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1K-J 시덴

제2차 세계대전의 일본군 항공병기
육군 전투기Ki-27 97식 전투기, Ki-43 하야부사, Ki-44 쇼키, Ki-61 히엔, Ki-84 하야테, Ki-100 5식 전투기
육군 쌍발 전투기Ki-45 토류, Ki-102 5식 습격기
육군 폭격기BR-20 시코그나, Ki-21 97식 중폭격기, Ki-30 97식 경폭격기, Ki-32 98식 경폭격기, Ki-49 돈류, Ki-51 99식 습격기, Ki-67 히류
함재기함상전투기A5M 96식 함상전투기, A6M 0식 함상전투기, A7M 렛푸
함상공격기B5M 97식 2호 함상공격기, B5N 97식 함상공격기, B6N 텐잔, B7A 류세이
함상폭격기D3A 99식 함상폭격기, D4Y 스이세이
함상정찰기C6N 사이운
노획 항공기LaGG-3, F2A 버팔로, B-17, P-51 머스탱, P-40 워호크
해군 소속 육상공격기/폭격기G3M 96식 육상공격기, G4M 1식 육상공격기, P1Y 깅가, H6K 97식 비행정, H8K 2식 비행정, G5N 신잔, G8N 렌잔
해군 소속 국지전투기N1K-J 시덴, J1N 겟코, J2M 라이덴
해군 소속 수송기L2D, H6K 97식 비행정, H8K 2식 비행정, G5N 신잔
해군 소속 수상기F1M 영식수상관측기, E13A 영식수상정찰기, N1K 쿄후, M6A 세이란, E16A 즈이운
특공기MXY-7 오카, Ki-115 츠루기
프로토타입J4M 센덴, J7W 신덴, J9Y 깃카, 나카지마 Ki-87, Ki-88^, 다치카와 Ki-94, Ki-201, Ki-200 슈스이, R2Y 케이운, J6K 진푸^
페이퍼 플랜A8M 리후쿠, G10N 후가쿠*, 와쿠세이 함상폭격기, Ki-162
대잠 초계기Q1W 토카이
*엔진만 몇기 만들어졌다. ^목업으로만 존재함.
항공병기 둘러보기
1차 세계대전
연합군
독일 제국
전간기
프랑스
2차 세계대전
미국
영국
나치 독일
일본 제국
이탈리아 왕국
소련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
스위스
태국
프랑스
제트전투기
미국
러시아
프랑스
유럽
아시아


N1K1-J 시덴 11형

N1K2-J 시덴 21형(시덴 改)
Kawanishi N1K-J "George" Shiden

1 제원

분류단발 단좌 전투기
전장9.3 m
전폭12.0 m
전고3.9 m
주익면적23.5 m²
자체중량2,656 kg
전비중량4,000 kg
엔진나카지마 호마레 21형(NK9H) 복렬 18기통 공랭식 성형엔진, 2,000PS
최대속력고도 6,096m(20,000ft)에서 656km/h(408mph)
상승력해수면에서 19.6m/s, 고도 1,798m에서 20.65m/s
항속거리1,746km(1085mile)/편도 2,395km
무장양 주익에 99식 2호 4형 20mm 기관포 2문씩, 1문당 탄약 200발
250kg 폭탄 2발이나 400L 드롭탱크 1기 장착 가능
  • N1K2-Ja 시덴 21甲형
분류단발 단좌 전투기
전장9.346m
전폭11.99m
전고3.96m
주익면적23.5 m²
자체중량2,710 kg
전비중량3,800kg
엔진나카지마 호마레 21형(NK9H) 복렬 18기통 공랭식 성형엔진, 2,000PS[2]
최대속력620kph[3]
항속거리정규1,716km/과하중 2,395km
무장양 주익에 99식 2호 4형 20mm 기관포[4]2문씩, 1문당 탄약 225발
250kg 폭탄 2발이나 400L 드롭탱크 2기 장착 가능

2 개요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군 해군의 국지전투기[5]. N1K 쿄후에서 플로트를 떼어내서 만들었다. 연합국 코드명은 "조지(George)"

