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시 오브 클랜/건물

1 개요

슈퍼셀의 모바일 게임 클래시 오브 클랜에 존재하는 건물들에 대해 서술하는 페이지다.

클래시 오브 클랜의 건물들은 일반 건물, 자원 건물, 군사 건물, 방어 건물, 함정의 5가지로 나눌 수 있다. 마을 아래의 지맥에서 흐르는 엘릭서의 힘 덕분에 자동으로 고쳐진다는 설정이 있어서, 함정을 제외한 모든 건물들은 적과의 전투로 인해 파괴되어도 재접속시 자동으로 완전히 복구되니 건물 수리는 걱정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자원 건물 및 클랜성이 공격받으면 공격자에게 일정량의 자원을 내주게 된다.

사진들은 클래시 오브 클랜 위키에서 가져왔음을 명시한다.

2 일반 건물

2.1 마을 회관(Town Hall)

레벨 1레벨 2레벨 3레벨 4레벨 5레벨 6
레벨 7레벨 8레벨 9레벨 10레벨 11

1~11레벨 사진

마을의 핵심 건물입니다. 업그레이드하면 새로운 방어 시설, 건물, 함정, 기타 등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격시 적의 마을 회관을 파괴하면 별 한 개를 확보하고 승리를 확정 짓습니다. 적 건물의 50%를 파괴하면 두 번째 별을 확보하며, 100%를 파괴하면 별 3개를 모두 확보합니다. 상대도 여러분의 마을 회관을 파괴하려 할 테니 조심해야 합니다! 마을 회관을 완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마을의 중심에 위치시키고 장벽과 함정, 그리고 방어 시설로 보호하세요. 교활한 적우리들은 모든 방향에서 공격해올 수 있습니다!
레벨1레벨2레벨3레벨4레벨5레벨6레벨7레벨8레벨9레벨10레벨11레벨누계
업그레이드 비용(골드)N/A100040002.5만15만75만120만200만300만500만700만1113만
업그레이드 시간N/A10초3시간1일2일4일6일8일10일12일14일45일 3시간 10초
골드/엘릭서 저장 용량100010001만5만10만30만50만75만100만150만200만
다크 엘릭서 저장 용량000000250050001만2만2만
체력(HP)4501600185021002400280032003900460055006800
건설 가능한 장벽의 갯수0255075100125175225250275275
공격 검색 비용(골드)1050751101702503805807509001000

마을의 중심이 되는 건물. 보통 마을 회관 n레벨을 줄여서 n홀이라고 부른다.

마을 회관을 파괴하면 전체 피해에 상관없이 별 하나를 얻는다. 또한, 1개의 골드 저장소, 1개의 엘릭서 저장소 및 ¼ 다크 엘릭서 저장소에 상응하는 약탈 분량을 얻을 수 있다. 골드/엘릭서 저장소가 각각 4개가 되는 9홀 이후라면, 전체 저장소 약탈량의 20%로 보면 된다. [1] 단, 다른 자원 건물과 달리 완전히 파괴해야만 자원을 약탈할 수 있다.

마을 주민들은 따로 집 없이 여기서 사는 듯 하다. 초라한 나무 초가집부터 시작해서 평평한 돌지붕이 지어지고, 7홀부터는 성의 모습을 갖춰간다. 9홀이 되면 갑자기 색상이 검정색으로 바뀌고, 10홀이 되면 용암 해자가 흐른다. 11홀이 되면 지붕에 용암으로 채워진 구멍이 생긴다.

마을 회관의 레벨은 모든 건물의 갯수 및 업그레이드의 해금 기준이 된다. 특히 6홀 -> 7홀의 변화가 매우 크다. 집합소가 4개가 되면서 최대 인구수가 200이 되고, 방어 시설의 수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클랜전에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드래곤'을 훈련할 수 있게 되며, 무엇보다도 새로운 자원인 '다크 엘릭서'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암흑 병사와 영웅도 함께 추가된다.

회관 레벨이 올라가면 공격 검색 비용이 점점 증가하는데, 다음 버튼을 여러 번 누르고 있으면 골드가 은근히 줄어드는 것을 체감할 수 있다. 운이 없다면 챔피언 리그 이상에서는 10만 골드 정도 날리는 건 예사다.

또한, 7홀 이상부터는 자신보다 낮은 홀을 공격할 때 얻는 자원량이 감소하는 패널티가 있다. 원래 약탈 가능치와 비교해서, 1레벨 차이는 80%, 2레벨은 50%, 3레벨은 25%, 4레벨 이상은 5%만 약탈할 수 있다. 사실상 2레벨 이상 차이가 나면 어지간히 꽉꽉 들어차 있고 거저먹는 구조가 아닌 이상 넘기게 된다.

따라서 보통 7홀까지는 빠르게 올려도 별 문제가 없지만[2], 그 이후부터는 자신의 회관 레벨에서 할 수 있는 모든 업그레이드를 마치고 나서 회관 레벨을 올리는 것이 강력하게 권장된다. 물론 7홀까지 빠르게 올리더라도 적어도 집합소, 연구소 및 바처 업그레이드는 반드시 마치고 올릴 것. 타운홀 레벨만 높은 유저를 흔히 '오버홀'이라고 하며, 파밍도 무척 힘들고 고의적인 디펜스리스가 아닌 이상 클랜전에서도 찬밥 신세다.

여담으로 초창기에는[3] 8홀까지만 존재했고, 그래서인지 8홀에서 거의 모든 방어 건물과 유닛이 금색이다. 아처 타워, 클랜 성, 뇌전탑은 금색인 부분이 생기고, 대포와 박격포는 아예 금색으로 도배가 된다. 바바리안의 투구의 뿔과 칼, 아처의 활, 자이언트의 너클, 월브/벌룬의 폭탄 역시 금색이다. 그리고 폭탄도 금색 뿔이 달린다. 하지만 깔맞춤하겠다고 장벽을 5레벨로 냅두는 건 추천되지 않는다.
참고로,9홀에 가면 건물들이 검은색 중심,10홀은 빨간색 중심,11홀은 흰색 중심으로 바뀐다.

마을 회관을 클릭해서 모든 함정과 대형 석궁, 인페르노 타워를 재장전하는 기능이 2014년 7월 3일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2015년 대규모 업데이트로 11홀이 추가되고, 파괴 시 상술한 양의 자원을 약탈당하며[4], 마을 회관 파괴만으로는 보호막을 얻을 수 없게 수정되었다. 이전에는 마을 회관을 마을 밖에 내 놓아서 공격자가 홀만 치고 가면 약간의 트로피만 잃고 12시간의 보호막을 얻는 전략이 있었고 사실상 주류였지만, 이 패치로 사장되었다.

2.2 클랜 성(Clan Castle)

재건 전/파괴 시레벨 1레벨 2레벨 3
레벨 4레벨 5레벨 6
클랜 성에는 클랜원이 보낸 지원군 또는 마법과 함께, 자원을 보관할 수 있는 금고가 있습니다.
클랜 성1레벨2레벨3레벨4레벨5레벨6레벨
업그레이드 비용(골드)1만10만80만180만500만700만
업그레이드 시간즉시6시간1일2일7일14일
수용 유닛101520253035
수용 마법000111
체력(HP)100014002000260030003400
요구 마을 회관 레벨3468910

자세한 내용은 클래시 오브 클랜/클랜 참고.

클랜을 만들거나 가입할 때 필요한 건물. 처음 게임을 시작했을 땐 맵 한쪽에 부서진 채 장애물들 사이에 방치되어 있고 옮길 수도 없지만, 재건 비용 1만 골드를 지불하면 장인이 직접 가지 않아도 즉시 수리가 되며 제 기능을 시작한다. 단, 이후 클랜 성을 업그레이드 하려면 장인이 필요하다. 업그레이드 중에는 제 기능을 못하는 대부분의 다른 건물과는 다르게, 클랜 성은 업그레이드 도중에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혹시나 착각할 수 있어서 남기지만, 이하의 설명에서 클랜 성의 레벨과 클랜 레벨은 서로 다른 개념이다.

클랜에 가입하여 지원 병력을 요청할 경우 클랜원들이 병력을 보내 주둔시킬 수 있다. 성의 레벨에 따라 수용량이 5칸씩 증가하며, 10홀에서 최대 35칸까지 늘어난다. 기본적으로 한 명의 클랜원이 종류 불문 최대 5기의 유닛을 지원할 수 있으며, 클랜 레벨 4부터는 6기, 8부터는 8기까지 가능하다. 또한 클랜 레벨 5부터는 지원 유닛들의 레벨이 1레벨씩, 10부터는 2레벨씩 증가된다. 지원 요청의 기본 쿨타임은 20분이며, 클랜 레벨 2에서 15분, 7에서 10분으로 줄어든다.

공격 시 클랜 깃발을 꽂아 주둔 병력을 전장에 보낼 수 있고, 수비 시 성 주변 영역에 적군이 나타날 경우 자동으로 밖으로 나와 교전을 벌인다. 한 번 클랜 성에서 나온 수비 병력은 맵 전체를 인식해서 어디든지 쫓아가므로, 영웅보다는 제거하기 쉽다. 또한 수비 병력은 호그라이더가 아니더라도 장벽을 넘을 수 있다. 공격 시 투입된 지원 병력은 전투 이후 사라지지만, 수비 병력이 전투 끝까지 살아남았다면 다시 클랜 성에 들어간다. 클랜전 한정으로는 수비 병력이 죽더라도 사라지지 않는다.

적당한 유닛을 받아서 성에 짱박아 놓으면 마을 전체의 방어력이 눈에 띄게 올라간다. 5레벨 아처 20기만 하더라도 DPS가 무려 400이다. 물론 맷집 문제로 온전하지는 않지만 화력만으로 따지면 만렙 아처 타워가 4개나 추가된 셈이다. 또한 공격 유닛은 기본적으로 방어 건물보다 방어 유닛을 우선적으로 공격하므로 어그로를 끌어주는 역할도 톡톡히 해 준다. 공격자 입장에서도 클랜이 없는 유저는 훨씬 만만하게 생각해서 더 들어므로, 적극적으로 활동할 생각이 없어도 일단 클랜은 하나 들어 두자.

따라서 공격자 입장에서는 당연히 최소한의 유닛 소모로 방어 병력을 따로 빼서 처리하려고 한다. 9홀 이상이 되면 마을 크기가 클랜성 범위 전체를 덮을 정도로 커지므로, 보통 마을 중앙에 놓아서 방어 병력을 빼기 힘들게 만드는 것이 보통이다. 공격자라면, 자신의 조합이 방어 병력에 취약하다면 다소 무리를 해서라도 빼서 처리하는 것이 낫고, 그렇지 않다는 판단이 든다면 굳이 정리하지 않고 들어가기도 한다.

평소에 지원 요청이 들어온다면, 아처나 마법사 같은 원거리 유닛을 지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공격 증원 용도로도 좋고, 방어 시에는 근접 유닛들과 달리 장벽을 끼고 공격할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기 때문. 반면 해골 돌격병, 치유사, 고블린 등은 공격용으로도 애매하고 방어용으로는 더 잉여라서 트롤 취급이다. 특별히 요구하지 않았는데 이런 걸 준다면 클랜 내에서 적대적인 대상이 되며, 쫒겨날 수도 있다.

