||||||||||
함재기 | 함상전투기 | A5M 96식 함상전투기, A6M 0식 함상전투기, A7M 렛푸 | |||||||||||||||||||||||||||||||||||||||||||||||||||||||||||||||||||||||||||||||||||||||||||||||||
함상공격기 | B5M 97식 2호 함상공격기, B5N 97식 함상공격기, B6N 텐잔, B7A 류세이 | ||||||||||||||||||||||||||||||||||||||||||||||||||||||||||||||||||||||||||||||||||||||||||||||||||
함상폭격기 | D3A 99식 함상폭격기, D4Y 스이세이 | ||||||||||||||||||||||||||||||||||||||||||||||||||||||||||||||||||||||||||||||||||||||||||||||||||
함상정찰기 | C6N 사이운 | ||||||||||||||||||||||||||||||||||||||||||||||||||||||||||||||||||||||||||||||||||||||||||||||||||
노획 항공기 | LaGG-3, F2A 버팔로, B-17, P-51 머스탱, P-40 워호크 | ||||||||||||||||||||||||||||||||||||||||||||||||||||||||||||||||||||||||||||||||||||||||||||||||||
해군 소속 육상공격기/폭격기 | G3M 96식 육상공격기, G4M 1식 육상공격기, P1Y 깅가, H6K 97식 비행정, H8K 2식 비행정, G5N 신잔, G8N 렌잔 | ||||||||||||||||||||||||||||||||||||||||||||||||||||||||||||||||||||||||||||||||||||||||||||||||||
해군 소속 국지전투기 | N1K-J 시덴, J1N 겟코, J2M 라이덴 | ||||||||||||||||||||||||||||||||||||||||||||||||||||||||||||||||||||||||||||||||||||||||||||||||||
해군 소속 수송기 | L2D, H6K 97식 비행정, H8K 2식 비행정, G5N 신잔 | ||||||||||||||||||||||||||||||||||||||||||||||||||||||||||||||||||||||||||||||||||||||||||||||||||
해군 소속 수상기 | F1M 영식수상관측기, E13A 영식수상정찰기, N1K 쿄후, M6A 세이란, E16A 즈이운 | ||||||||||||||||||||||||||||||||||||||||||||||||||||||||||||||||||||||||||||||||||||||||||||||||||
특공기 | MXY-7 오카, Ki-115 츠루기 | ||||||||||||||||||||||||||||||||||||||||||||||||||||||||||||||||||||||||||||||||||||||||||||||||||
프로토타입 | J4M 센덴, J7W 신덴, J9Y 깃카, 나카지마 Ki-87, Ki-88^, 다치카와 Ki-94, Ki-201, Ki-200 슈스이, R2Y 케이운, J6K 진푸^ | ||||||||||||||||||||||||||||||||||||||||||||||||||||||||||||||||||||||||||||||||||||||||||||||||||
페이퍼 플랜 | A8M 리후쿠, G10N 후가쿠*, 와쿠세이 함상폭격기, Ki-162 | ||||||||||||||||||||||||||||||||||||||||||||||||||||||||||||||||||||||||||||||||||||||||||||||||||
대잠 초계기 | Q1W 토카이 | ||||||||||||||||||||||||||||||||||||||||||||||||||||||||||||||||||||||||||||||||||||||||||||||||||
*엔진만 몇기 만들어졌다. ^목업으로만 존재함. |
항공병기 둘러보기 | ||||||||||||
1차 세계대전 | 연합군 | 독일 제국 | ||||||||||
전간기 | 프랑스 | |||||||||||
2차 세계대전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이탈리아 왕국 | 소련 | 노르웨이 | 스웨덴 | |||||||||
핀란드 | 덴마크 | 스위스 | 태국 | |||||||||
프랑스 | ||||||||||||
제트전투기 | 미국 | 러시아 | 프랑스 | |||||||||
유럽 | 아시아 |
잘나가던 시절의 G4M 초기형 편대.아래에 달린게 오카처럼 보이지만 다른 베티다.
