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eungsiheom

리센티아급 흑역사를 극복하고 1년 후 나무위키 운영진을 꿈꾸는 위키러. 1번만 더 차단당하면 망한다.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험생 여러분의 수능 대박을 기원합니다.

네이버 오픈캐스트가 멸망했습니다! 캬 사이다!!!!

Professional 'Today's Short Document' Editor

이 사용자는 오늘의 토막글 전문 기여자입니다.

현실적으로 볼 때 대부분의 오막글은 이 사용자의 기여량에 따라 운명이 갈릴 것입니다. 아니, 오막글 제도 자체가 그럴 것입니다.

[1]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00A495;padding:12px"
[[나무위키:프로젝트|width=30px]] {{{+1 이 사용자는 @프로젝트@의 참가자입니다.}}}

2016.09.02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00A495;padding:12px"
[[나무위키:프로젝트|width=30px]] {{{+1 이 사용자는 @프로젝트@의 참가자입니다.}}}

2016.10.04
저는 2016.11.17, 2017.11.16, 2018.11.15에 시행될 예정입니다.


참고로 이날은 규정상 제가 나무위키 운영진이 되는 것이 가능한 가장 이른 날짜입니다. 망해 가는 오막글 기여를 통해 ㄹㅅㅌㅇㄱ 당시의 안 좋았던 인상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1 오늘의 토막글 집중 기여 예정

오늘의 토막글: 도색
height=75토막글 도색에 기여의 손길을 보내 주세요! (17. 04. 05. 00시 기준)
-----
이 밖에 다른 여러 토막글작성을 바라는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작성이 필요한 문서도 둘러보세요.

틀:오막글
오막글 목록

실패 - F
저조 500이하 - D
저조 500초과 - D+
미흡 C, 부족 C+, 보통 B, 약진 B+, 성공 A, 대성공 A+

사실 그런 거 없다. suneungsiheom의 기분에 따라서 오막글 성공 여부가 갈린다 카더라.
에라이. 기분 진짜 안 좋은데 한 달 동안 모두 실패~부족이나 기록해라.
오막글 초대박 날짜: 2016.09.30[2], 2016.11.12, 2016.11.17, 2017.02.15, 2017.11.12, 2017.11.16, 2018.06.30, 2018.11.12, 2018.11.15, 2019.08.04, 2019.11.12

1.1 오막글 기여하는 방법

오막글이라고 특별한 거 없다.

  • 관련 사례를 현실이나 창작물에서 찾는다.
  • 공식 사이트에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한다. 이때 그대로 가져오는 것은 금물. 출처를 밝히는 것이 좋다.
  • 분류하기. 예를 들어 대각선의 경우 평면에서의 대각선과 공간에서의 대각선으로 분류할 수 있다.
  • 관련 사건사고, 논란 소개하기
  • 예시, 인용문
  • 유사한 것과의 구분

2 블로그 주제의 법칙 증명 미션

333
리센티아급
아래는 블로그 주제의 법칙을 증명하기 위해 정복해야 하는 최종 보스인 가면라이더 델타의 모습이다.

555-Delta.jpg
비밀리에 네이버에 블로그 최적화를 중단시킬 것과 오픈캐스트를 종료할 것을 요구한 자.
언수외 333, 3류 블로그 주제이지만 그 위력은 엄청나다.
후술할 모 음악 블로그

가면라이더 델타 : 약수역에서 자일리톨을 먹고 블로그 주제의 법칙을 멸망시킨다. 실시!
블로그 주제의 법칙이 멸망하기를 기원합니다.

블로그 주제의 법칙은 허구한 날 블로그 주제의 중요성이나 강조하는 천하의 개쌍놈 역대급 노답 핵쓰레기 폐기물 법칙입니다. 2016.08.25일자 블로그씨 질문에 대한 답으로 가장 적절한 법칙. 비인기 주제의 블로거들에게 절망을 안겨 주는 이런 법칙은 하루빨리 멸망해야 합니다. 2019년 11월 12일에 멸망하기를 기원합니다.

  • 블로그 주제의 법칙 : 블로그 주제가 좋을수록 일 방문자수 및 총 방문자 수, 나를 추가한 이웃수, 댓글 수 등 블로그 평가 지표가 높다. 예를 들어 요리 블로그가 수학 블로그보다 방문자 수와 이웃 수가 훨씬 많은 것. 당연한 것 같지만 최근 들어 망하고 있는 법칙이다.
  • 대체 법칙으로는 시기의 법칙[3], 소통의 법칙[4] 등이 있다 카더라.



2.1 들어가기 전에 : 네이버 블로그의 현실 요약

네이버 블로그계의 현실. 현실화된 것은 굵게 표시했다.

  • 2013.11.27 : 블로그 주제의 법칙 1차 반증 완료.
  • 2015.11.12 : 블로그 최적화 막힘. 그리고 블로그 주제의 법칙 증명 미션 시작.
  • 2016.04.14 : 네이버 파워 블로거 제도 폐지.
  • 2016.06.15 : 이달의 블로그가 파워블로그 대체 제도로 시작되었으나...
  • 2016.09.30 : 네이버 오픈캐스트도 망하니까 블로거에게는 검색밖에 답이 없음. 이 와중에 네이버 포스트는 더 잘 뜨는 상황. 신규 블로거는 최적화도 막혔으니까 검색에서도 답이 없으니 이날부터 노답 상태나 다름없어진다. 따라서 일단 신규 블로그의 탄생률이 노답이 된다. 블로그 멸망 1단계.
  • 2019.11.12 : 블로그 생태계의 기반 법칙인 '블로그 주제의 법칙' 이 멸망함.
  • 2019.??.?? : 네이버 블로그 검색 결과가 검색 결과 품질 논란 등으로 인해 없어지고 이를 대체할 포스트 검색 결과라든지 그런 것이 뜸. 블로거에게는 답이 완전히 없어진 상태가 되어 버림. 그 이후 블로거들이 썰물 빠지듯이 떠나가기 시작함. 블로그 멸망 2단계.
  • 2019.??.?? :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 막히니까 이를 기반으로 순위를 제공하는 블로그차트 서비스도 자동 종료정복됨.
  • 2020.11.12 : 페이스북 등의 인기에 블로그가 밀리는 현실. 블로그 검색 종료로 블로거들이 빠져나가는 현상까지 가세하여 네이버 블로그 서비스 종료. 블로그 멸망 3단계.
  • 2028.12.26 : 네이버 블로그 서비스 종료 이후 SNS(페이스북, 인스타 등)의 인기에 밀려 네이버 서비스 자체가 결국 종료됨.