클랜전 방어 유닛은 패치 및 방어자의 배치 특징에 따라 계속 바뀐다. 독 마법 추가 이후로 아처와 마법사의 인기가 사그라들고 9홀 이상의 경우 라바 하운드를 넣는 경우가 많았지만, 독 마법을 피하는 AI가 추가되고 발키리가 상향되자 다시 마법사가 선호되는 경향으로 돌아섰다. 또한 방어자의 배치가 지상 조합에 취약한지, 공중 조합에 취약한지도 분간해야 한다. 골렘을 넣었는데 공중 병력이 쳐들어오면 클랜 성에서 나오지도 않는 무쓸모 유닛이 되어버린다.

방어 병력 이외에도 본체 역시 상당히 튼튼하다. 만렙 기준 체력이 3400으로 다른 만렙 저장소보다도 높다. 이게 큰 의미가 있는게, 클랜 성은 보통 맵 중앙에 두게 되므로 다크 엘릭서 저장소와 붙여서 두는 경우가 많고, 병력들이 클랜 성에 어그로가 끌려서 치라는 간장통은 안 치고 자원 하나 안 주는(혹은 조금만 주는) 클랜 성만 치다가 전멸하는 그림이 자주 나온다. 물론 공격자 입장에서는 속이 터진다. 퀸힐러 조합으로 다크 엘릭서만 노리고 공격할 때 크게 느껴지는 부분이다.

금고가 있어서 클랜전 보상과 일일 5별 보너스를 저장할 수 있고, 회수해서 저장소로 옮길 수도 있다. 타 자원 건물과 마찬가지로 클랜 성이 공격받으면 자원을 뺏기며, 파괴 시 금고 저장량의 3%를 약탈당한다. 이는 다른 저장소와는 독립적이며, 여기에도 약탈 패널티는 적용된다. 저장소보다 약탈 비율이 훨씬 작기 떄문에, 자원이 급하지 않다면 클랜 성 금고에 남겨놓는 것이 일반적으로는 좋다. 하지만, 자원을 상당히 많이 보유하고 있어서 저장소 약탈 한계치를 넘긴 상황이라면 저장소로 옮기는 게 더 이득이다. 다만, 저장소 최대치를 요구하는 업그레이드 이후의 고자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서 금고에 남겨놓는 선택지도 있다.

관련 도전 과제인 전리품 도전 과제는 자원을 저장소로 옮겨야 카운트가 된다. 금고에 보관하고 있다가 약탈당하면 남은 양만 도전 과제에 반영된다. 이걸 빨리 깨고 싶다면 저장소로 옮기는 게 낫다.

여담으로, 병력을 지원받고 나서 클랜을 나오면, 공격 시에 클랜 깃발이 아닌 깃대 아이콘으로 나타난다.

대규모 업데이트 이후 클랜 성 4레벨부터 마법을 지원받을 수 있다. 다만 최대 용량이 1이라 일반 마법은 못 받고 암흑 마법만 받을 수 있다.

2.3 장인의 집(Builder's Hut)

장인 없이는 아무것도 건설할 수 없습니다! 장인을 추가로 고용하면 여러 건물을 동시에 건설할 수 있고, 건설 작업은 보석을 사용해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옆동네 무인도에서 sf무기를 만드는 게임을 하다 이걸 하면....... 할렐루야

건물을 건설하거나 업그레이드를 목적으로 필요한 장인을 추가하기 위해 필요한 보조건물. 총 5개까지 지을 수 있다. 튜토리얼을 끝내면 2명의 장인의 집이 완성되어 있고 이후 3번째 장인의 집은 보석 500개, 4번째는 보석 1000개, 5번째는 2000개를 요구한다. 함정이나 클랜 성처럼 즉시 건설된다. 업그레이드는 없다.

장인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으므로, 당연히 장인 5명을 마련하는 것은 보석 사용처 0순위이다. 보석을 아끼고 도전과제와 장애물 제거를 꾸준히 해준다면 7홀쯤에 무리없이 장인 4명까지 마련이 가능하다. 리그달성 도전과제가 보석을 많이 주기 때문에 크리스탈 진입 도전과제까지는 무난하게 달성하는 편. 업그레이드 완료시기를 잘 배분해서 업그레이드 일정이 하루마다 완료되도록 작업 스케줄을 짜는 것이 장인을 효율적으로 굴리는 방법이다. 하지만 장벽 업그레이드나 장애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하나 정도 비워 놓는 것도 좋다.

장인의 집은 체력도 낮고 점유면적도 좁아 방패 역할로 쓰기에도 시원찮아서 클랜전 배치의 경우 맵 구석에 박혀있는 경우가 잦다. 이런 경우 마을이 다 파괴되더라도 구석까지 걸어가 장인의 집까지 파괴해야 별 3개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을 끄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동속도가 느려터진 드래곤에게 효과가 좋은 편. 때문에 공격을 시도할 때 100% 파괴를 생각한다면 맵 구석구석까지도 잘 보는 것이 좋다. 다만 장벽이 최대치에 도달하고 건물도 많이 늘어난 9홀 이상의 경우 건물들이 점유하는 면적이 워낙 넓어 마을 배치가 전지역을 다 차지해 장인의 집을 굳이 구석에 두지 않아도 큰 차이가 없다.

재미있는 건 장인이 작업을 하지 않을 때는 집 안에 들어가서 잠을 자는데, 이 때 건물의 위치를 바꾸면 그 자리에 자고 있던 장인이 벌떡 일어나서 그 위치로 들어간다. 장인 괴롭히기 그리고 장인의 집과 제거할 오브젝트가 멀리 떨어져 있고, 오브젝트를 제거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수 초 내라면 장인은 그저 걷기만 했을 뿐인데 오브젝트가 제거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3 자원 건물

클래시 오브 클랜의 생산 가능 자원은 골드, 엘릭서, 다크 엘릭서의 3가지가 존재한다. 참고로 보석은 생산 가능한 자원이 아니며, 현금 결제나 장애물 제거, 도전 과제를 통해서만 획득 가능하다.

골드와 엘릭서는 각각 요구하는 분야가 다르다. 골드의 경우 클랜성, 장벽, 방어 타워등 본진을 방어하는 수단들에 주로 사용된다. 단, 골드는 탐색 비용으로 공격시에도 쓰이는 경우가 있다.

엘릭서의 경우에는 유닛 생산, 마법, 유닛이나 마법 연구등 상대방을 공격 하기 위한 수단들에 주로 소모된다. 골드와 마찬가지로 엘릭서도 9레벨 이상의 장벽, 대형 석궁 재장전 등 방어와 관련된 분야에서 쓰이는 경우가 있다.

다크 엘릭서의 경우 공격과 방어 양쪽에 사용될 수 있는 점은 엘릭서와 비슷하지만, 고급 유닛이나 방어 분야에 쓰이는 점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영웅 유닛을 소환하고 업그레이드하거나, 암흑 훈련소 병력 생산 또는 업그레이드, 암흑 마법 생산 또는 업그레이드, 인페르노 타워의 충전 등에 쓰인다.

일반적으로 자원 저장시설은 풀업이 권장된다. 자원 생산 시설은 취향에 따라 업그레이드 여부가 갈리는 편이지만, 몸빵도 증가하고 어차피 업그레이드 해서 나쁠 것은 없다. 미리 해 두면 자원 관리가 한결 유연해진다.

3.1 금광(Gold Mine), 엘릭서 정제소(Elixir Collector):

레벨 1레벨 2레벨 3레벨 4레벨 5레벨 6
레벨 7레벨 8레벨 9레벨 10레벨 11레벨 12
금광은 골드를 생산하는 시설입니다. 업그레이드하면 생산력과 저장 용량이 증가합니다.
레벨 1레벨 2레벨 3레벨 4레벨 5레벨 6
레벨 7레벨 8레벨 9레벨 10레벨 11레벨 12
엘릭서는 마을 아래를 지나는 지맥으로부터 추출합니다. 엘릭서 정제소를 업그레이드하면 엘릭서 생산량이 증가합니다.
레벨1레벨2레벨3레벨4레벨5레벨6레벨7레벨8레벨9레벨10레벨11레벨12레벨
시간당 생산량20040060080010001300160019002200250030003500
임시 용량5001000150025001만2만3만5만7.5만10만15만20만
만재 시간2시간 30분2시간 30분2시간 30분3시간 7분 30초10시간약 15시간 24분18시간 45분약 26시간 18분약 34시간 6분40시간50시간약 57시간 6분
업그레이드 비용15030070014003000/350070001.4만2.8만5.6만8.4만16.8만33.6만
업그레이드 시간1분5분15분1시간2시간6시간12시간1일2일3일4일5일
체력(HP)400440480520560600640680720780860960
요구 마을 회관 레벨1234578
마을 회관 레벨1234567891011
건설 가능 건물 개수1234567

골드와 엘릭서를 생산하는 건물들이다. 생산한 자원을 보관하는 임시 저장 용량이 있으며, 용량이 꽉 차거나 업그레이드가 진행 중인 경우 자원을 생산하지 않는다. 5레벨 이상이라면 보석을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생산량을 2배로 늘릴 수 있지만, 효율이 좋지는 않다.

공격 받으면 저장량의 50%까지 약탈 당한다. 이는 저장소 약탈 한계량과는 별개이며, 타운홀 레벨에 따른 약탈 패널티가 적용된다. 그러니 보호막 없이 게임을 종료할 때는 콜렉터에 있는 자원을 저장소로 옮겨 놓자.

금광은 엘릭서로, 엘릭서 정제소는 골드로 업그레이드 한다. 시간 대비 업글 비용이 매우 싼 것이 특징이다. 약탈을 아예 하지 않더라도 업그레이드 비용을 나머지 금광/정제소 생산량만으로도 충당할 수 있는 수준. 어째서인지 5레벨만 금광이 3000엘릭서, 엘릭서 정제소가 3500골드로 업그레이드 비용이 다르다.

업그레이드하면 자원 생산량이 쏠쏠하게 증가하지만 그렇다고 약탈 그만두고 생산 건물로만 버틸 정도로 넉넉하게 주는 것은 아니다. 이 게임에서 자체 생산은 기본 약탈 유닛 생산과 매칭에 필요한 골드의 수급에 의의가 있다. 10홀 때 각각 7개씩 풀업해 놓으면 하루에 588,000 씩을 얻을 수 있는데, 이는 바처 조합으로 2~3번 맛집을 털면 얻는 수치와 비슷하다.

이런 생산 건물의 특성상 미리 올려 놓을수록 자원 이득을 볼 수 있지만, 생산량이 그리 많지도 않고 다 올리려면 1달 이상이 필요해서 공격 빈도가 높은 유저일수록 우선 순위에서 밀리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10홀에서 800만짜리, 11홀에서 1000만짜리 업글 누르고 공격 못 가는 고자 상태를 빨리 벗어나거나[5], 방어 시 몸빵용으로라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올려서 나쁠 건 없다. 애초에 CoC에 올려서 나쁜 건 없기도 하고. 상술한 것처럼 업그레이드가 매우 싸므로 개인 사정으로 약탈이 어려운 상황시험 기간일 때 하루 2번 정도 접속만 해서 올려 두는 것도 좋은 판단.