P-38 라이트닝 전투기의 공격을 받아 격추되는 G4M.
MXY-7 오카를 투하하는 G4M
海軍 一式陸上攻撃機 三菱 G4M
Japanese Navy Type 1 Land-based Attack Aircraft Mitsubishi G4M 'Betty'
1 제원
- G4M1 11형 기준
- 분류 : 7인승 중형 폭격기
- 전장 : 19.97m
- 전폭 : 24.89m
- 전고 : 4.9m(수평자세)
- 익면적 : 78.13㎡
- 엔진 : 미쓰비시 MK4A-11 카세이 복열 14기통 공랭식 성형엔진 2기 (1,530마력)
- 자체중량 : 6,741kg (전비중량 9,500kg/최대이륙중량 12,860kg)
- 최대속도 : 428km/h
- 순항속도 : 315km/h
- 실속속도 : 120km/h
- 항속거리 : 5,037km[1]
- 무장
- 92식 7.7mm 기관총 4정 (기수 포탑 1정, 좌우 측방 1정씩, 상부 포탑 1정)
- 99식 20mm 기관포 1문 (후미 포탑)
- 폭장
- 91식 改-3 858kg 항공어뢰 1기 or 800kg 폭탄 1발 or 250kg 폭탄 4발
- 통상 폭장 대신 특수공격기 MXY-7 오카 1기
2 개요
제2차 세계대전 시기에 미쓰비시사에서 일본군 해군을 위해 제작한 육상공격기[2]이다. 정식명칭은 G4M 1식 육상공격기이다. 원래 일본해군은 항공기에 별칭을 붙이는 관례가 없었는데[3], 그 때문에 연합군에서 붙인 식별기호 베티(Betty)가 더 유명해졌다.[4] 지금도 세계에서 태평양 전쟁을 다룰 때, 이 기체를 베티라 부르는 경우가 많다. 더불어 제로센과 함께 일본기체는 잠깐의 사격만 받아도 불이 붙어서 추락한다는 전설을 남겨준 기체이다. 일본에서는 1식 육상공격기를 줄여서 일식륙공(一式陸攻)이라고 부르고 있다.
일본 해군의 주력 중폭격기였던 만큼 파생형들도 다양하여 G6M1-L2라는 수송형태도 있었다. 해당 형태는 방어기총좌를 줄이고 20명까지 탈 수 있게 했던 기종이다.
2.1 개발
당초 미쓰비시사는 해군에게 4발 중폭격기 떡밥을 던졌으나, 해군에서는 미츠비시에서 쌍발 중(中)폭격기는 생산한 적이 있었으나 4발 중(重)폭격기를 생산한 적이 없어 빠르게 96식 육상공격기를 대체할 폭격기가 필요한 해군으로썬 긴 시간을 기다릴 여유가 없다는 점과 같은 값이면 쌍발 폭격기 2기를 생산할 수 있다는 이유로 거절하였다. 문제는 미쓰비시사에서 제시된 스펙에 감동을 받은 해군은 오히려 쌍발폭격기에 4발 중폭격기급 스펙을 요구하였고 이 때문에 개발 과정에서 간신히 해군의 요구사항에 맞출 수 있었는데, 이게 훗날 원샷 라이터의 전설을 탄생시켰다.