2.2 미션 개요

* 2019-11-12 15:52:00 블로그 주제의 법칙 망함 사용자가 블로그 주제의 법칙 (사용자 차단) (126230400 동안) (블로그 주제의 법칙이 반증됨.) [5]


블로그 주제의 법칙이 깨지면 1년 이내에 네이버 블로그 서비스가 종료된다 카더라. 법칙이 깨졌다는 것이 네이버 블로그의 대혼란기라는 증거이니 그럴지도

블로그 주제의 법칙이란, 블로그 주제가 좋을수록(요리, 맛집, 여행, 인테리어 등) 파워블로거가 되기 쉽다는 것이다. 상식적으로 당연한 것 아닌가?
그런데 이 법칙을 깨려고 시도하고 실제로 성공한 블로거가 있다.

2015.11.12 이후 개설된 블로그 중 2019.11.12까지 이웃수 42,311을 돌파하는 블로그는 존재할 것인가?

블로그 주제의 법칙을 깬 그 블로거의 이웃수(2014.11.18 기준, 42,311명)를 넘지 못하면 블로그 주제의 법칙은 쓰레기통에 버려진다!

즉, 미션 내용은

2019.11.12 PM 03:52까지 증명자들 중 한 명이라도 이웃수 42,311명을 돌파하라!!

당연하겠지만 성공 시 블로그 주제의 법칙이 증명되고, 실패 시에는 반증된다.

증명자의 조건 :

  • 네이버 블로그이면서 블로그 히스토리상 2015.11.12 PM 03:52 이후 블로그 개설[6].
  • 유명인, 연예인, 기업 등 저명성 버프를 받는 경우는 증명자에서 제외.
  • 서로이웃 신청을 통해 나를 추가한 이웃수를 늘린다면, 그 양이 하루 평균 5명 이하일 것.
  • 가장 중요. 블로그 주제의 법칙에서 인정하는 인기 주제(요리, 패션, 일상, 게임, 자동차, IT[7], 맛집 등)중 1개 이상의 주제에 대해 최근 글을 기준으로 10% 이상의 비중으로 다룰 것.[8]

2015.11.12 이후 4년간 개설되는 블로그를 이 문서에서는 증명자 세대 블로그라고 한다. 증명자의 조건에 해당하는 기간에 개설된 블로그라는 뜻.

2.3 상황 요약

2010년 11월~2014년 11월에 활발히 운영되던 모 블로그(반증자로 칭함)에서 '블로그 주제가 좋을수록 파워블로거급이 된다' 는 법칙을 2013년 11월 27일에 깼다고 한다. 자세한 것은 이 문단의 9번째 항목 참고. 실제로 해당 블로그는 블로그 주제가 좋지 않다고 평가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2014년 11월 18일 기준 이웃수 42,311명으로 파워블로거급이라고 할 수 있다. 즉 4년 동안 이웃수 42,311명을 찍은 것.

2014년 11월 18일 이후 한동안 운영을 중단한 그 블로그에는 2016년 4월 28일, '블로그 주제의 법칙의 존폐 여부를 판단하겠다' 는 내용의 글이 올라왔다.

내용은 2015년 11월 12일[9] 오후 3시 52분부터 개설된 블로그 중 정확히 4년 후인 2019년 11월 12일 오후 3시 52분까지 이웃 수 42,311을 돌파하는 블로그 주제가 좋다고 할 수 있는 블로그가 1개도 등장하지 않으면 블로그 주제의 법칙은 영원히 없어진다는 것.

기업 공식 블로그, 연예인유명인 블로그는 저명성 버프를 받으므로 블로그 주제의 법칙 증명에서 제외한다.

요약하자면, 내가 블로그 4년 운영해서 이웃수 42,311명 만들고 블로그 주제의 법칙을 깼으니 블로그 주제의 법칙을 다시 증명하고자 하는 블로그 주제가 좋다고 볼 수 있는 블로거(증명자로 칭함)들은 4년 내에 자기만큼 이웃수 늘리라는 것.

파워블로그가 될 블로그는 매일 생기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실제로는 3년 X개월만에 도달해야 하니까 오히려 불리한 것이 아니냐 하지만, 1개도 등장하지 말아야 블로그 주제의 법칙이 소멸한다고 했기 때문에 만약 진짜로 그런 블로그가 등장하지 않는다면 블로그 주제의 법칙이 충분히 반증되는 것이다. 2015년 이후 네이버 블로그 환경 악화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2.3.1 현실적인 역할

주연

  • 증명자 : 블로그 주제의 법칙을 증명하고자 노력하지만 매번 성과가 리센티아급[10]인 자들.
  • 반증자 : 가만 놀고 있어도 어차피 증명자는 망할 거니까 그냥 지켜보는 자들.
  • 네이버 : 블로그 주제의 법칙을 멸망시키기 위하여 서비스 종료, 블로거의 영역 축소 등을 시행하는 사이트.

이 세 집단은 2019년 11월 12일 승부의 그날에 승패가 결정된다.