2014년 12월 11일 크리스마스 업데이트로 12레벨이 추가되었다.

3.2 다크 엘릭서 정제소(Dark Elixir Drill):

레벨 1레벨 2레벨 3레벨 4레벨 5레벨 6
마침내 연금술사들이 순수한 다크 엘릭서를 추출하는 방법을 알아냈습니다. 가장 희귀한 형태의 마법 물질입니다.
레벨1레벨2레벨3레벨4레벨5레벨6레벨
시간당 생산량2030456080100
1개당 시간3분2분1분 20초1분45초36초
임시 용량16030054084012801800
최대 용량까지 걸리는 시간8시간10시간12시간14시간16시간18시간
업그레이드 비용(엘릭서)100만150만200만300만400만500만
업그레이드 시간1일2일3일4일6일8일
업그레이드 경험치293415509587720831
체력(HP)80086092098010401100
1일 가속 비용(보석)7개10개15개20개25개30개
요구 마을 회관 레벨79
마을 회관 레벨7891011
건설 가능 건물 개수123

건설&업글 총 소요 시간은 24일, 누적 비용은 1650만 엘릭서다.

다크 엘릭서를 생산하는 건물이다. 7홀부터 사용할 수 있으며, 1레벨부터 보석을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생산량을 2배로 늘릴 수 있다. 나머지 내용은 금광/엘릭서 정제소와 동일.

공격 받으면 저장량의 75%까지 약탈 당한다. 금광/엘릭서 정제소보다 많다.

금광이나 엘릭서 정제소와는 달리 다크 엘릭서 정제소의 업그레이드 효율은 뛰어난 편이어서 자체 생산량으로도 어느 정도 버틸 수 있다. 여기에다 다크 엘릭서 특성상 저장고에서 약탈 당하는 양도 적기 때문에 고급 유닛에 들어가는 다크 엘릭서 충당은 물론이고, 자체 생산량과 소량의 파밍까지 합치면 암흑 훈련소 유닛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다크 엘릭서 정제소는 금광이나 엘릭서 정제소보다 업그레이드 가치가 더 높고, 대부분 풀업한다.

자원 생산 시설은 저장된 자원을 받으면 생산 시간이 처음으로 초기화된다. 1레벨 드릴이 1 다크 엘릭서를 생산하는 데 3분이 걸리는데, 5분만에 자원을 받으면 2분 분량은 사라진다는 이야기다. 따라서 이론상으로는 최대한 오래 모았다가 받는 게 좋지만, 어차피 하루에 두 자릿수 수준이므로 그냥 보일 때마다 눌러도 상관은 없다.

2014년 12월 11일 크리스마스 업데이트 이전에는 8홀부터 사용 가능했다. 이 시절 7홀은 다크 엘릭서 저장소만 있고 정제소가 없었기에 바바리안 킹을 굴리려면 크리스탈 리그 이상에서 승리 보상을 획득하거나, 다크 엘릭서를 보석으로 구매하거나, 8홀 이상에게 덤벼들번개로 뺏을 수밖에 없었다.

3.3 골드/엘릭서/다크 엘릭서 저장소(Gold/Elixir/Dark Elixir Storage)

  • 골드 저장소
레벨 1레벨 2레벨 3레벨 4레벨 5레벨 6
레벨 7레벨 8레벨 9레벨 10레벨 11레벨 12
소중한 골드를 저장하는 시설입니다. 탐욕스러운 고블린을 조심하세요! 업그레이드하면 용량과 내구력이 증가합니다.
  • 엘릭서 저장소
레벨 1레벨 2레벨 3레벨 4레벨 5레벨 6
레벨 7레벨 8레벨 9레벨 10레벨 11레벨 12
땅속에서 추출한 엘릭서를 보관하는 저장소입니다. 업그레이드하면 최대 저장 용량이 증가합니다.

9레벨부터 장식을 추가하면 용량이 늘어나는건 기분탓

레벨1레벨2레벨3레벨4레벨5레벨6레벨7레벨8레벨9레벨10레벨11레벨12레벨
업그레이드 비용3007501500300060001.2만2.5만5만10만25만50만250만
업그레이드 시간15분30분1시간2시간3시간4시간6시간8시간12시간1일2일7일
저장 용량1500300060001.2만2.5만4.5만10만22.5만45만85만175만200만
체력(HP)400600800100012001400160017001800190021002500
요구 마을 회관 레벨1223334456711
마을 회관 레벨1234567891011
건설 가능 건물 개수11222223444
마을 회관 레벨1234567891011
금, 엘릭서 약탈 가능 비율20%20%20%20%20%20%18%16%14%12%10%
금, 엘릭서 약탈 가능 최대치50014002만10만20만20만25만30만35만40만45만
최대 약탈량에 도달하는 금, 엘릭서 보유량2,5007,000100,000500,0001,000,0001,000,0001,388,8881,875,0002,500,0003,333,3334,500,000
  • 다크 엘릭서 저장소
레벨 1레벨 2레벨 3레벨 4레벨 5레벨 6
다크 엘릭서의 힘은 보통 엘릭서보다 세 배나 강력해서 엘릭서 보관 용기의 일반적인 모양으론 담아낼 수 없습니다. 그래서 다크 엘릭서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새로운 정육면체의 저장 용기를 개발했습니다![6]
레벨1레벨2레벨3레벨4레벨5레벨6레벨
업그레이드 비용(엘릭서)60만120만180만240만300만360만
업그레이드 시간1일2일3일4일5일6일
저장 용량1만1.75만4만7.5만14만18만
체력(HP)200022002400260029003200
요구 마을 회관 레벨778899
마을 회관 레벨7891011
건설 가능 건물 개수11111
마을 회관 레벨7891011
다크 엘릭서 약탈 가능 비율6%6%5%4%4%
다크 엘릭서 약탈 가능 최대치12002000250030003500
최대 약탈량에 도달하는 다크 엘릭서 보유량20,00033,33350,00075,00087,500

골드/엘릭서 저장소 업그레이드는 생산 시설과 마찬가지로 서로 반대쪽의 자원을 사용한다. 한편 다크 엘릭서 저장소는 엘릭서를 사용한다.

저장소(및 마을 회관)에는 수비자의 타운 홀 레벨에 따라서 약탈 비율 및 약탈 가능 최대치가 정해져 있다. 이 최대치는 저장소에만 적용이 되며, 생산 시설과 클랜성에 저장된 자원은 독립적으로 계산되어 추가된다.

저장소의 약탈량은 해당 저장소에 저장된 자원량에 비례한다. 즉, 8홀 유저의 10레벨 저장소에 100만 골드가 저장되어있고, 11레벨 저장소에 200만 골드가 저장되어있다고 한다면, 약탈당하는 30만 골드중 10만 골드는 10레벨 저장소에서, 20만 골드는 11레벨 저장소에서 약탈당한다. 따라서 최대한 분산시키기 위해 가능한 빨리 모두 풀업하는 것이 좋다.

클랜전 때는 굳이 자원을 보호할 필요가 없으므로 배치 안쪽에 숨겨놓을 이유가 없다. 따라서 높은 맷집을 이용해서 주 방어 타워의 몸빵용으로 유용하게 쓰인다. 대공포 앞에 저장소를 세우는 것은 7, 8홀 안티 드래곤 배치의 기본.

2015년 여름 업데이트로 직접 대미지를 주는 마법에 피해를 받지 않게 되었다. 공격을 받는 순간 보호막이 쳐지며 데미지를 막아내는 모습을 보인다.

원래 7홀 때 풀업이 가능했으나 11홀이 추가되면서 12레벨 골드/엘릭서 저장소가 추가되었다. 그런데 이게 창렬함의 극치를 달린다. 고작 저장 용량은 25만 늘어나는 주제에[7]자원 250만과 7일을 요구한다! 하지만 11홀에는 850만~1000만짜리 업그레이드가 즐비하기에 안 찍을 수도 없는 노릇.

4 군사 건물

군사 건물은 상대에게 털려도 파괴율 상승으로 잃는 트로피 말고는 피해가 없으니 마을 밖에 배치하는걸 권장한다. 다만 트롶전 중인 10과 11홀들은 대개 파괴율 상승도 막기위해 장벽안에 넣는다.

4.1 집합소(Army Camp)

레벨 1레벨 2레벨 3레벨 4
레벨 5레벨 6레벨 7레벨 8
유닛은 집합소로 집결합니다. 집합소를 더 건설하고 업그레이드하여 강력한 군대를 양성하세요.
집합소1레벨2레벨3레벨4레벨5레벨6레벨7레벨8레벨
업그레이드 비용(엘릭서)25025001만10만25만75만225만675만
업그레이드 시간5분1시간3시간8시간1일3일5일10일
수용 유닛2030354045505560
체력(HP)250270290310330350400500
요구 마을 회관 레벨123456910
마을 회관 레벨1234567891011
건설 가능 건물 개수11223344444
최대 인구수20307080135150200200220240240

생산된 병력이 대기하는 장소. 업그레이드를 할수록 수용할 수 있는 유닛 수가 증가하며 모닥불에 당근→닭→돼지→소 등 음식이 끼워지는 것부터 시작해서 점차 멋지게 변한다. 업그레이드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지만, 공격 역량 증가의 핵심이기에 홀을 올리자마자 최대한 빨리 올리는 편이다.

집합소를 선택하면 해당 집합소에 모인 유닛들이 전용 애니메이션을 보여준다. 과거에는 자이언트가 스트레칭을 하는 애니메이션을 보여줬지만 언제부터인가 자이언트는 반응하지 않는다. 집합소를 계속 보고 있으면 바바리안, 아처, 미니언같은 저렙 유닛은 쉴새없이 돌아다니지만 페카, 골렘같은 고급 유닛은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

병력이 이 곳에서 대기하고 있어도 방어할 때에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다. 방어할 때 볼 수 있는 아군 유닛은 오직 클랜 성 지원병력 뿐이다. 그 많던 병력은 마을회관 안으로 미리 대피해 있다

집합소는 1홀 1개를 기점으로 3홀, 5홀, 7홀 때 1개씩 추가되어 총 4개까지 지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때는 이전 홀에 비해 공격 역량이 많이 강화된다. 특이한 점이라면 7홀과 8홀은 최대 인구수가 같다. 그래서 8홀은 7홀의 연장선상 같은 느낌을 많이 받게 된다. 10홀과 11홀도 마찬가지.

면적이 5x5로, 클래시 오브 클랜 내에서 가장 면적이 넓은 건물이다.