당초에는 일본은 폭격기무적론에 힘입은 상태였지만 정작 선행기인 96식 육상공격기는 중일전쟁에서 적잖은 수가 손실되었고 결국 일본군은 방어에도 신경을 쓸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차후 서양의 주력이 될 20mm급의 기관포에 대한 방탄 성능을 내는 것은 킨세이에서 카세이로 엔진 출력을 높인 상태에서도 불가능했고 이에 개발진들은 차라리 최대속도와 고고도 성능을 높임으로써 피탄을 줄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여겨 방탄능력은 우선순위에서 뒤로 미루게 된다. 그러나 고도와 속력을 높여서 격추를 피한다는 개념 자체가 잘못된것은 아니다. 이러한 개념 자체는 일본 뿐 아니라 영국과 미국 또한 가지고 있고 냉전시기까지도 어느 정도 유효한 대응이었다. 독일 본토 항공전에서 폭격기들의 피해가 커지자 미국이 취한 조치중 하나가 폭격기들의 작전고도를 올리는 것이었으며[5] 냉전기에 영국의 폭격기 아브로 벌칸과[6] 미국의 정찰기 U-2와 SR-71도 그런 개념이 적용되었던 만큼 개념 자체가 잘못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진짜 문제는 베티가 비행할 수 있는 고도에 베티보다 더 빠르게 날 수 있는 기종이 배치된 상황에서도 여전히 성능의 향상이 없는 베티를 운용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개발이 완료된 베티는 선행기인 G3M 96식 육상공격기의 기록을 교훈삼아 이전보다 나아진 점이 크게 다섯가지가 있었는데,
- 동체 내부에 폭탄과 어뢰를 탑재할 수 있어 공기저항을 줄일 수 있었고
- 정교한 디자인으로 쌍발 중폭격기치고는 경쾌한 운동성을 가질 수 있었으며
- 96식이 쓰던 킨세이 엔진보다 진보된 카세이 엔진을 장착해 최대속도도 증가했다.
- 또한 방어화기를 증가시켰다.
- 마지막으로, 항속거리가 4,000km에 달했다.
그외에도 자동방루연료탱크, 자동소화장치 등을 탑재해 96식 육상공격기보다는 훨씬 진보된 설계를 가지고 있었다.
2.2 전성기
평소 위키니트들이 알고 있던 일본군의 모습과 달리 개발사의 의도는 아주 잘 맞아떨어져 태평양 전쟁 초기에는 여느 연합군 전투기보다 더 높은 고도를 날 수 있는 기체였다. 그 때문에 요격이 어려웠으며, 일본해군의 요구에 따라 초기 생산형은 4,000km의 항속거리, 후기 생산형은 6,000km에 달할 정도의 정신나간 항속거리로 "설마 여기까지 오겠어?"란 곳까지 나타나 공격을 하면서 연합군을 충격과 공포에 몰아넣었다. 실제로 미 항모전단도 몇번이나 뜬금없이 나타난 베티들에게 공격당한 적 있었다.[7]
또한 숙련병들이 모는 베티가 지닌 정확한 뇌격능력으로 인해 연합군 선단의 피해가 막심했으며, 그 때문에 태평양에서 활동하는 연합군 선단에는 "베티를 조심하라"는 경고문구가 있었을 정도. 그리고 이러한 베티의 활약에 노이로제가 걸린 연합군이 대규모 선단을 동원한 탈출작전을 포기하면서 바탄 반도에 고립된 미군과 필리핀군은 결국 일본군에 항복할 수 밖에 없었고 바탄 죽음의 행진을 비롯한 각종 학대에 시달리며 비참한 운명을 맞이할 수 밖에 없었다.
그 외에 육상에서도 연합군의 주요 거점에 폭격을 가하며 육군의 진격을 도운 까닭에 초창기 동남아시아에서 일본군이 선전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2.3 몰락
과달카날 전투를 전후로 미국은 신형 전투기들을 양산하여 투입하기 시작하였다. 바로 P-38 라이트닝과 F4U 콜세어, F6F 헬캣. 이렇게 베티보다 더 높이 날 수 있으며, 훨씬 고속 성능을 가진 기체들의 등장으로 인해 결국 제로센과 함께 야라레메카로 전락했다. 애초에 베티는 방어력이 우수한 게 아니라 높은 상승 고도와 기동성에 긴 항속거리를 더해 적기가 쫓을 수 없어 활약할 수 있던 기체인데 그 장점 세가지중 두가지가 의미 없어진 것이니... 물론 방어력이 좋다는 연합군의 중폭격기들도 많이 격추되기는 했지만 적어도 '원 샷 라이터' 또는 '플라잉 지포'라는 별명이 붙은 수준은 아니었다. 게다가 그 연합군의 중폭격기를 격추하기 위해서 독일은 20mm기관포도 모자라서 30mm MK 108은 물론이고 MK 103도 탑재하려고 시도했으며 미넨게쇼스까지 사용해야했다.