조연

  • 블로그차트 : 블로그 주제의 법칙상 좋지 않은 블로그로 판단되는 모 음악 블로그[11]의 블로그 순위를 낮게 주는 역할. 2016년 7월까지는 3만 등 정도를 주었는데 8월 1일 16만 등, 8월 8일 30만 등을 준 후 8월 15일부터는 50만 등[12] 정도를 준다. 9월 5일부터는 25,000위 정도인데 여전히 규모에 비해 엄청나게 낮은 순위이다.
  • 증명자의 아군 : 증명자는 아니지만 증명자와 같은 편에 속하는 블로거들. 그러니까 인기 있는 주제를 다루지만 2015.11.12 이전에 블로그를 개설한 블로거들이다. 증명자 조건에서 개설 시기를 2015.11.12 이전으로 바꾸면 된다.

2.3.2 2010년 11월 ~ 2014년 11월의 4년

블로거들의 천국이었던 시기

(반증자가 혜택(이웃추가수 1,000 이상)을 얻었던 부분은 ☆, 큰 혜택(이웃추가수 5,000 이상)을 얻었던 부분은 ★ 표시)

  • ☆ 2009년 ~ 2014년 3월 30일에는 네이버 메인 오픈캐스트 영역에 블로거의 컨텐츠가 많이 노출되었다. 뉴스 영역 바로 아래에 오픈캐스트가 위치하여 블로거들이 '추천캐스트' 에 노출되면 상당한 방문자 이익을 얻을 수 있었다.
  • 2011년 1월, 2012년 2월, 2013년 3월, 2014년 3월의 4차례에 걸쳐 네이버 파워블로거가 꾸준히 선정되었다.
  • 2011년 6월 말 모 블로거[13]관련 사건이 불어닥쳐서 파워블로그의 상업화가 이슈가 되었지만 블로그계에는 큰 탈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 2011년 9월부터 검색 상위 노출을 위한 댓글, 공감, 스크랩 수 조작이 유행하였다. 이에 따라 일부 키워드에서는 이런 조작을 행한 포스팅들이 거의 무적으로 상위노출되어 검색 결과의 품질이 매우 나빠졌다. 이는 2012년 12월 4일 리브라라는 로직이 도입되어 해결되었다.
  • ★ 2011년 10월 말 ~ 2014년 3월 30일까지는 '정보 플러스' 등에 포토샵, PPT, 요리 등 블로거들의 컨텐츠가 노출되었다. 실제로 그 블로그도 '정보 플러스' 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 2012년부터 블로그 저품질이라는 용어가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저품질은 3페이지 저품질, 최신순 저품질 등 글 노출에 제한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저품질에 걸리는 사례가 많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 ★ 2012년 11월까지는 블로그 최적화가 15~20일 정도만에 이루어졌고, 2012년 12월 4일 리브라가 도입되면서 최적화가 잠시 중단되었지만 2013년부터 약 35~45일 정도면 최적화가 가능했다.
  • 2012년 11월에 네이버에서 '구독+ 이벤트' 를 실시하여 '구독+' 에 있는 블로그들은 그 기간 동안 수천 ~ 수만의 이웃추가를 받았다. 이들 블로그들은 2013년 9월 25일 점검 전까지 구독+의 영향으로 하루에 이웃추가를 수십 건씩 받을 수 있었다.
  • 2013년 11월 27일 블로그 주제의 법칙이 깨졌다!![14]
  • 2014년 5월 말 이효리를 시작으로 연예인들이 네이버 블로그를 개설하기 시작했다. 이 중 이효리 블로그는 한 달 만에 이웃 수 10만 명을 돌파하였다.
  • 2014년 7월 21일 블로그차트가 오픈하였다.

2.3.3 2014년 11월 ~ 2015년 11월의 1년

블로그의 상업화가 급속도로 진행되었던 시기
  • 블로그 최적화를 하려면 35~45일간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 정설이 되면서, 블로그 최적화 테스트라는 포스팅이 유행했던 시기이다. 이때는 빠르면 30일대 초반, 늦으면 40일대 후반 또는 그 이상의 다양한 최적화 성공 사례를 접할 수 있었다.
  • 최적화 블로그를 만든 후 이를 판매하는 어뷰징 업자들이 증가하였다. 이렇게 판매된 블로그들은 광고 블로그로 바뀌며, 포스팅에는 상위노출을 위한 댓글, 공감, 스크랩 조작을 한 흔적이 보이기도 한다.
  • 결국 이 때문에 2015년 11월 12일 오전으로 대량 블로그 최적화의 시대는 막을 내렸다!!