4.2 훈련소(Barracks)

레벨 1레벨 2레벨 3레벨 4레벨 5레벨 6
레벨 7레벨 8레벨 9레벨 10레벨 11레벨 12
훈련소에서 훈련한 유닛으로 적을 공격할 수 있습니다. 훈련소를 업그레이드하면 큰 전투에서 활약하는 고급 유닛을 훈련할 수 있습니다.
훈련소1레벨2레벨3레벨4레벨5레벨6레벨7레벨8레벨9레벨10레벨11레벨12레벨
업그레이드 비용(엘릭서)2001000250050001만8만24만70만150만200만300만400만
업그레이드 시간10초15분2시간4시간10시간16시간1일2일4일6일8일10일
체력(HP)250290330370420470520580650730810900
요구 마을 회관 레벨1112345678910
마을 회관 레벨1234567891011
건설 가능 건물 개수12233344444

말 그대로 병력을 생산하기 위한 건물. 업그레이드 할 수록 생산할 수 있는 유닛 종류와 대기열 숫자가 늘어난다. 업그레이드를 하면 해당 레벨에서 새로 훈련이 가능해지는 유닛과 관련된 외형으로 바뀐다. 대기열 숫자가 늘어나는 것이 꽤 체감이 크므로, 파밍 위주로 플레이하더라도 미리미리 업글해 두자.

훈련소는 맨 처음 1개에서 시작해 2홀, 4홀, 그리고 7홀에서 하나씩 추가되어 총 4개가 된다.

2014년 12월 11일 겨울 패치로 체력이 상향되고 자이언트와 고블린의 생산 순서가 서로 바뀌었다.

2015년 하반기 패치로 훈련소 하나 당 보석 5개를 사용하여 1시간 동안 병력의 훈련 속도를 4배 가속할 수 있다. 그러나 가속했다가 도중 마음대로 중지 할 수는 없으며, 만약 가속 중 점검 등의 이유로 서버가 닫히면 가속이 중지되며 가속 재개 버튼으로 재개할 수 있다.

건설&업글 총 소요 시간은 32일 8시간 15분 10초이며 누적 비용은 1153만 8700 엘릭서. 가격 대비해서 소요 시간이 상당히 긴 편이며, 특히 업그레이드 중에는 병력을 못 뽑는지라(...) 체감상 엄청 길게 느껴진다. 4개를 동시에 업글한다면 강제 휴식 타임

2016년 5월 말 패치로 11레벨과 12레벨의 훈련소가 추가되었으며, 9, 10레벨의 건물체력이 감소하였다.

2016년 10월 패치로 모든 훈련소의 훈련 탭이 하나로 통합되었다! 거기에 따라 유닛들의 훈련 시간이 조정되었고, 훈련 가능한 유닛이 있는 훈련소 하나에 반비례해서 훈련 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4.3 연구소(Laboratory)

레벨 1레벨 2레벨 3레벨 4레벨 5
레벨 6레벨 7레벨 8레벨 9
연금술사들은 연구소에 어떤 어두운 비밀을 감추고 있을까요? 아무도 밝혀낼 용기를 내지 못했습니다. 우리가 아는 것은 단지 그들의 연구를 통해 마법과 유닛이 더욱 강력해지고 빨라져서 좋다는 것입니다!
연구소1레벨2레벨3레벨4레벨5레벨6레벨7레벨8레벨9레벨
업그레이드 비용(엘릭서)250005만9만27만50만100만250만400만600만
업그레이드 시간30분5시간12시간1일2일4일5일6일7일
체력(HP)5005506006507007508309501070
요구 마을 회관 레벨34567891011

병력이나 공격시 사용하는 주문을 연구(업그레이드)하는 건물. 물론 업그레이드에도 수많은 (다크)엘릭서와 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갓 마을회관을 업그레이드 했다면 제일 먼저 건설/업그레이드 해야하는 건물이다. 이 건물을 업그레이드해야 더 높은 단계의 연구가 해금된다. 유저들이 연구소가 유닛 연구와 연구소 건물 업그레이드를 동시에 할 수 있는지 자주 물어보는데, 동시 진행 가능하다. (단, 유닛 연구를 먼저 시작한 후 연구소 업그레이드를 해야 적용된다. 연구소 업그레이드를 누른 뒤 유닛 연구는 안된다.) 만일 연구소 업글이 끝났는데 연구소 업글 시간보다 업글 시간이 짧았던 연구가 끝나지 않았다면 재접속을 해보자.

참고로 스펠을 포함한 모든 유닛 풀업에 걸리는 시간은 2016년 10월 기준으로 무려 980일 6시간이다! 연구소를 이론적으로 계산하여 돌려도 이 정도니 대부분의 일반적인 무과금 유저들은 유닛 풀업을 달성하기 위해 대략 3년 가까이 소요된다는 이야기. 게다가 연구소는 오로지 즉시 완료만 가능하고 시간 가속은 없다! 연구소가 절대로 놀면 안 되는 이유가 바로 이것 때문이다. 공밀레

다만 고블린, 해골 마법, 복제 마법, 마법사 6레벨, 5레벨 이상 번개 마법 등 업그레이드 효율이 낮거나 자주 쓰지 않는 유닛은 굳이 만렙을 찍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걸리는 시간은 사실상 더 적기는 하다. 하지만 발키리가 5레벨 출시와 함께 크게 상향되었기 때문에 발키리 업그레이드를 미뤄뒀던 유저들은... 업그레이드가 시급합니다!

2014년 12월 11일 겨울 패치로 체력이 상향되었다.

건설&업글 총 소요 시간은 25일 17시간 30분이며 누적 비용은 1443만 5000엘릭서. 업그레이드 시간 자체는 긴 편이 아니지만 연구소의 용도/개수 때문인지 되게 길게 느껴진다.

연구소의 유닛과 마법 업그레이드에 소요되는 시간은 건축 속도보다 단축하는 것이 보석을 쓰지 않고는 사실상 어렵다. 유닛 일람과 마법 일람 문서에 각 유닛, 마법별로 업그레이드 소요 시간이 나타나 있지만, 편의상 모든 연구소 업그레이드의 누적시간을 이곳에 기재하도록 한다. 2016년 10월 기준이다.

유닛, 마법 / 마을 회관 레벨3레벨4레벨5레벨6레벨7레벨8레벨9레벨10레벨11레벨누적시간
바바리안6시간-1일-3일5일10일14일-33일 6시간
아처12시간-2일-3일5일10일14일-34일 12시간
자이언트-1일-2일3일5일10일12일14일47일
고블린12시간-2일-3일5일8일10일-28일 12시간
해골 돌격병-1일-2일3일5일-10일-21일
해골 비행선-1일-2일3일5일10일-14일35일
마법사--1일2일3일5일10일14일-35일
치유사----3일5일7일--15일
드래곤----7일9일10일12일14일52일
P.E.K.K.A.-----22일-28일-50일
베이비 드래곤------10일22일14일46일
광부-------10일26일36일
미니언----5일13일10일14일14일56일
호그 라이더----8일22일14일14일-58일
발키리-----8일22일14일-44일
골렘-----10일26일14일-50일
마녀------10일-14일24일
라바하운드------10일12일14일36일
볼러-------10일14일24일
번개 마법--6일--4일10일14일-34일
회복 마법---3일3일5일7일--18일
분노 마법----10일7일---17일
이동 마법------5일7일-12일
얼음 마법-------36일-36일
복제 마법-------8일24일32일
독 마법-----4일6일10일-20일
지진 마법-----6일8일12일-26일
신속 마법------8일24일-32일
해골 마법-------18일12일30일
합계1일 6시간3일12일11일57일150일250일322일174일980일 6시간

4.4 마법 제작소(Spell Factory)

레벨 1레벨 2레벨 3레벨 4레벨 5
마법 제작소는 전장에서 활약하는 것보다 마법 무기를 제작하는 것이 능숙한 베테랑 마법사들이 머무는 곳입니다. 강력한 공격용 마법을 사용하여 전투의 흐름을 원하는 방향으로 바꾸세요!
마법 제작소1레벨2레벨3레벨4레벨5레벨
업그레이드 비용(엘릭서)20만40만80만160만320만
마법 용량246810
업그레이드 시간1일2일4일5일6일
체력(HP)425470515565615
요구 마을 회관 레벨567910

마을 공격시 번개를 떨궈서 건물을 부수거나 아군을 회복시키거나, 미쳐 날뛰게 하는 등의 유용한 주문 제작하여 준비하는 건물. 무슨 커다란 솥처럼 생겼는데 여기서 마법을 만든다. 업그레이드를 할수록 생산할 수 있는 마법 종류와 장전 용량이 늘어난다. 마법은 최대 5개까지 보유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 중에는 마법 제작이 불가능하지만, 미리 생산해 놓은 마법은 마법 제작소 업그레이드 중에도 사용할 수 있다.

마법 제작소 역시 과거 훈련소와 마찬가지로 보석 5개를 사용하여 1시간 동안 가속이 가능하다.

매우 중요한 건물이기 때문에 업그레이드 기간은 그다지 길지 않지만, 업그레이드가 진행되는 동안의 전투력이 치명적으로 약화되므로 보석을 써서 당겨짓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아처퀸은 없어도 되지만 이게 없으면 게임을 제대로 할 수가 없다

2014년 12월 11일 겨울 패치로 체력이 상향되었다. 2015년 6월 30일 여름 패치로 암흑 마법이 1칸을 차지하게 되고, 기존 마법은 용량을 2칸 차지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마법제작소만 존재할 경우의 총 마법 칸 수는 10칸이 된 셈이다. 그리고 2015년 12월 10일 하반기 대규모 패치로 이제 4레벨 마법 제작소에서도 얼음마법을 쓸 수 있게 되었다. 그 후 2016년 5월 말 쯤에 복제 마법이 새로 나오면서 5레벨 마법 제작소에서는 복제 마법을 쓸 수 있게 되었다.

건설&업글 총 소요 시간은 18일이며 누적 비용은 620만 엘릭서. 업그레이드가 상당히 싸다

4.5 암흑 병사 훈련소(Dark Barracks)

레벨 1레벨 2레벨 3레벨 4
레벨 5레벨 6레벨 7
암흑 병사 훈련소는 다크 엘릭서에서 태어난 생물을 소환합니다. 암흑 병사 훈련소를 업그레이드하면 독특한 전투 기술을 지닌 새로운 유닛들을 소환할 수 있습니다.
암흑 병사 훈련소1레벨2레벨3레벨4레벨5레벨6레벨7레벨
업그레이드 비용(엘릭서)75만125만175만225만275만350만600만
업그레이드 시간3일5일6일7일8일9일12일
체력(HP)500550600650700750800
요구 마을 회관 레벨77889910
마을 회관 레벨7891011
건설 가능 건물 개수12222

다크엘릭서를 이용한 고급 병력을 생산하는 건물이다.

업그레이드가 비교적 오래 걸리지만 골렘, 마녀, 라바 하운드 등 클랜전에서 매우 유용하게 쓰이는 병력들을 뽑을 수 있다. 클랜전용 유닛이 대부분인데다 다수를 생산하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2개의 훈련소가 바쁘게 돌아갈 일은 없다. 그러므로 하나씩 번갈아가며 꾸준히 업그레이드 하는 것이 포인트. 단 라벌미나 골위위 러시를 할 경우, 라바 하운드와 골렘의 생산시간이 45분으로 매우 길기 때문에 고레벨 다크배럭이 2개 있다면 시간을 많이 단축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2016년 5월 밸런스 조정 업데이트에서 골렘, 라바 하운드의 훈련시간은 15분으로 짧아졌으며 마녀 또한 시간이 절반으로 단축되어 이제 다크배럭 하나가 업데이트 전 다크배럭 2개보다도 더 효율이 좋아졌다. 8홀에서 다크배럭 4/4를 만족하고 9홀로 올라가면 초반 다크배럭 업그레이드 기간동안 골렘 생산이 막히지 않아 꽤 편하다.