또한 베티가 엄청난 항속거리를 가질 수 있었던 것은 사실 제로센처럼 주익에도 연료탱크를 탑재했기 때문이다. 해군이 요구한 항속거리를 맞추려다보니 어쩔 수 없이 탑재한 것으로 사실 미츠비시사도 불이 붙었을 경우 자동소화장치가 작동하고, 고무로 피탄부위가 자동봉인되도록 하는 등의 상당히 고급진(?) 방지책을 설치했었다. 이 중에서 자동방루탱크는 미국, 영국, 독일 등의 항공기에도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유폭방지수단이라는 점에서 볼 때 상당히 합리적인 조치였다.
그러나 이러한 대책을 취해도, 결국 다굴빵이나 기관포 죽창 앞에서는 모두 한방일 뿐. 이런 사태를 예상한 설계자는 그래도 승무원들을 배려해서 후방 사수석에 일본기치고 어마어마한 방어무장인 20mm 기관포를 설치해 주었으나, 애초에 빠르게 지나가는 전투기들에게 탄속이 느려터진 99식 1호 기관포가 먹히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이는 방어기총으로 쓰인 다른 병기들도 겪었던 문제들로, 미국의 12.7mm 기관총은 탄속, 탄도 -그리고 제어- 가 매우 우수했음에도 불구하고, 겨우 10kph의 차이가 엄청난 결과를 만들어내는 공중전에서는 맞추기가 매우 어려웠다. 방어기총을 쏘는 입장에서는 12.7mm던 20mm던 빠르고 날렵하게 움직이는 항공기를 잡는건 매우 어려웠던 것이다. 그래도 20mm는 20mm라고 맞추기만 하면 위력만큼은 확실했기에 미군 조종사들은 항상 일본 폭격기의 후방 총좌를 주의하며 접근했다고 한다.
미국은 몇 번 상대해본 결과 탄환이 스치기만해도 불이 붙는다면서 "원샷 라이터" 또는 "날아댕기는 지포 라이터", 모양이 시가랑 비슷해서 "날아댕기는 시가"란 별명을 붙였다. 일본해군에서는 역시나 담배를 닮았다고 해서 하마키(葉巻)라 불렀다.
게다가 다른 일본의 비행기처럼 베티도 숙련된 조종사가 필요했으며, 신참 조종사가 조종하는 경우 대형폭격기의 특성을 넘지 못해 뇌격같은 어려운 임무를 할 경우 뇌격을 하기도 전에 연합군의 대공포에 쳐맞고 추락하는 일이 많았다.
결국 태평양 전쟁 후반부에는 카미카제 공격에 투입되거나, 유인 자살폭탄으로 유명한 MXY-7 오카를 견인해주기 위해 투입되기도 하였으며, 개조를 하여 B-29를 요격하기 위한 요격작전에도 투입이 되었다. 그래봤자 전쟁 전에 개발된 기체를 큰 개조없이 쭈욱 쓰고 있었으니 될리가... 제로기보다 피탄면적이 훨씬 넓고 방어력은 더 떨어지며 훨씬 느린 G4M으로 반자이 어택을 하려는 것은 당시 미군의 방공망에 너무 무모한 짓이었다. 물론 별의 별 기체들을 총동원해야 했던 일본군으로서는 어쩔 수 없는 짓이었지만.
전후, 일본에서는 퇴역을 하였지만 인도네시아는 일본이 버리고 간 기체를 입수하여 1949년까지 운용을 하였다. 그런데 네덜란드와 독립문제로 다투면서 다 깨먹었다고.