2.3.4 2015년 11월 ~ 2019년 11월의 4년

블로그의 상업화로 인해 블로그가 망해가는 시기
  • 2014년 3월 31일부터 네이버 PC 메인이 오픈캐스트 대신 주제형 캐스트로 바뀌면서 오픈캐스트 영역은 주제형 캐스트의 12개 영역 중 하나로 바뀌었다. 이에 따라 네이버 메인에 접속하면 오픈캐스트에 있는 블로거들의 컨텐츠가 보일 확률은 1/12가 되었다. 그러나 주제형 캐스트의 라이프 섹션에서 요리, 인테리어 블로거들의 컨텐츠를 볼 수 있다.
  • 네이버 모바일 메인의 리빙, 푸드 섹션에는 네이버 블로거들의 글이 뜨며, 여기에 뜨면 수십만 명의 방문자 유입이 생길 수 있다.
  • 2015년 여름 V live가 오픈하였고, 이에 따라 생방송이 진행되는 동안 네이버 PC 메인의 주제형 캐스트에서 TV/동영상이나 뮤직 탭이 고정 노출되어 오픈캐스트가 메인에 떴음에도 불구하고 방문자를 많이 얻지 못하는 대참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 블로그 최적화2015년 11월 12일 이후(!!) 어려워졌다! 이 덕분에 '2015년 11월 12일 이후 개설된 블로그' 는 블로그 주제의 법칙에서 정의하는 기준이기도 하지만 상위노출에 관심 있는 블로거들 사이에서 의미 있는 기준이 되었다! 하필 수능 날이다. 그것도 반증자가 본 수능.
    • 결국 '증명자 세대 블로그' 가 네이버 블로그계에서 의미 있는 기준이 되어 버린 것이다. 그것도 블로그 최적화가 매우 어려운 기간에 만들어진 블로그라는 뜻으로.
    • 블로그 주제의 법칙 증명 미션이 2015년 중반 등으로 조금만 빨리 시작되었다면 증명 가능성이 매우 높았을 것이다. 하지만 2015년 11월 12일 시작이라...
  • 2015년 말에 모바일에 최적화된 네이버 LIVE 검색이 베타 오픈한다는 이야기가 있었고 2016.01.28에 드디어 오픈. 여기에 블로그 글이 뜰 수 있는데, 문제는 연예인 팬 블로거들(블로그 주제가 좋지 않은 것으로 인정)이 많이 뜨고 노출 효과도 크기 때문에 오히려 블로그 주제의 법칙을 멸망시킨다는 것이다.
  • 2015년 12월 29일에 네이버에서 '2015년을 빛낸 인기블로거' 를 발표하였다. 1년 동안 이웃추가를 받은 순위로 매기며, 여기에 노출되면 1년간 이웃추가 받은 양의 10% 정도의 이웃추가를 한 달 동안 받을 수 있다고 보면 된다. 그러나 위에 적힌 이유로 이웃추가를 비교적 받기 어려운 2015.11.12 이후 개설 블로그들은 선정되기 어렵다.
  • 2016년 들어 모 음악 블로그[15]가 대박이 터지고 있다. 2016년 8월 29일 기준 총 방문자 수 1억 1800만, 일 방문자 수 5만~9만 사이, 이웃수 107,000명 정도. 초대박인 것은 하루 이웃수 증가량이 150~200명에 이른다는 것이다. 이것은 네이버 블로그 전체에서 1일 이웃추가수 2~3위로 예상되는 수치이다. 블로그 주제의 법칙의 반례로 핵 적절한 사례 등장. 참고로 2015년에는 '2015년을 빛낸 인기블로거 TOP 100' 에도 들지 못한 것으로 보아 1일 이웃추가량이 평균 31명 미만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블로그차트 순위가 50만 위 정도로 블로그 규모에 비해 매우 낮은 편이라는 것. 게다가 이 블로그, 네이버 검색창에 'ㅇ' 이라고 입력하자마자 이름이 뜨는 경우도 있다!!
  • 2016년 4월 14일 네이버 파워블로거 제도가 폐지되었다. 그 정도에 그치는 줄 알았으나... 그해 8월 29일 네알검에서 증명자 세대 블로그가 선정될 수 없는 파워블로그에는 상위노출 가산점을 주고, 증명자 세대 블로그들도 꽤 선정되는 이달의 블로그에는 주지 않는다고 밝혔다. 영원히 고통받는 증명자 세대 블로거들
  • 2016년 6월 15일 이달의 블로그가 오픈하였다. 그러나 '이달의 주제', '테마 블로그' 등 비교적 위쪽에 위치하는 영역은 이웃 수 1만 명 이상인 파워블로거 위주이며[16], 블로그 주제의 법칙을 다시 증명할 수 있는 2015.11.12 이후 개설 블로그들을 일부 소개하는 '루키 블로그' 영역은 맨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어 효과가 적다. 어쨌든 증명자들이 소개되고 있어 블로그 주제의 법칙 증명 각이 보였다.
  • 2016년 7월 29일 (마침 D-1200 하루 전) 네알검에서 '블로그 주제가 좋을수록 블로그의 인기가 높고, 이에 따라 스크랩 등을 많이 받아 상위노출이 잘 되기 때문에, 비인기 주제 키워드에서 경쟁해도 그쪽 전문 블로거보다 상위노출된다' 는 블로그 주제의 법칙의 대표 논리가 틀렸음을 보였다. 검색 순위 알고리즘 중 하나인 C-Rank에서는 같은 품질, 최적화 상태인 경우 해당 주제에 특화된 블로그를 우선 노출시켜 주기 때문. 이 정도는 뭐 거의 영향도 없다.

그러나...

  • 2016년 8월 10일 드디어 네이버 오픈캐스트의 메인 노출이 2016.09.30(D-1138)부로 없어진다는 공지가 떴다. 그나마 남아 있는 증명자의 최후의 숨통을 끊어 버린 셈. 고로 블로그 주제의 법칙은 D-1189부로 멸망 거의 확정. 캬 사이다!!
  • 2016년 9월 13일 발표된 9월 이달의 블로그에 성선화 기자의 블로그(2016.08.01 개설, 2016.09.13 기준 이웃수 15,000명대)가 등장하였으나[17], 저명성 버프를 받는 블로그(유명 기자)이므로 증명자 대상에서 제외한다.
  • 2016년 9월 30일부터 오픈캐스트가 네이버 메인에서 사라지니 증명자들은 완전히 망했어요. 캬 이거 완전 핵사이다!! 그리고 앞서 말한 것처럼 블로그 주제의 법칙 멸망이 거의 확정적이 되어 버린다.
    • 네이버 메인에 블로그가 뜨는 코너는 이제 모바일의 리빙, 푸드, PC의 라이프 정도만 남은 상황. 오픈캐스트는 라이프/취미, 문화/엔터, IT/비즈/학습, 여행, 요리에 대해 다루기 때문에 비인기 주제 컨텐츠의 메인 노출 비중이 감소하여 네이버 메인 노출 기준으로 블로그 주제의 법칙이 증명되는 듯하지만...
    • 다행인 것은 블로그 최적화에 상관없이 블로그가 노출되는 LIVE 검색의 인기 컨텐츠는 드라마/방송이라는 비인기 주제로 분류되는 연예인 팬 블로그 컨텐츠이기 때문에 2015.11.12 이후 개설되는 증명자 세대 블로그 중에서 방문자수, 이웃수 최상위권은 연예인 팬 블로그가 다 먹고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 결국 증명자 세대에서는 블로그 주제의 법칙은 망했어요. 연예인 팬 블로그가 인기 주제를 다뤄서 증명자가 되지 않는 한 멸망인 것이다. 문제는 거의 모든 '연예인 팬 블로그' 에서 해당 연예인 관련 글을 90% 이상의 비중으로 쓴다는 것이다.
2.3.4.1 남은 시나리오

절대로 이루어져서는 안 되는 것들.