마을 회관 8레벨때 1개를 더 지을 수 있어서 총 2개를 지을 수 있다.

2014년 12월 11일 겨울 패치로 체력이 상향되었다.

건설&업글 총 소요 시간은 50일이며 누적 비용은 1825만 엘릭서. 중요도를 반영이라도 하듯 건설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린다.

2016년 3월 22일 패치로 10홀에 7레벨 업그레이드가 추가, 새 유닛인 볼러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4.6 암흑 마법 제작소(Dark Spell Factory)

100px-Dark_Spell_Factory1.png100px-Dark_Spell_Factory2.png100px-Dark_Spell_Factory3.png파일:COC 암흑 4.png
레벨 1레벨 2레벨 3레벨 4
가장 용감하거나 무모한 마스터 마법사만이 다크 엘릭서 제조에 손을 댈 수 있습니다. 암흑 마법에 숙달되려면 깊은 통찰력이 필요하지만, 전투에서 그만큼의 전술적인 효과를 보장합니다.
마법 제작소1레벨2레벨3레벨4레벨
업그레이드 비용(엘릭서)150만250만350만450만
마법 용량1111
업그레이드 시간4일6일8일10일
체력(HP)600660720780
요구 마을 회관 레벨8899

다크 엘릭서를 이용한 암흑 마법을 생산하는 건물이다.

만렙 기준으로 기존 마법 제작소가 10칸을 제공해 주고, 암흑 마법 제작소는 자체적으로 1칸을 제공하기 때문에 총 11칸이 제공되며, 결과적으로 "기존 마법 5개에 암흑마법 1개"부터 "암흑 마법만 11개"까지 마법의 비율을 사용자 의도대로 조정할 수 있다. 일반 마법 제작소와 달리 업그레이드 하더라도 마법 인구수가 늘어나지 않는다.

건설&업글 총 소요 시간은 28일이며 누적 비용은 1200만 엘릭서.

4.7 바바리안 킹(Barbarian King)

바바리안 킹은 왕국에서 가장 흉악한 바바리안으로, 다크 엘릭서를 즐겨 마신 나머지 거대하게 성장해 버렸습니다.적 마을을 공격하거나 자신의 마을을 지킬 수 있습니다.
바바리안 킹1레벨
건설 비용(다크 엘릭서)10000
건설 시간즉시
체력(HP)250
요구 마을 회관 레벨7

다크 엘릭서로 강화시킨 영웅 바바리안 킹을 위한 휴식처. 별도의 업그레이드가 존재하지는 않고, 레벨업을 시킬 수 있다. 레벨 업을 하려면 일반적인 건설처럼 장인이 필요한데, 무기를 강화시켜주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바바리안 킹을 순찰 모드/휴식 모드로 토글이 가능하다. 휴식 모드일 때에는 공격에 투입이 가능하지만 방어 전투에는 참여하지 않게 된다.
레벨 불문 번개 1방에 부서지기 때문에 고랭대에서 번개로 50% 파괴를 노릴때 주로 파괴하는 건물이다. 바바리안 킹의 업그레이드는 건설로 취급되어 연구소가 아닌 장인으로 하지만, 자세한 설명은 편의상 클래시 오브 클랜/유닛에서 다루도록 한다.

4.8 아처 퀸(Archer Queen)

아처 퀸은 예리한 눈을 지닌 전사로, 뭇 남성들도 감히 사용할 엄두도 못 내는 개조형 대형 석궁을 무기로 사용합니다. 적 마을을 공격하거나 자신의 마을을 지킬 수 있습니다.
아처 퀸1레벨
건설 비용(다크 엘릭서)40000
건설 시간즉시
체력(HP)250
요구 마을 회관 레벨9

다크 엘릭서로 강화시킨 영웅 아처 퀸을 위한 휴식처. 세부적인 내용은 바바리안 킹의 것과 동일하다. 바바리안 킹의 업그레이드와 마찬가지로 아처 퀸의 업그레이드는 건설로 취급되어 연구소가 아닌 장인으로 하지만, 자세한 설명은 편의상 클래시 오브 클랜/유닛에서 다루도록 한다.

4.9 그랜드 워든(Grand warden)

그랜드 워든은 오랫동안 출처 불명의 강력한 유물을 연구하여 그 힘을 지배하는 전략가로, 적 마을을 공격하거나 자신의 마을을 지키는 부대원들을 더 강하게 만듭니다.
그랜드 워든1레벨
건설 비용(엘릭서)6000000
건설 시간즉시
체력(HP)250
요구 마을 회관 레벨11

최대 레벨은 20이며, 4레벨의 스킬을 사용할 수 있다. 스킬은 패시브와 액티브로 나뉜다.

패시브는 '생명의 오오라'로, 주위의 아군 유닛에게 체력을 회복시켜 준다. 레벨업 시 맨 처음 회복랑은 20%로, 1.1에서 2%씩 꾸준하게 늘어난다. 액티브는 '영원의 책'으로, 사용시 주위의 유닛이 금빛으로 반짝이며 잠깐 무적 효과를 받게 된다.
이 스킬은 최대 4렙으로, 0.5초씩 늘어난다.

바바리안 킹, 아처 퀸의 업그레이드와 마찬가지로 그랜드 워든의 업그레이드는 건설로 취급되어 연구소가 아닌 장인으로 하지만, 자세한 설명은 편의상 클래시 오브 클랜/유닛에서 다루도록 한다.

5 방어 건물

말 그대로 적들을 공격하는 건물이다. 모든 방어 건물은 업그레이드가 진행 중일 때에는 작동하지 않는다. 단, 클랜전 시에는 업그레이드 시작 전 레벨로 취급되어 작동한다. 새로 건설중인 1레벨 방어시설의 경우는 바로 1레벨로 적용이 된다. 그리고 클랜전 준비기간 중 업그레이드가 완료되었을 때는 업그레이드 완료 후 레벨로 취급되어 작동한다.

업그레이드에 우선순위를 두자면 파밍에 가장 많이 시달리는 바처 조합에 강한 광역 피해를 가하는 건물인 박격포, 마법사 타워의 업그레이드를 먼저 하고, 그 뒤로 클랜전에서 중요하거나 성능이 탁월한 방어타워인 대공포, 뇌전탑 등을 업그레이드를 한 뒤 아처 타워나 대포를 업그레이드 하는 식이다. 대형 석궁이나 인페르노 타워같은 고급 방어 건물은 보통 그 회관이 올라오자마자 계속 장인을 붙여 곧바로 최대치까지 업그레이드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참고로 게임 상에서는 공격 속도가 표시되지 않고 초당 공격력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초당 피해가 그대로 들어간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8]

5.1 대포(Cannon)

레벨 1레벨 2레벨 3레벨 4레벨 5레벨 6레벨 7
레벨 8레벨 9레벨 10레벨 11레벨 12레벨 13레벨 14
대포는 훌륭한 거점 방어 시설입니다. 업그레이드하면 공격력이 증가하지만 업그레이드 중에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공격 유형원거리 단일 표적(지상)
공격 속도0.8초
사거리9칸
레벨1레벨2레벨3레벨4레벨5레벨6레벨7레벨8레벨9레벨10레벨11레벨12레벨13레벨14레벨
업그레이드 비용(골드)250100040001.6만5만10만20만40만80만160만320만500만650만850만
업그레이드 시간10초15분45분2시간6시간12시간1일2일3일4일5일6일7일8일
초당 공격력(DPS)91115192531404856658095110120
공격 당 대미지7.28.81215.22024.83238.444.85264768896
체력(HP)4204705205706206707308008809601060116012601380
공격력/체력 증가량-3/504/504/506/506/609/608/708/809/8015/10015/10015/10020/120
요구 마을 회관 레벨11234567889101011
마을 회관 레벨1234567891011
건설 가능 건물 개수22223355567

가장 기본적인 방어건물이자, 튜토리얼 때 무조건 하나 이상 짓게 되는 최초의 방어 건물이다. 원거리에서 적들을 쏘는 무인 대포로 꽤 빠른 속도로 포탄을 쏴댄다. 기본적으로 동레벨 아처 타워보다 체력이 높다. 7레벨까지는 동레벨 아처 타워보다 초당 대미지가 떨어지지만, 8~10레벨에서 동일하며, 11레벨 이후로는 아처 타워보다 더 강력하다. 2016년 8월 25일 업데이트 이후로 11레벨 이상 대포의 데미지가 더 세졌다.

대포는 아처 타워보다 언제나 한 방 공격력이 더 높기 때문에 유닛을 일격사시키는 경우가 많아서 지상 병력 상대로 위협적이다. 아처와 해골 돌격병을 일격사시킬 수 있느냐가 가장 중요한 업그레이드 기준. 대신 공중 유닛은 공격할 수 없다는 게 단점이다.

지상 병력 상대로는 강하지만, 7~8홀의 강력한 공중 러쉬인 드래곤이나, 9~10홀의 벌미, 라벌미 앞에서는 무용지물이다. 파밍에 집중한다면 자이언트를 막기 위해 아처 타워보다 대포를 우선하여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좋고, 클랜전에 집중한다면 공중 병력을 막기 위해 아처 타워를 우선하여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좋다.

처음엔 대포알이 작은 쇠공이자만, 업그레이드를 거치면서 더 큰 쇠공, 가시 쇠공, 축구공같은 금색 철공, 불덩어리포탄으로 변해간다.

바바리안 레벨 (HP)두 방에 죽이기 위한 대포 최소 레벨
1 (45)6레벨
2 (54)7레벨
3 (65)8레벨
4 (78)9레벨
5 (95)10레벨
6 (110)11레벨
7 (125)12레벨
아처 레벨 (HP)한 방에 죽이기 위한 대포 최소 레벨
1(20)5레벨
2(23)6레벨
3(28)7레벨
4(33)8레벨
5(40)9레벨
6(44)9레벨
7(48)10레벨
해골 돌격병 레벨 (HP)한 방에 죽이기 위한 대포 최소 레벨
1(20)5레벨
2(24)6레벨
3(29)7레벨
4(35)8레벨
5(42)9레벨
6(54)11레벨

건설&업글 총 소요 시간은 36일 21시간 10초(...)이며 누적 비용은 2877만 1250골드. 7레벨 이후에는 능력치 향상이 비교적 큰 편이다.

2016년 10월 13일 패치로 12~13레벨 업그레이드 비용이 줄었다.