3 탄생

카와니시 항공기 내에서 항공업계의 장래를 검토해본 결과, 주력 사업인 수상기는 오래 못갈 것이란 결론에 도달했고, 이에 장래가 유망한 육상기 사업을 진행하려고 했다. 그러나 수상기를 주로 만들던 카와니시에게 있어서, 육상기는 크게 도전해야하는 분야였고, 따라서 몇 가지 안건 중 '기존 수상기를 빠른 시일 내에 육상기로 개량하는 방안'을 채택하여 가능성이 높았던 N1K 쿄후를 개량하였고, 이렇게 하여 탄생한게 N1K-J 시덴이다. 당시 제로센의 후계기종이었던 A7M 렛푸의 개발이 늦어지자, 일본 해군은 렛푸 대신 이 전투기에 큰 기대를 하게 된다. 그러나 육상기 제작 경험이 없던 카와니시답게 수상전투기를 육상전투기로 바꾸는 과정에서 몇 가지 결함이 발생했고, 그 중 가장 큰 문제가 바로 랜딩 기어였다. 만들어놓고 나니 너무 길어서, 이륙한 후 날개에 안 들어가는 사태가 터진 것. 결국 신축식 랜딩기어라는 복잡한 구조의 기어를 만들어서 집어넣을 수 있었다. 그런데…

3.1 N1K1-J 시덴

"다 만들었지? 당장 실전에 내보내."

일본군의 사정이 워낙 급했기에, 이 전투기는 아직 마무리도 되지 않은 시점에서 급하게 양산되게 된다. 그러나 파일럿들의 불평이 많았다. 쿄후가 수상기중에서 나름 좋은 편이어서 비행기는 나름 멀쩡한 놈이 나왔는대 성능이 제로 보다 조금 나은 수준이라 불평이 나온게 당연한 상황. 또 랜딩기어가 들어가는게 너무 느리고 고장도 잦아서 욕을 먹었다. 개발자도 억울했는지 교본에 "급하게 개조된 기체라 개량 가능성이 높다"라고 해놨다. 그리고 시덴 카이가 생산되던 중에도 양산되서 시덴 훈련받아 기대 하던 파일럿들을 절망시키기도 했다.[6]

3.2 N1K2-J 시덴 21형(시덴 改, 시덴카이)

이 문제를 대폭 개선한 것이 시덴카이다. 중익형의 날개를 저익형으로 개량하여 랜딩기어의 길이를 줄였고, 덕분에 이제는 복잡한 장비를 랜딩기어에 넣을 필요가 없어졌다. 이와 함께 외형도 바꿔서 세세한 결함을 개선하였다. 또한 불필요한 부품을 최대한 줄여서 시덴 11형 대비 부품수가 약 65% 정도로 줄어들었고, 양산성이 향상되었다.[7] 이를 두고 시덴/시덴카이의 아버지인 키쿠하라 시즈오 기사는 전후 이를 '설계자로서 만족스러웠다'라고 술회했다. 이러한 노력을 인정받아 1944년 말부터 소량이 임시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했고, 해군 측은 시덴改에 큰 기대를 하여, 총 11,800대의 생산 계획을 세워서 1945년 1월에 정식 양산에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그 결과, 총 양산된 숫자는 428대...[8]

시덴카이를 조금 더 완벽하게 다듬은 형식인 시덴카이 후기 양산형인 시덴 카이 21형甲(N1K2-Ja)을 베이스로 하여 기수의 무장을 13mm 3식 기관총으로 강화한 N1K3-J 시덴 31형(시덴改一)도 있었으나 시제기만 제작되었다. 이 시덴 31형을 바탕으로 항모 착함용 어레스팅 후크를 추가하여 함재기 형식으로 개량한 시덴 改二(N1K3-A)는 항공모함 시나노의 함재기로도 사용 될 예정이었고 실제로 착함 실험도 하였으나[9], 시나노가 첫 항해에서 SS-311 아처피시에게 격침 당하면서 함재기로 사용하려던 계획은 최종적으로 취소 되었다.