  • 블로그 최적화가 정상적으로 나오기 시작한다. 적어도 2017년 안에는 되어야 증명 가능성이 보인다.
  • 오픈캐스트를 부활시킨다. 어쩌면 모바일에서 부활할지도.
  • 네이버 PC, 모바일 메인의 각 영역에서 네이버 포스트 컨텐츠 위주로 뜨는 것을 네이버 블로그 위주로 바꾼다.
  • 연예인 팬 블로그 중 이웃추가율이 최상위급인 블로그에서 인기 주제를 조금이라도 다뤄서 증명자가 된다.
  • 이달의 블로그 등 증명자 세대 블로그가 선정되는 서비스를 전면 홍보한다. 이달의 블로그 첫달인 2016년 6월에 했던 것처럼 하면 부족하다. 맨 위쪽 영역에 포스팅에 이웃추가 배너가 포함된 증명자 블로그가 포함되어 있어야 하고, 이때 네이버 홈에서의 홍보 수준은 2016년 6월급으로 해도 아슬아슬할 것 같다.
  • 블로그가 최적화된 후 초기화하면 최적화는 유지되지만 시작일은 초기화한 날짜로 나온다. 따라서 2015년 이전에 최적화된 블로그를 초기화시키면 2015.11.12 이후 개설 최적화 블로그를 만들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최적화 증명자 블로그가 대박이 터진다.
  • 증명자 블로그 중 이웃추가 이벤트를 여는 블로그가 있다면, 그 이벤트가 매우 널리 알려지면서 2019.11.12 이전에 이웃수 42,311명을 돌파한다.

2.4 날짜 목록

(취소선은 시험기간[18]임.)

D - 6000 : 2003.06.09 (월) 시작[19]. 블로그 주제의 법칙은 탄생 정확히 6000일 후 망한다!!!
D - 5900 : 2003.09.17 (수)
D - 5800 : 2003.12.26 (금)
D - 5700 : 2004.04.04 (일)
D - 5600 : 2004.07.13 (화)
D - 5500 : 2004.10.21 (목) 1/12지점.
D - 5400 : 2005.01.29 (토)
D - 5333 : 2005.04.06 (수)
D - 5300 : 2005.05.09 (월)
D - 5200 : 2005.08.17 (수)
D - 5100 : 2005.11.25 (금)
D - 5000 : 2006.03.05 (일) 1/6지점.
D - 4900 : 2006.06.13 (화)
D - 4800 : 2006.09.21 (목)
D - 4700 : 2006.12.30 (토)
D - 4600 : 2007.04.09 (월)
D - 4500 : 2007.07.18 (수) 1/4지점.
D - 4400 : 2007.10.26 (금)
D - 4333 : 2008.01.01 (화)
D - 4300 : 2008.02.03 (일)
D - 4200 : 2008.05.13 (화)
D - 4100 : 2008.08.21 (목)
D - 4000 : 2008.11.29 (토) 1/3지점.
D - 3900 : 2009.03.09 (월)
D - 3800 : 2009.06.17 (수)
D - 3700 : 2009.09.25 (금)
D - 3600 : 2010.01.03 (일)
D - 3500 : 2010.04.13 (화) 5/12지점.
D - 3400 : 2010.07.22 (목)
D - 3333 : 2010.09.27 (월)
D - 3300 : 2010.10.30 (토)
D - 3200 : 2011.02.07 (월) [20]
D - 3100 : 2011.05.18 (수)

  • 블로그가 뜨기 시작할 때(D-3000)부터

D - 3000 : 2011.08.26 (금) 1/2지점. 2012년에 블로그 주제의 법칙을 반쯤 멸망시켰던 모 PPT 블로거의 본격적인 블로그 시작일이다. [21] 그리고...[22]
D - 2900 : 2011.12.04 (일) [23]
D - 2800 : 2012.03.13 (화) [24]
D - 2700 : 2012.06.21 (목) [25]
D - 2600 : 2012.09.29 (토)
D - 2500 : 2013.01.07 (월) 7/12지점.
D - 2400 : 2013.04.17 (수) [26]
D - 2333 : 2013.06.23 (일)
D - 2300 : 2013.07.26 (금) [27]
D - 2200 : 2013.11.03 (일)
D - 2176 : 2013.11.27 (수) 블로그 주제의 법칙 멸망이 선포된 날.
D - 2100 : 2014.02.11 (화)
D - 2000 : 2014.05.22 (목) 2/3지점.
D - 1900 : 2014.08.30 (토)
D - 1800 : 2014.12.08 (월)
D - 1700 : 2015.03.18 (수)
D - 1600 : 2015.06.26 (금)
D - 1500 : 2015.10.04 (일) 명목상 3/4지점. [28]

  • 미션 시작(D-1461, 즉 4년 전)부터, 즉 최적화가 잘 안 나오는 블로그 난세 기간.