5.2 아처 타워(Archer Tower)

레벨 1레벨 2레벨 3레벨 4레벨 5레벨 6레벨 7
레벨 8레벨 9레벨 10레벨 11레벨 12레벨 13레벨 14
아처 타워는 대포보다 사정거리가 더 길고 공중 유닛도 공격할 수 있습니다.
공격 유형원거리 단일 표적(지상/공중)
공격 속도0.5초
사거리10칸
레벨1레벨2레벨3레벨4레벨5레벨6레벨7레벨8레벨9레벨10레벨11레벨12레벨13레벨14레벨
업그레이드 비용(골드)1000200050002만8만18만36만72만150만250만380만550만700만900만
업그레이드 시간1분30분45분4시간12시간1일2일3일4일5일6일7일8일9일
초당 공격력(DPS)11151925303542485665758698110
공격 당 대미지5.57.59.512.51517.521242832.537.5434955
체력(HP)38042046050054058063069075081089097010501130
공격력/체력 증가량-4/404/406/405/405/407/506/608/609/6010/7011/8012/8012/80
요구 마을 회관 레벨22345567889101011
마을 회관 레벨1234567891011
건설 가능 건물 개수01123345678

아처가 올라간 가드 타워. 마을회관 2레벨부터 사용할 수 있다. 지상 유닛과 공중 유닛을 모두 공격할 수 있고 공격 범위도 대포보다 1칸 넓다. 대신 체력이 낮은 편이라 위치를 잘 선정해야 한다. DPS는 대포와 비슷하나 연사속도가 훨씬 빠른 대신 힐스펠에 더 취약하다. 연사속도 덕에 잡몹 처리에 매우 좋을 것 같지만[9] , 투사체가 느린 덕에 타겟 변경이 굼떠서 뇌전탑에 비할 바는 못 된다. 처음에는 그냥 나무로 대충 쌓아 올린 것 같은 모습이지만, 후반으로 갈수록 성같이 변하고 아처의 모습이 변하고 수가 늘어난다. 10레벨 이상 아처타워는 화살이 목표물에 맞으면 폭발을 일으키지만, 광역 공격은 아니다.

기본적으로 마을회관 2레벨에서 1개 건설 가능하고, 마을 회관 4레벨, 5레벨, 7레벨, 8레벨, 9레벨, 10레벨,11레벨마다 하나씩 늘어나 11홀이 되면 아처타워가 8개가 된다.

2014년 12월 11일 크리스마스 업데이트로 공격 속도가 2배로 증가하였다. 단, 공격속도만 올라간 것이기 때문에 총 공격력은 오르지 않았다. 이를 반영이라도 하듯 크리스마스 패치 전에는 일정레벨 이상 올려야 타워 위에 아처가 2명 올라가는데 패치 후에는 1레벨부터 아처가 2명 올라가 있도록 수정되었다.

각 레벨당 아쳐타워 위의 아처의 외향은 다음과 같다.

1~4레벨: 분홍머리 아처(1~2레벨) 2명이 올라간다. 평범한 화살을 쏜다.
4레벨 : 아처가 주황색 화살을 쏜다.
5~6레벨: 자주색 머리 아처(3~4레벨) 2명이 올라간다.
7레벨 : 아처 수가 3명으로 늘어난다. 이제부터 보라색 화살을 쏜다.
8~10레벨: 초록 후드를 쓴 아처(5레벨) 3명이 올라간다.
10레벨 : 이 레벨 이상의 아처타워는 아처가 쏜 화살이 목표물에 맞으면 폭발을 일으킨다.(범위 공격 절대 아니다.)
11~12레벨: 보라색 머리에 노란 머리띠를 쓴 아쳐(6레벨) 3명이 올라간다.
11레벨 : 아처가 푸른색 화살을 쏜다.
12레벨 : 아처가 반짝이를 내는 주황색 불화살을 쏜다.
13~14레벨 : 머리띠에 보석을 단 아처(7레벨) 3명이 올라간다. 아처가 반짝이를 내는 분홍색 불화살을 쏜다.

2015년 4월 30일 패치로 초기 건설 시간이 15분에서 1분으로 줄어들었고, 2015년 여름 패치에서는 목표물 인식 속도가 조금 더 빨라져서 딜로스가 상당히 줄어들었다.

2016년 7월 20일 패치로 14레벨 아처 타워가 추가되었다. 참고로 14레벨 아처 타워는 대공포 2레벨과 공격력이 맞먹는다. 11홀의 위엄

건설&업글 총 소요 시간은 45일 17시간 16분이며 누적 비용은 3286만 8000골드. 1~7레벨에서는 대포보다 초당 공격력이 강하지만 8~10레벨에서는 초당 공격력이 동일해지며, 11레벨 이상부터는 대포보다 초당 공격력이 떨어진다. 그러나 어느 레벨이든 동레벨 대포에 비해 체력이 약한 편이다. 9레벨 이후에 능력치 향상이 비교적 크다. 2016년 10월 13일 패치로 11~13레벨 아처타워 업그레이드 비용이 줄었다.

5.3 장벽(Walls)

레벨 1레벨 2레벨 3레벨 4레벨 5레벨 6
레벨 7레벨 8레벨 9레벨 10레벨 11
장벽은 마을을 안전하게 지켜주고 적들을 사선으로 몰아줍니다.
레벨1레벨2레벨3레벨4레벨5레벨6레벨7레벨8레벨9레벨10레벨11레벨
업그레이드 비용5010005000100003만7.5만20만50만100만300만400만
체력(HP)3005007009001400200025003000400055007000
체력 증가량-200200200500600500500100015001500
요구 마을 회관 레벨223456789910
마을 회관 레벨1234567891011
건설가능 개수0255075100125175225250275300

기본적인 지상 유닛으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기 위한 장벽. 그리고 그 많던 골드와 엘릭서를 다 사라지게 하는 주범. 영웅 업그레이드와 함께 CoC의 하드코어 컨텐츠를 담당하고 있다.

호그 라이더와 점프 스펠을 제외하면 적 지상 유닛은 장벽을 넘지 못한다. 또한 장벽 때문에 목표물을 공격할 수 없다면 장벽을 먼저 공격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아군 마을 주민들과 클랜성 병력, 영웅은 휙휙 잘 뛰어넘는다. 장벽을 대각선으로 하나씩만 놓으면 적 유닛이 사이로 들어올 수 있으므로, 그 큰 골렘,페카도 들어온다대각선 방향을 차단하고 싶다면 지그재그로 연결해야 한다.

업그레이드는 8벽까지 골드를 사용하며, 9벽부터는 골드 대신 엘릭서로도 올릴 수 있다. 8홀까지는특히 8홀 골드에 비해 엘릭서가 한참 남아돌아서 고통받는다. 장벽의 개수는 2~6홀에서 25개씩, 7~8홀에서 50개씩, 9~11홀에서 25개씩 증가한다.

참고로, 8홀에서는 장벽을 7레벨까지만 업글하고 9홀로 올라가는 것이 좋다. 8홀에서는 8레벨 장벽까지만 올릴 수 있어서 엘릭서가 많이 남아 도는데 9홀인 경우에는 8레벨 장벽을 업글하면서 엘릭서가 남으면 엘릭서로 9레벨 장벽을 올려서 엘레기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처음엔 그냥 나무 울타리지만 업그레이드가 될 수록 체력이 대폭 올라가고 화려해진다. 다만 업그레이드 비용이 뒤로 갈수록 미친듯이 오른다. 특히 10, 11레벨 벽 업그레이드 비용은 벽 1개에 각각 300만, 400만이다!!벽 1개가 1레벨 대형석궁보다 더 비싸다.

모든 벽 풀업에 드는 비용은 8,821,050 * 300 = 2,646,315,000이다. 이 중 24억은 엘릭서로 대체할 수 있다.

황금색 5벽은 4벽에 비해 체력이 대폭 상승하므로 5홀 시점에서는 중요한 업그레이드지만 8홀에 해금되는 5월브에 한방이므로, 자신이 7홀이라면 추가로 업그레이드를 해 줘야 최소한의 저항이라도 할 수 있다.
상위권 유저라면 적어도 9레벨 장벽까지는 올리는 것이 좋다. 10레벨부터는 300만 이상이지만 9레벨은 100만밖에 안들면서사실 100만도 비싸다. 골드, 엘릭서로 다 업글이 가능하기 때문에 9레벨까지는 업글하는 것이 좋다.

장벽 레벨에 따라 얼마나 많은 해골 돌격병이 필요한지를 나타낸 표이다.

해골 돌격병 레벨 / 장벽 레벨1레벨
(300)
2레벨
(500)
3레벨
(700)
4레벨
(900)
5레벨
(1400)
6레벨
(2000)
7레벨
(2500)
8레벨
(3000)
9레벨
(4000)
10레벨
(5500)
11레벨
(7000)
1레벨
(480)
1222356791215
2레벨
(640)
112234457911
3레벨
(960)
11112334568
4레벨
(1280)
11112223456
5레벨
(1840)
11111222334
6레벨
(2400)
11111122233

고레벨 장벽의 별명 및 외관은 다음과 같다.

  • 8벽 : 해골 벽. 해골 모양의 외관을 가진다.
  • 9벽 : 레고 벽. 성곽 모양이 레고 블록을 닮았으며, 장벽이 꺾이는 모서리마다 조그마한 불꽃이 타오르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있다.
  • 10벽 : 불 벽. 모서리에서 타오르는 불꽃이 벽을 타고 이동하면서 치솟는 간지폭풍을 자랑한다.
  • 11벽 : 용암 벽. 모서리에서는 검은 해골이 용암을 내뿜고, 검은 장벽에서 빨간 용암이 흘러내린다. 패치 이전에는 파란 장벽에 전기가 흐르는 모습이라 전기 벽이라 불렸다.

5.4 박격포(Mortar)

파일:박격포 4.png
레벨 1레벨 2레벨 3레벨 4레벨 5
레벨 6레벨 7레벨 8레벨 9레벨 10
박격포는 광역 피해를 주는 포탄으로 적 무리를 쓸어버립니다. 너무 가까이 접근한 적은 공격할 수 없습니다!
공격 유형원거리 스플래시 표적(지상)
공격 속도5초
사거리4~11칸
레벨1레벨2레벨3레벨4레벨5레벨6레벨7레벨8레벨9레벨10레벨
업그레이드 비용(골드)80003.2만12만40만80만160만320만500만700만900만
업그레이드 시간8시간12시간1일2일4일5일7일8일10일12일
초당 공격력(DPS)45678911141720
공격 당 대미지202530354045557085100
체력(HP)400450500550600650700750800850
공격력/체력 증가량-5/505/505/505/505/5010/5015/5015/5015/50
요구 마을 회관 레벨3456789101111
마을 회관 레벨1234567891011
건설 가능 건물 개수00111234444

아처의 최대 천적이며 9홀까지의 핵심 방어타워

CoC판 공성 모드 공성 전차/캐논 타워. 사거리가 굉장히 길고 한 방이 꽤 강력한 대신 공격 속도가 5초로 매우 느리며 약간의 최소 사거리가 존재하는데 최소 사거리의 내부의 유닛은 공격이 불가능하다. 게다가 체력도 굉장히 약한 편이라 박격포는 배치 안쪽에서 방어선을 구축하게 된다.