일본군 해군 사령장관인 야마모토 이소로쿠가 이 기체를 탔다가 P-38 라이트닝의 기관포탄에 맞아 끔살당했다. 자세한 사항은 야마모토 이소로쿠 항목 참고.
2.4 평가
제로센과 같은 운명을 지닌 군용기다. 철저히 용병성 위주로 설계되어 다른 여러 것을 희생할 수 밖에 없었으나, 그렇기에 우수한 용병성을 보이면서 전쟁 초부터 전쟁 말기까지 쭉 하늘을 날아다닌 군용기인 것이다.
물론 나쁜 물건은 아니다. 연합국과 추축국을 통틀어 탑클래스에 들어가는 5,000km를 넘기는 무지막지한 항속거리[8]는 그 자체만으로도 전략적인 가치가 상당한 것이었다. 여기에 능숙한 승무원이 있으면 상황에 따라서는 상당한 위협이 될 수 있는 것도 사실이긴 하다. 그래서 태평양 전쟁 말기까지 가끔씩이나마 단독이나 소수로 갑자기 습격하는 베티를 막기 위해 미군이 신경을 쓰긴 했다.
하지만, 결국 문제는 그들이 상대한 것은 물량과 질에서 넘사벽인 미국이었던 것이다.
2.4.1 도움 될 글
G4M 베티를 타고 종전까지 살아남은 신이 보우하신 베테랑 파일럿 '타카하시 쥰'의 인터뷰 링크
3 미디어 등장
배틀스테이션 시리즈에서 일본 폭격기로 등장한다. 특이한 점으로는 오카를 적재한 사양도 나온다는 것.
- ↑ 후기형으로 갈수록 짧아진다.
- ↑ 참고로 일본 해군의 육상공격기는 육상기지에서 운용을 하며 적 선박에 대한 뇌격, 주요 거점에 대한 폭격, 주요 요인 및 물자의 수송 등의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였다. 현대의 기준으로는 사실 '공격기'가 아닌 '폭격기'로 분류되며 제2차 세계대전 당시의 다른 국가들이나 일본 육군의 기준으로 보아도 역시 '폭격기'로 분류할 수 있는 기종들이었지만, 뇌격기로부터 발전하였다는 점(덧붙여 일본 해군에서는 뇌격기를 '공격기'라고 호칭하고 있었다.)이나 급강하폭격기로서는 쓸 수 없었던 점을 이유로 일본 해군에서는 이러한 기종들을 '폭격기'가 아닌 '공격기'로 분류하여 '육상공격기'라 호칭하고 있었다.
- ↑ 이후 수정되어 J1N 겟코부터 항공기에 별칭이 붙었다.
- ↑ 히스토리 채널의 다큐멘터리 'SECRET JAPANESE AIRCRAFT OF WORLD WAR II'에 의하면 이 이름은 정보부 직원중 한명의 여자친구 이름이었다고 한다.
- ↑ 당시 독일 공군의 주력 기종들은 3만 피트까지 올라오면 성능이 많이 저하되서 요격에 어려움이 생기고 대공포도 유효한 피해를 주기 어렵기 때문이다.
- ↑ 이쪽은 아예 방어무장을 장착하지 않았다.
- ↑ 엔터프라이즈 역시 42년 2월에 베티 편대의 공격을 받았으나 다행히 전부 피하는 데 성공하고 되려 베티 1기를 격추하는 데 성공한 기록이 있고,(정보 출저 'Battle 360') 렉싱턴은 베티 편대에게 공격당했으나 역관광하고 미 해군 최초의 에이스를 만든 바 있다. 하지만 모든 함선이 그런 것은 아니라서 랭글리 같은 경우엔 이 베티들에게 격침당하고 말았다.
- ↑ 전략 폭격기 개발 자체가 지지부진한 독일은 말할것도 없고 영국의 아브로 랭커스터의 항속거리가 4,000km를 간신히 넘기는 수준이며 B-17은 3,300km 수준이다. 이보다 항속거리가 긴 기체는 B-24나 B-29정도가 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