D - 1461 : 2015.11.12 (목) 실질적 3/4지점.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일. 블로그 주제의 법칙 증명 미션 시작. 게다가...[29]
D - 1400 : 2016.01.12 (화)
D - 1333 : 2016.03.19 (토)
D - 1300 : 2016.04.21 (목)
D - 1260 : 2016.05.31 (화) [30]
D - 1200 : 2016.07.30 (토) 4/5지점.
D - 1189 : 2016.08.10(수) 오픈캐스트가 네이버 메인에서 종료된다고 공지가 떴다. 본격 멸망 시작. 캬 사이다!
D - 1138 : 2016.09.30(금) 오픈캐스트가 네이버 메인에서 종료된다. 증명자 멸망 거의 확정! 축제를 열어라!!!
D - 1100 : 2016.11.07 (월)
D - 1000 : 2017.02.15 (수) 5/6지점.
D - 900 : 2017.05.26 (금)
D - 800 : 2017.09.03 (일)
D - 750 : 2017.10.23 (월) 7/8지점.
D - 700 : 2017.12.12 (화)
D - 600 : 2018.03.22 (목) 9/10지점.
D - 500 : 2018.06.30 (토) 11/12지점.
D - 400 : 2018.10.08 (월)
D - 333 : 2018.12.14 (금)
D - 300 : 2019.01.16 (수)
D - 200 : 2019.04.26 (금)
D - 100 : 2019.08.04 (일)
D - 50 : 2019.09.23 (월)
D - 30 : 2019.10.13 (일)
D - 10 : 2019.11.02 (토)
D - DAY : 2019.11.12 (화) PM 03:52 그리고 네이버 블로그 서비스가 망한 서비스로 인정받기 시작하는 날[31]

참고 사항: 페이퍼 오픈일인 2003.06.04, 블로그 오픈일인 2003.10.12의 12년 후 날짜가 각각 2015.06.04(6월 모평), 2015.10.12(10월 학평 전날)이다.

2.4.1 레알 망한 오픈캐스트 날짜 기록

2016년 4월부터 TV/동영상 등 다른 탭이 많이 노출되었던 날짜를 기록한다. 오픈캐스트가 2016.09.30에 멸망하므로 2016년 9월까지만 기록한다.

  • D-1295 : 4월 26일(화) ~ 27(수) :유발 하라리 강연
  • D-1280 : 5월 11일(수) ~ 12(목) : 서울포럼 2016, 어서옵SHOW, DANCE OR BAND
  • D-1266 : 5월 25일(수) ~ 26(목) : 어서옵SHOW, DANCE OR BAND
  • D-1253 : 6월 7일(화) ~ 8(수) : 스포츠 투표로 스포츠 탭이 1시간 동안 고정 노출
  • D-1250 ~ D-1248 : 6월 10일(금) ~ 12(일) : 오후 4~5시, 9~10시 ULTRA MUSIC FESTIVAL
  • D-1246 : 6월 14일(화) ~ 15(수) : 세계전략포럼
  • D-1245 : 6월 15일(수) ~ 16(목) : 세계전략포럼, 잘먹는 소녀들
  • D-1231 : 6월 29일(수) : 오후 3~4시 공연, 7~8시 집콘, 11~12시 DANCE OR BAND
  • D-1227 : 7월 3일(일) : 오후 6시~11시 40분
  • D-1216 : 7월 14일(목) ~ 15일(금) : 류준열 토크, 뮤직 생방송, K-Creative 생방송, 그 외 뮤직 탭 고정 노출 [32]
  • D-1215 : 7월 15일(금) ~ 16일(토) : 오후 5시까지 뮤직 탭 고정, 루키 라이브 결선 콘서트, 존박 LIVE PLAY
  • D-1202 : 7월 28일(목) : 온스테이지 외
  • D-1196 ~ D-1177 : 8월 3일(수) ~ 8월 22일(월) : 리우 올림픽으로 인해 주제형 캐스트 바로 위쪽에 올림픽 배너 떠서 노출 패널티를 받는다. 거기에 올림픽 기간 중 상당 기간 동안 자정부터 오전 8시까지 스포츠 탭 고정 노출.
  • D-1195 : 8월 4일(목) : 유인나 X NAVER LABS 오디오북 기술 홍보[33], 빅뱅 라이브콘서트, UP10TION [34]
  • D-1175 : 8월 24일(수) : 어서옵SHOW, 호란 쇼케이스, 고산자 무비토크, 스피카의 Surprise Time
  • D-1156 : 9월 12일(월) ~ 13일(화) : 12일 오후 8시 30분~10시, 밤 11시~12시, 13일 0시~오전 11시까지 TV/동영상 탭 고정. 캐스트 구독자수 증가량 일반 평일의 57% 수준.
  • D-1149 : 9월 19일(월) : 오후 3~4시, 7~8시, 9~10시, 11~12시(자정)
  • D-1146 : 9월 22일(목) : 밤 11시부터 MBC 해피 피라미드 333 캠페인으로 공익/나눔 탭 고정 노출[35]
  • 오픈캐스트 마지막 주(9월 26일~30일)에는 매일 고정 노출 사례가 꽤 있었다.
  • D-1140 : 9월 28일(수) : 오후 6시 30분~7시 30분, 7시 30분~8시 30분, 8시~9시, 9시~10시, 즉 6시 30분부터 10시까지 3시간 30분 동안 3분만 더였으면...

2.4.2 오픈캐스트 종료 이후

라이프, 패션뷰티 등 다른 탭에 증명자에 해당하는 네이버 블로그가 노출될 수 있으므로 2019년 11월 12일까지 기록한다.

  • 2016년
    • D-1137 ~ D-1125 : 10월 1일(토) ~ 10월 13일(목) DMC 페스티벌로 TV/연예 탭 고정 노출일정표 만약 오픈캐스트가 2주 더 지속되었더라면 캐스터들 대박 멘붕 오픈캐스트 종료 기념으로 기간 내내 TV/연예 고정 노출이었으면 좋겠다 카더라
    • D-1137 : 10월 1일(토) : 오후 2~3시, 6~7시, 8시~9시 30분(?), 10시~10시 30분(?), 11시 15분~2일(일) 1시, 총 5시간 45분

3 배수년도의 저주

이 문서에는 독자연구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신뢰성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이 문서는 독자연구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사실과 상식에 기초하여 문서를 편집하여야 하며, 정당한 반론이 있을 경우 내용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출처 제시는 논리를 강화하며 내용을 풍성하게 하므로 되도록 출처를 제시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에 각별히 주의하여 틀 아래의 내용을 읽어 주세요.