초반에는 이 박격포가 최우선 업그레이드 대상이고 5홀에 마법사 타워가 나와도 여전히 위력을 과시한다. 그러나 10홀 쯤 가면 점점 취급이 안 좋아지기 시작하는데, 10홀 정도 되면 대부분의 방어타워가 90이 넘는 초당 공격력을 가지고 있지만 겨우 14 수준에 머무는 박격포는 광역이라고 해도 업그레이드의 의미가 거의 없어지기 때문이다. 게다가 8레벨 아처가 없기 때문에 8레벨 이상 박격포는 업그레이드 순위가 꽤 뒤떨어진다.꼴등이다. 심지어 박격포가 7렙이면 모든 아처를 한방에 죽일 수 있기 때문에 웬만한 11홀도 박격포는 7레벨에 불과한 경우가 많다. 제일 흔한 파밍 조합인 바처 조합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는 데서 만족하자.
그래도 7레벨 아처는 7레벨 박격포에 한방에 죽일 수 있기 때문에 적어도 7레벨까지는 반드시 업그레이드를 해야 한다. 그러나 업그레이드를 잘 해두면 평소에는 바바리안, 아처를 멀리서 저격할 수 있고, 클랜전에서는 마녀와 그의 해골, 마법사를 멀리서 저격할 수 있다. 또, 볼러가 만렙 박격포에 4방이면 죽기 때문에 11홀 최상위권 유저라면 박격포를 만렙으로 업글하는 것도 좋다.

이것도 대포와 마찬가지로 공중 유닛을 공격할 수 없다. 그리고 모든 방어 건물 중 체력이 가장 빈약해 번개 마법 두 방에 파괴될 수 있으니 주의. 하지만 박격포가 남아있으면 다수의 병력, 특히 아처들이 순식간에 날아가기 때문에 공격 측에서는 위치를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 방어 측 입장에서는 괜찮은 사거리와 범위, 공격력으로 적절한 곳에 배치만 하면 다수의 적을 쉽게 처치할 수 있다. 특히 체력이 약하고 다른 유닛보다 고정된 위치에서 공격하는 아처에게는 그야말로 천적으로, 박격포 한 방에 뭉쳐있는 아처 수십마리가떼죽음 한방에 몰살당하는 장면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여담으로 표기된 대미지는 정말 작아보이지만 어디까지나 DPS로 계산되는지라 5초에 한 번 공격하는 박격포는 1타 공격력이 초당 공격력의 5배이므로 생각보다 매우 높다. 그리고 바바리안, 아처, 고블린, 해골 돌격병을 상대로는 타격 시 넉백시킨다. 무엇보다 동레벨 박격포로 동레벨 아처를 원킬낼 수 있다. 따라서 아처를 포함한 조합으로 파밍할 때에는 박격포의 레벨에 따른 외형 변화를 미리 숙지하는 것이 좋다.[10]

처음에는 작은 돌을 쏘지만 업그레이드 할수록 바위->쇠공->운석 순으로 쏜다. 만렙 시 박격포탄에 붉은 빛이 난다.원기옥


2014년 10월 23일 패치로 최대 건설 개수가 3대에서 4대로 늘어남으로써 8홀에서 박격포를 총 4대까지 지을 수 있게 되었다.

건설&업글 총 소요 시간은 49일 20시간, 누적 비용은 2716만 골드. 5레벨 정도까지는 시간 대비 비용이 조금 낮은 편이다. 능력치는 6레벨 까지는 5씩, 7레벨은 10, 8레벨 이후는 15씩 일정하게 오른다.

9홀 이하에서는 그야말로 바쳐, 자바쳐 조합의 방어의 중추 시설이지만, 10홀 이후가 되면 석궁과 인페르노 타워, 독수리 포탑을 더 안쪽에 배치해야 하고, 무엇보다 골렘이 주요 탱커가 되면서 골렘에 흠집도 못 내는(...) 박격포는 대포보다도 밖에 내버려지는 굴욕을 겪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클랜전에 집중하기 위해 박격포를 아예 건설하지 않는 전략도 있다. 어차피 9홀 이상 클랜전에서는 박격포가 몸빵 역할밖에 하지 못하므로 과감히 계정 생성 당시부터 박격포를 건설하지 않는 것이다. 대체로 이런 계정들은 워웨이트를 크게 차지하는 9홀 대형석궁, 10홀 인페르노 타워, 11홀 독수리포탑 또한 짓지 않으며, 매칭의 유리함을 통해 클랜전을 원활하게 이끌 수 있다.

2016년 3월 21일 업데이트로 9레벨 박격포가 등장했다. 11홀에서 업그레이드 가능하다.

2016년 10월 13일 업데이트로 10레벨 박격포가 등장했다. 8, 9레벨 박격포의 공격력이 상향되고, 업그레이드 비용과 시간이 줄었다.

5.5 대공포(Air Defence)

레벨 1레벨 2레벨 3레벨 4
레벨 5레벨 6레벨 7레벨 8
8레벨이 생긴게 징그러워 보이지만 화력은 더 징그럽다.
대공포는 상대의 공중 유닛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지만 지상 유닛은 공격할 수 없습니다. 최대한 넓은 영공을 방어할 수 있도록 그 위치를 잘 선정해야 합니다.
공격 유형원거리 단일 표적(공중)
공격 속도1초
사거리10칸
레벨1레벨2레벨3레벨4레벨5레벨6레벨7레벨8레벨
업그레이드 비용(골드)2.25만9만27만54만108만216만432만756만
업그레이드 시간5시간1일3일5일6일8일10일12일
초당 공격력(DPS)80110140160190230280320
체력(HP)8008509009501000105011101170
공격력/체력 증가량-30/5030/5020/5030/5040/5050/6040/60
요구 마을 회관 레벨445678910
마을 회관 레벨1234567891011
건설 가능 건물 개수00011233444

CoC판 미사일 포탑이자 대(對) 공중 병력 최종병기.
회관 레벨 4부터 사용 가능하고, 최대 4개까지 지을 수 있다.

대공포라는 이름 답게 지상 유닛을 공격할 수 없다. 하지만 모든 방어건물을 통틀어 독보적으로 강한 공격력 때문에 치유사, 해골 비행선, 그리고 드래곤의 절대적인 천적이다. 그 강력한 드래곤도 고렙 대공포 앞에선 벌벌떤다. 2레벨부터 DPS가 3자리가 넘어간다. 덕분에 공격자 입장에서는 공중유닛으로 공략할때 항상 대공포를 염두에 두고 공격 해야한다. 1초에 한 발을 쏘기때문에 초당 공격력과 한 방 공격력이 같다. 다만 대공포는 업그레이드가 꽤 많이 걸린다. 그러므로 미리미리 건설해두고 최대치까지 업그레이드 해 두는 걸 권장하는 방어 타워다.

특정 조건에서 강해지는 싱글 인페르노 타워를 제외하면 DPS나 한 방 공격력이나 대공포보다 강한 방어시설은 없다. 물론 유닛까지 범위를 넓히면 바바리안 킹이나 아처 퀸은 업그레이드를 꾸준히 하는 경우 한 방 공격력이 대공포 보다 높아질 수는 있다.

초반엔 공중유닛을 별로 볼 일이 없기 때문에 대공포를 소홀히 해도 큰 상관이 없는데, 6홀 쯤 가서 부랴부랴 건설하기 시작해도 대공포를 2개, 7홀에 3개까지 지을 수 있어서 치유사의 카운터로써의 역할은 가능하다. 따라서 5홀 이하에서는 클랜전을 뛰지 않는 경우에 한정하면 거의 필요없는 방어타워라고 봐도 무방하다. 그래도 5홀에서 대공포를 건설하면 6홀의 치유사 공격을 어느정도는 막을 수 있다.

모든 공중 유닛들 상대로 강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단일 타격에 탄속이 조금 느려서 다수의 미니언에 상대적으로 약한 모습을 보인다. 또한 상대방이 드래곤 러시를 하는 경우, 번개 마법을 사용하여 대공포 한 기를 미리 파괴하고 공격하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 대공포가 2개 밖에 없었던 7홀은 실질적으로 대공포 1개로 드래곤 러시를 막아야하기 떄문에 상대방이 치명적인 실수만 하지 않으면 100%를 막는게 거의 불가능했었다. 그당시 7홀은 드래곤 러쉬를 사용하면 드래곤이 1렙이더라도 거의 모든 맵을 완파시킬 정도였으며 7홀 완파의 정석은 용이라고 할 정도였다.같은 7홀끼리 상호확증파괴 더 웃긴 것은 대공포 상향 전에는 7홀이 6홀을 공격할 때 번개 마법 3개로 대공포 1개를 없애면 실질적으로 대공포가 아예 없어진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2016년 1월 27일 업데이트로 6, 7홀의 대공포 갯수가 1개씩 늘어나면서 7홀의 드래곤 러시가 큰폭으로 하향 당하였다. 번개마법 3개로 대공포 하나 부수고 시작하면 발가락으로 뿌려도 완파가 나던(...) 이전과는 달리 이제 7홀을 드래곤 러시로 반드시 완파를 장담할 수 없게 되었다. 그래서 7홀에서도 호그, 자이+마법사, 호그+마법사 같은 조합으로 갈아타는 유저들이 늘었다. 하지만 예전에도 실력자들은 5레벨 대공포 3개가 있는 8홀 초반을 2레벨 드래곤 러시로 완파를 냈었기 때문에 7홀에서도 드래곤이 2레벨이고 공격자의 실력도 충분하다면 완파가 그리 어렵지는 않을 것이다. 그래도 7홀에서는 여전히 용이 강해서 클랜전에서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6,7홀 벌룬 러쉬는 대공포 상향 전에도 어려웠지만 이제는 거의 불가능해졌다. 대공포가 6홀에 2개,7홀에 3개이다 보니 대공포에 의해 벌룬이 아이스크림처럼 녹아내려서 0별로 가는 지름길이다.

건설&업글 총 소요 시간은 45일 5시간으로 CoC 내에서도 상당히 긴 편이다. 누적 비용은 1604만 2500골드. 6레벨 정도까지는 시간 대비 가격이 상당히 낮다. 4레벨과 8레벨의 공격력 증가 정도가 비교적 떨어지는 특징이 있다.

2016년 3월 21일 업데이트로 대공포의 외형이 많이 변경되었다. 또한 2016년 10월 13일 업데이트로 공사 중인 대공포는 탄두가 없어졌다.

5.6 마법사 타워(Wizard Tower)

레벨 1레벨 2레벨 3레벨 4레벨 5
레벨 6레벨 7레벨 8레벨 9
궁극의 비전 방어 시설! 타워 위의 마법사는 강력한 광역 마법으로 지상 및 공중 유닛을 동시에 공격합니다.
공격 유형원거리 스플래시 표적(지상/공중)
공격 속도1.3초
사거리7칸
레벨1레벨2레벨3레벨4레벨5레벨6레벨7레벨8레벨9레벨
업그레이드 비용(골드)18만36만72만128만196만268만536만600만856만
업그레이드 시간12시간1일2일3일4일5일7일10일12일
초당 공격력(DPS)111316202432404856
공격 당 대미지14.316.920.82631.241.65262.472.8
체력(HP)620650680730840960120014401680
공격력/체력 증가량-2/303/304/504/1108/1208/1408/2408/240
요구 마을 회관 레벨55678891011
마을 회관 레벨1234567891011
건설 가능 건물 개수00001223445

바바리안, 아처, 고블린의 최대 천적
마법사가 올라간 바위 탑. 마을회관 레벨 5부터 사용 가능하다.