저압 연료분사장치를 추가하여 과급기의 혼합공기 분배 문제를 해결하여 더욱 문제없이 2000마력의 출력을 낼 수 있었던 호마레 23형으로 교체한 시덴 32형(N1K4-J, 시덴改三)라는 개량형 모델도 존재했으나 역시 프로토타입만 제작되었다.

이 외에도 시덴 改를 복좌형으로 개조한 훈련기도 소수 생산되었다.

3.3 생산량과 시기에 관한 이야기

시덴 카이 생산량
시기생산량시기생산량시기생산량
1943년1(프로토타입)1944년 1월11945년 1월35
1944년 2월11945년 2월47
1944년 3월11945년 3월59
1944년 4월21945년 4월83
1944년 5월11945년 5월83
1944년 6월11945년 6월25
1944년 7월31945년 7월18
1944년 8월21945년 8월10
1944년 9월1
1944년 10월6
1944년 11월17
1944년 12월31
1943년 총계11944년 총계671945년 총계360

양산형 전투기인지 예술작품인지

그런데 1945년이면 일본군이 폭삭 망해가는 시절이다.43년도부터 폭삭이다. 당연히 모든 방면에서 트러블이 발생하는 것은 정해진 것이고, 생산량 역시 미군이 무시무시한 B-29P-51 머스탱 대편대를 몰고 오는 와중에 저거 밖에 안 된다. 그래도 제 343 해군항공대처럼 베테랑들이 집결한 부대에서는 미군 전투기들을 상대로 대등하게 싸우기도 했지만, 역시 열세를 극복하지는 못하고 종전을 맞이한다.

4 실전 사례

F6F 헬캣과 교전한 기록과 F4U 콜세어와 교전한 기록이 현재 알려져 있는데, 전자의 경우 지상 격추를 제외하면 4기 손실로 7기를 잡은 기염을 토했다. 총 손실은 일본측 6대, 미군측 8대였으나, 지상 포화에 시덴카이 2대가 손실당했다. 이 기록은 343 해군항공대 전투 407 비행대의 기록.

그러나 343 해군항공대의 콜세어와의 교전은 또 달라서, 고립된 2대의 콜세어와 붙었는데, 4대가 탈탈 털리고 콜세어 2대는 격추되지 않고, 손상을 입은 채 항모에 돌아왔다. 물론, 이후 복수를 해서 3대를 격추하고, 귀환한 5대는 바다로 버리게 만들 정도의 손실을 입혔다. 반면, 미해군의 기록은 10대 격추를 주장했지만, 교차 검증해보면 역시나 손실이 아닌 손상 입고 귀환이라 격추 기록은 없었다. 그러나 미군이 제공권을 장악한 상태라 귀환하던 도중 헬캣의 공격에 2대를 손실했다고 한다.

5 평가

종합적으로 말하면 기체 자체는 쓸만했다는 것이다. 내구력도 쓸만하고, 화력도 매우 강한 편이고, 속도는 헬캣까지는 상대할만하고 기동성도 일본기 특징답게 좋았고. 제로센에 비해 선회력만 뺀다면 확실히 뛰어났다. 그리고 제 343 해군항공대의 조종사들 실력도 상당한 수준이었기에 몇몇 경우에는 도리어 미해군보다 우월한 전과를 내기도 했었던 기체. 다만, 전략적으로 일단 제공권을 뺏긴 상황이었던지라 제아무리 활약을 해도 전황을 바꾸기는 불가능했다. 제트전투기 Me262로 무장한 JV-44도 못한 일을 조금 성능이 괜찮은 프롭기 정도로 할 수 있을리가...

즉 당대 기준 상위 급은 하던 전투기라서 쓸만했는데, 생산 시기도 늦고 전쟁도 패배해가고 생산 수량도 매우 적은 기체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343 해군항공대의 뒤로 돌아가보면, 시덴 계열의 엔진인 호마레의 고장으로 날지 못하는 시덴 改가 산을 이루고 있었다고 한다.[10] 현재는 비행가능한 물건은 없고, 노획된 기체들은 약간의 복원을 거쳐 박물관행이 되었으며, 일본에 전시된 기체는 바다속에 추락한 것을 꺼낸 물건이다.