관련 문서: 테쿰세의 저주, 3의 저주

1부터 9까지의 자연수 중 '특정한 수 하나' 의 배수가 아닌 년도에, 정식 명칭의 글자 수가 '해당 수' 인 것들이 받는 저주이다.

예를 들어 2016은 1, 2, 3, 4, 6, 7, 8, 9의 배수이지만 5의 배수는 아니므로 2016년에는 정식 명칭의 글자 수가 5글자인 것들이 저주를 받는다. 예를 들면 '블로그차트', '리센XX급'. 리센XX급은 실제로 디시위키 등지에서 저주를 받아 망했다.

저주 또는 저주의 예외 사항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해당하는 것이 속하는 영역에서 최소한의 저명성을 가져야 한다.[36] 예를 들어 블로그차트블로그똥은 '블로그 평가 사이트' 라는 영역에서 각각 인지도 1, 2위이므로 저명성이 있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예를 들어 '닯겗쉙텖갨' 과 '꿹쉛퉮겠돎굾' 이라는 네이버 블로그가 있다 치자. 2016년 초에는 구독자 수가 각각 20명, 1000명이었지만 2016년 말에는 각각 15000명, 7000명으로 역전당해서 '닯겗쉙텖갨' 이 이겼다. 이 경우라면 둘 다 구독자 수 5만 명 미만으로 저명성이 부족하므로 저주의 예외 사항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아래에서 볼드체로 표현한 것은 현실 또는 위키계에서 저명성이 높은 것[37]이다. 따라서 배수년도의 저주가 참인지 거짓인지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링크된 것은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것.

3.1 해당되는 연도

특별 규칙: 3, 4의 배수가 아니면 각각 6, 9와 8의 배수도 아니어야 한다. 따라서 3글자의 저주, 4글자의 저주가 발생하는 해는 각각 6, 9와 8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다.

각 저주가 터지는 해는

  • 2의 저주 : 1, 3, 5, 7, 9의 배수이지만 2의 배수가 아닌 해로, 315년, 945년, 1575년, 2205년, 2835년 등이다.
  • 3의 저주 : 1, 2, 4, 5, 7, 8의 배수이지만 3의 배수가 아닌 해로, 280년, 560년, 1120년, 1400년, 1960년, 2240년, 2800년, 3080년 등이다.
    • 1960년 : 이승만 전 대통령 - 4.19 혁명으로 인해 자리에서 물러났다.
  • 4의 저주 : 1, 2, 3, 5, 6, 7, 9의 배수이지만 4의 배수가 아닌 해로, 630년, 1890년, 3150년 등이다.
  • 5의 저주 : 1, 2, 3, 4, 6, 7, 8, 9의 배수이지만 5의 배수가 아닌 해로, 504년, 1008년, 1512년, 2016년, 3024년 등이다.
    • 2016년 : 리센XX급[38] - 디시위키 등지에서 독자연구라는 비판을 받아 망했다.
    • 2016년 : 서든어택2 -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2016년 : 나무라이브 - 이미 받은 듯. 단 나무위키는 4글자이므로 저주 안 받는다.
    • 2016년 : 국민안전처 - 2016년 9월 12일 경주 규모 5.9 지진에 대한 늑장 대응으로 신뢰를 잃었다. 거기다가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 문서에 따르면 국민안전처는 오히려 국민을 위협하는 기관이라고 한다. 그것도 취소선도 없이!!
    • 2016년 : 파워블로그 - 4월 14일 네이버에서 파워블로그 제도를 공식 종료하였다. #
  • 6의 저주 : 2의 저주와 3의 저주의 합집합으로, 280년, 315년, 560년, 945년, 1120년, 1400년, 1575년, 1960년, 2205년, 2240년, 2800년, 2835년, 3080년 등이다.
  • 7의 저주 : 1, 2, 3, 4, 5, 6, 8, 9의 배수이지만 7의 배수가 아닌 해로, 360년, 720년, 1080년, 1440년, 1800년, 2160년, 2880년 등이다.
  • 8의 저주 : 1, 2, 3, 4, 5, 6, 7, 9의 배수이지만 8의 배수가 아닌 해로, 1260년, 3780년 등이다.
  • 9의 저주 : 1, 2, 3, 4, 5, 6, 7, 8의 배수이지만 9의 배수가 아닌 해로, 840년, 1680년, 3360년 등이다.

3.2 저주의 해에 오히려 복 받은 경우

이 정도 되면 오히려 저주가 아니라 축복을 받는 수준이라 카더라.

  • 2016년 : 방탄소년단 - 네이버 V앱 인기 채널 1위(그것도 2016년 1월 1일 0시 기준으로 빅뱅이 1위이고 방탄소년단은 2위였는데 2016년 7월 중순에 역전!) V앱은 구독자 수 최상위권은 100만 단위로 나가니 네이버 내의 매체(블로그, 네이버 포스트, 오픈캐스트 등)구독자 수에 관한 배수년도의 저주 논란은 이것으로 끝난 셈이다. BTS는 3글자이지만 무시하자. 저명성 있는 명칭은 방탄소년단이다.
  • 2016년 : 음악집합소(블로그) - 2016년 들어 3만 명대였던 이웃수가 하루에 수백 명씩 늘어 7월 20일 오후 3시 30분에 10만을 넘었다.
  • 2016년 : 블로그차트 - 블로그 순위 평가 사이트 중 저명성 1등. 저명성 2등콩라인인 '블로그똥'(4글자) 보다 저명성이 훨씬 높다.
  • 2016년 : 서울대학교 - 국내 대학 중 여전히 최고의 대학으로 평가받고 있다. 6글자인 성균관대학교, 7글자인 이화여자대학교/서울시립대학교는 안습.
  • 2016년 : 두산베어스 - 프로야구 구단 10개 중 1위.
  • 2016년 : 오토트리뷴 - 네이버 포스트로 9월 24일부터 약 3만 명이던 구독자 수가 급증하여 10월 2일 새벽 현재 15만 2천 명 돌파.

4 흑역사

  1. 누구든지 꾸준히 기여할 의지가 있다면 오막글 제도의 운명을 바꾸는 오막글 전문 기여자가 될 수 있습니다.
  2. 저조를 기록했다. 노답.
  3. 2015년까지 개설한 블로그가 최적화가 잘 되었기 때문에 그 이후 개설한 블로그보다 블로그 평가 지표가 높다.
  4. 블로그 주제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이웃의 블로그에 방문하여 댓글, 공감을 달아 주는 노력을 많이 할수록 자신의 블로그에도 댓글, 공감이 많이 달린다.
  5. 해당 사용자는 없는 사용자이다. 블로그 주제의 법칙이 반증되는 것을 나무위키 차단에 비유한 것.
  6. 개설일이 2015.11.12로 나오는 경우 첫 포스팅이 PM 03:52 이후면 인정
  7. 웹/프로그램 분야가 아니라 IT 제품이나 앱 위주. 즉 스마트폰 등 스마트 기기에 대한 포스팅을 대표적 예로 들 수 있다.
  8. 과학이 비인기 주제라고 할 때 과학 80%, 일상 20%를 다뤄도 일상을 20% 다루므로 인정.
  9. 해당 블로그를 운영하던 단체가 폐쇄된 의미 있는 날이라 카더라. 사실 그 블로그 운영자가 수능 본 날
  10. 노답과 비슷한 뜻이다. 즉 상위 4% 안에 들어야 하는데 상위 11%~23% 사이의 3등급에 불과하다는 뜻.
  11. 블로그 주제의 법칙상 비인기 주제 네이버 블로그 중 1일 이웃추가 받는 양 등으로 진 최종 보스. 아래 2015.11~2019.11의 4년 문단 참고
  12. 매일 1개씩 글을 쓸 때 블로그 개설 2~3주 정도면 나오는 하위권 순위
  13. 당시 요리 블로거로 이웃수 13만 3천 가량, 전국 1위로 예상
  14. 법칙을 깨기 위하여 조사한 블로그 중 구독+에 등재되어 이웃추가 하루 수십 건을 받다가 9월 25일 이후 이웃추가량이 급감한 블로그가 있다고 한다. 참고로 조사 기간은 2013년 8월 29일부터 3개월간.
  15. 블로그 주제가 음악으로 좋지 않은 것으로 봄
  16. 그러니 위에 적힌 이유로 파워블로그가 되기 어려운 2015.11.12 이후 개설 블로그들은 역시 선정 확률이 매우 낮다.
  17. 이웃수 증가세가 이대로 이어진다면 2016.09.13 기준으로 12주 후인 2016년 12월 초에 증명 가능!!
  18. 고1~고3 1학기, 대학 한정. 4, 6, 10, 12월의 1일부터 마지막 시험 끝나기 전까지
  19. 네이버 블로그 서비스 시작일(당시는 페이퍼)은 2003년 6월 4일인데 블로그가 어느 정도 개설되어 블로그 주제의 법칙이라는 것이 탄생하기까지 5일이 걸린다고 가정하면 블로그 주제의 법칙이 탄생한 날이다.
  20. 반증자가 블로그 최적화가 되어 방문자 수가 급증하기 시작한 기간
  21. 하루 이웃수 증가량이 2012년 당시 100~150명 정도였다.
  22. 이 즈음부터 스크랩 조작 등을 통해 상위노출시키는 불량 마케팅 수법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23. 반증자의 이웃 수 2,000명 돌파
  24. 반증자의 이웃 수 4,000명 돌파
  25. 반증자의 첫 네이버 메인, 그것도 정보 플러스 노출
  26. 블로그 주제의 법칙 멸망 예비선포라 카더라.
  27. 7월 28일(일) 반증자의 네이버 블로그 토탈 1,000만 돌파
  28. 그리고 이날 정도에 개설한 블로그부터 최적화가 어렵다.
  29. 이날이 대량 블로그 최적화의 마지막 날. 이날 이후로 최적화가 계속 잘 이루어지지 않아 신규 블로거 유입이 망했어요에 수렴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한마디로 순환이 막히는 것.
  30. 심판의 날과 1260일을 같이 검색해 보면 결과가 좀 나온다. 블로그 주제의 법칙 심판일에 그냥 마구잡이로 연관시킨 듯.
  31. 어쩌면 네이버 블로그 서비스가 종료하는 날이 될지도 모른다. 실질적 3/4지점 이후 최적화도 잘 안 나오고 하면서 대세가 블로그에서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로 넘어간다면 가능성이 충분하다.
  32. 오픈캐스트 20개 컨텐츠 중 14개가 네이버로 연결됨.
  33. 8월 4일, 5일 이틀간 오후 3~4시 1시간 동안 공익/나눔 탭 고정 노출
  34. 이날 20개 중 16개가 네이버로 연결됨!! 16개는 조사 이후 최초!!
  35. 이날은 밤에 2시간 정도만 고정이었으나 333이라서...
  36. 영역이 충분히 큰 경우, 일반적인 인터넷 매체 기준 구독자 5만 명 이상
  37. 위키계 외에서는 속한 영역의 크기와 상관없이 일반적인 인터넷 매체 기준 구독자 50만 명 이상
  38. 위키 갤러리 등지에서 한때 많이 언급되었으므로 최소한의 저명성을 가진 것으로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