6 미디어에서의 등장

월드 오브 워쉽에서 N1K5-A라는 이름으로 8티어 항공모함 쇼카쿠와 9티어 항공모함 다이호가 운용한다.종이내구에 편대당 항공기 수가 동티어 미전투기에게 압도적으로 밀리지만 기총소사 능력은 압도적이라 일발역전에 강하다.

함대 컬렉션에서 시덴 改二 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앞서 언급한 N1K3-A가 그것이며 장비 일러스트의 주익에 N1K3-A라는 글자가 쓰여져 있다. 자세한 것은 함대 컬렉션/함재기 항목으로. A7M 렛푸와 우열을 다루는 기체이다.사실대로라면 렛푸따위보단 능력치가 높을테지만 대공이 1 밀린다. 그래도 회피가 3 높긴 하다. 어차피 둘다 징글맞게 안 나오지!

워 썬더 일본 해군 항공대 트리의 4랭크 전투기로써 Ki-84 하야테와 함께 일본 4티어를 책임진다. 그냥 시덴과 시덴카이, 후기 양산형인데 어째서인지전폭기 형식인 甲형 세 종류가 있으며 성능은 프롭기 중 만능이라 칭할만 하지만 배틀레이팅이 높은 관계로 P-80 슈팅스타와 매칭되는 일이 잦다.
  1. 해당 제원은 미군에서 테스트한 결과(Archives of M. Williams, TAIC 107 A1 Report: George 11)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음.
  2. PS는 프랑스 마력으로 불리는데, 엔진 출력을 잴 때에는 이 쪽이 더 정확하다.
  3. 하야테 등의 기체가 그러했듯이, 전후 시덴 11형(N1K1-J, TAIC Report 107A) 또한 미국에 의해 받은 조사에서 656.6kph(408mph)라는 속도가 나왔다. 기존의 594kph라는 속도는 출력제한이 걸린 상태에서 측정된 것으로, 점점 제한을 풀어가며 카와니시에선 610kph, 이후 요코스카 항공대에서 620kph가 나왔다. 시덴 21형 취급설명서에 의하면 출력제한이 없을경우 644kph 가 나올것으로 추정했다. 실제로 620kph 이후 측정을 했는지는 사료가 없어 불명.
  4. 참고로, 343공의 기록에 의하면 기존 4형의 분당 500발에서 연사속도를 분당 620발까지 올려주는 '발사속도 증속장치'를 장착한 4형 '발사속도 증대장치' 장착 기관포 장비 기체의 '증속장치' 파손에 대한 기록이 나온다.
  5. 局地戦闘機. 일본 본토 방공용 단거리 요격기를 뜻하는 일본식 조어이다.
  6. 생산량 자체도 시덴이 시덴카이보다 2.5배쯤 많다. 시덴카이의 생산량이 406대인데 비해서 시덴은 1007대가 생산되었다.
  7. 약 66,000개의 부품을 약 43,000개까지 대폭 줄였다.
  8. 또 그냥 시덴도 생산되서 시덴 훈련 받아서 좋아했다가 改가 아니라서 실망한 파일럿도 많았다고 전해진다. 일단 改가 본격적으로 양산에 들어가면서 그냥 시덴의 생산량 자체가 줄어들기는 했지만 改의 생산량도 적은데다가 기존에 만들어둔 시덴이 800대가 넘어가는지라...
  9. 시덴/시덴카이의 설계자인 키쿠하라 시즈오 기사가 실제로 착함 실험에 참여하였다.
  10. 호마레 자체에는 문제가 없었으나, 정기적인 엔진 정비와 조정, 부품 조달 등이 힘들어져서 고장이 속출했다고 한다. 게다가 전쟁 말에 일본의 상태가 엉망이 되면서 이 문제는 더 심각해졌고 같은 계열의 엔진을 사용하는 하야테도 비슷한 이유로 후기생산분은 신뢰성이 상당히 나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