요약하자면 근거리 박격포. 광역 공격을 해대며 공격력도 기본 유닛들에게는 간단히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라 물량공세로 들어오는 1티어(인구수 1짜리) 유닛들과 미니언들은 1, 2방에 몰살시킬 수 있다. 특히 둘 다 만렙이라면 월브가 한 방에 죽는데, 공격속도도 빨라 골렘이 맞는 스플래시에 월브가 죽는 경우도 많이 생긴다. 또, 회복마법이나 치유사가 없다면 뭉쳐있는 자이언트,호그라이더들에게도 치명적이며, 고레벨 마법사 타워는 벌룬한테도 치명적이다.
참고로, 9레벨 마법사 타워는 9레벨 대포,아처타워와 공격력이 맞먹는다. 대포,아처타워는 단일공격이지만 마법사 타워는 광역공격이니 9레벨 아처타워 수준으로 광역공격을 한다고 보면 된다.무섭다. 뭉쳐있는 아처와 바바리안(7레벨기준) 1~2방만에 그냥 몰살당하며 뭉쳐있는 벌룬도(7레벨 기준) 10방이면 몰살당한다.

이론적으로는 박격포같은 느낌으로 회피가 가능하지만 사실상 고블린이 달릴 때를 제외하고는 회피가 거의 불가능하다. 탄속도 빨라서 박격포처럼 회피하겠다는 생각은 버리는 게 좋다.그러나 그것도 2016년 5월 업데이트 이후로는 화염 속도가 느려져서 고블린,바바리안 같은 유닛들이 회피하는 경우가 늘어났다. 또한 박격포와 달리 최소사거리가 없어서 함부로 바바리안 등의 물량빨 유닛으로 제거하려다가는 역관광 당한다.수십마리가 떼죽음당하는 광경을 목격할 수 있다. 그러나 골렘,페카,라바하운드 등 탱커 유닛들에게는 약한 모습을 보여서 공격시에는 반드시 탱커 유닛을 내세우고 원거리 딜러 유닛으로 제거하는 것이 좋다. 탱커 유닛을 위한 회복 마법이 있다면 쉽게 파괴된다.

마법사 타워는 아처 타워처럼 레벨이 오를 수록 마법사 타워에 올라가는 마법사의 모습이 바뀌지만[11] 수가 늘어나지는 않는다.

고레벨이 되면 성능이 급격히 좋아지는데, 4~5레벨 정도까지는 별 차이가 없다가 6레벨이 되면 5레벨 아처를 한방에 보내고, 7레벨이 되면 모든 아처가 한방이 된다. 사실 만렙 아처를 한방에 보내는 건 어지간한 고레벨 방어타워라면 다 하는 일이지만, 마법사 타워는 공격 타입이 광역에 연사속도도 좋아서 바바리안, 아처, 미니언 등 비교적 체력이 약하고 뭉쳐지는 모든 유닛들의 천적이다.

초반에는 박격포와 함께 바처 러시를 막을 때 활약하고, 후반에는 대공포와 함께 벌미 러시를 막을 때 활약하는 중요한 방어시설이다. 또한 클랜전에서는 초반에는 뭉쳐다니는 자이언트를 저격하며, 후반에는 박격포와 함께 뭉쳐다니는 경향이 있는 마녀와 그의 해골 또는 마법사를 저격하는 등 두루 활약한다. 때문에 파밍형 기지에서 올려야 하는 우선 순위는 박격포 다음이며, 박격포의 중요도가 낮아지는 10,11홀에서도 인페르노 타워와 대형 석궁을 제외하고는 최우선에 가까울 정도로 마법사 타워는 후반까지 업그레이드 중요도가 매우 높다.

건설&업글 총 소요 시간은 44일 12시간이며 누적 비용은 2758만 골드. 업그레이드 비용은 최상급에 속하지만 의외로 건설 속도는 빠른 편이다. 그만큼 더 열심히 빨리 약탈해야 된다 위에서도 언급한 부분이지만, 6레벨 이후 능력의 상승 정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2016년 3월 21일 업데이트로 레벨5~9 마법사 타워의 체력이 대폭 증가하였다.

2016년 5월 말 패치에서 법사가 날리는 투사체의 탄속이 크게 줄어들었다. 이전에는 레벨 1때부터 번개를 날려댔지만 지금은 화염구를 날린다.그래서 바바리안,고블린 같은 유닛들이 화염을 피하는 경우가 생겼다.

5.7 바람 방출기(Air Sweeper)

레벨 1레벨 2레벨 3레벨 4레벨 5레벨 6
바람 방출기는 강력한 바람을 내뿜어 공중의 적을 밀어내며 하늘을 방어합니다. 바람 방출기의 바람은 한 방향으로만 보낼 수 있으므로, 방향을 바꿔가며 최대한의 효과를 얻으세요!
공격 유형원거리 스플래시 넉백 표적(공중)
공격 속도5초
사거리1 - 15칸
레벨1레벨2레벨3레벨4레벨5레벨6레벨
업그레이드 비용(골드)50만75만125만240만480만720만
업그레이드 시간1일3일5일7일8일9일
넉백 거리(타일)1.62.02.42.83.23.6
체력(HP)7508008509009501000
넉백 능력/체력 증가량-0.4/500.4/500.4/500.4/500.4/50
요구 마을 회관 레벨6678910
마을 회관 레벨1234567891011
건설 가능 건물 개수00000111222

해골 비행선의 최대 천적
2015년 4월 30일 패치로 추가된 대공 방어 건물. 특이하게도 자체 대미지는 없는 대신, 120˚ 각도의 부채꼴 방향으로 바람을 분사해 공중 병력을 넉백시킨다. 현존하는 방어 건물 중 공중 병력을 넉백시키는 유일한 건물이며, 자체 대미지가 없는 유일한 건물이며, 특정 방향만 방어할 수 있는 유일한 건물이기도 하는데, 유저들 사이에서는 선풍기라고도 부른다.

수비자는 부채꼴 모양의 공격 가능 범위를 45˚ 단위로 미리 설정할 수 있고, 공격자 입장에서는 노즐의 방향을 통해 공중 유닛이 영향을 받을지 여부를 미리 짐작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를 하면 넉백 거리가 일정하게 증가하나 공격 속도가 5초로 박격포 만큼이나 느리기 때문에 레벨에 따른 성능의 격차가 비교적 심한 건물이다. 실제로 5레벨 이상 바람 방출기에 공격당하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을 정도로 넉백이 일어난다.

또한 5초마다 공중 병력을 일정 거리만큼 밀어내는 바람을 분사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공중 유닛의 이동 속도에 따라서 영향력이 달라진다. 미니언은 이속이 빨라서 별 영향이 없는 반면, 해골 비행선 이나 드래곤 같이 느려터진(...) 유닛들에겐 치명적이다. 6레벨 바람 방출기의 시연 영상을 보면, 해골 비행선은 거의 접근이 불가능한 수준(...). 어지간하면 공중 병력으로는 아예 그쪽으로 접근을 안 하는 게 정신건강에 좋다는 것이 정론이다.

9, 10홀의 라벌(미) 조합으로 대표되는 공중 러쉬의 강세를 꺾을 수 있는 카운터 건물로 기대를 받았고, 실제로도 클랜전이나 상위권 트로피대의 공중 병력 운용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일단 밀려나게 되면 공격 대상 지정과 공격 선딜레이가 모두 취소되기 때문에 대공포를 지키는데 극도로 효율적이다. 덕분에 벌룬 위주의 조합을 쓰는 사용자들에게는 발암의 나라 발암방출기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원성을 사고 있는 중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유저들이 지상위주의 조합으로 운용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나 폭탄 타워의 등장으로 라벌조합이 다시 뜨고 있다.

대공포를 풀업한 9홀은 2레벨 라바 하운드와 검풍을 쓰는 9홀 유저가 높은 숙련도만 가지고 있다면 어지간하면 완파된다는 것이 정설이였으나 바람방출기가 등장한 이후로는 상당히 힘들어졌다. 한쪽으로의 진입을 사실상 차단하는 공중벽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반대쪽에 대공포와 함정 등을 집중해서 놓으면 정말 공중 병력으로 들어가기 싫어지는 배치가 완성된다. 거기에다가 갯수도 2개나 된다. 요즘은 이런배치를 하면 지상조합들에 의해 쉽게 뚫려버린다

같은 4월 30일 패치로 방어측 병력의 어그로가 줄어서 라바펍들이 아처 퀸을 일점사해서 죽이기 힘들어진 것도 라벌 조합에 악재로 작용했다.

마을 회관 6레벨이 되면 1개 건설 가능하다. 2015년 여름 업데이트 이후 마을 회관 9레벨이 되면 1개가 더 추가되어 총 2개를 건설할 수 있어 그 악명을 더 떨치게 될 것으로 보였으나 암흑 마법 제작소에서 제작되는 신속 마법이 바람방출기의 대항마가 되어 매우 애용되고 있다.9홀에서는 신속 마법이 많이 보이지만 10~11홀에선 대형석궁,인페르노타워,독수리타워를 빨리 제거하기 위해 분노마법을 가져가는 유저들이 더 많다 이런 변화로 인해 바람방출기의 풀업은 클랜전에서 사실상 필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건설&업글 총 소요 시간은 33일이며 누적 비용은 1690만 골드. 레벨당 능력치 증가량은 완전하게 일정하다.

5.8 숨겨진 뇌전탑(Hidden Tesla)

레벨 1레벨 2레벨 3레벨 4레벨 5
레벨 6레벨 7레벨 8레벨 9
숨겨진 뇌전탑으로 치명적인 함정을 준비하세요! 마법사들이 번개 구름을 가둬둔 은밀한 포탑입니다. 적이 충분히 가까이 걸어오거나 날아오면 포탑이 튀어나와 전기 마법의 힘으로 지져버립니다!
어이 대장, 보여줄 게 있어. 숨겨진 뇌전탑이야. 업글 시간이 아주 무지막지한 물건들이지.
공격 유형원거리 단일 표적(지상/공중)
반응 범위6칸
공격 범위7칸
공격 속도0.6초
레벨1레벨2레벨3레벨4레벨5레벨6레벨7레벨8레벨9레벨
업그레이드 비용(골드)100만125만150만200만250만300만350만500만800만
업그레이드 시간1일3일5일6일7일8일10일12일14일
초당 공격력(DPS)3440485564758799110
공격 당 대미지20.42428.83338.44552.259.466
체력(HP)600630660690730770810850900
공격력/체력 증가량-6/308/307/309/4011/4012/4012/4011/50
요구 마을 회관 레벨77788891011
마을 회관 레벨7891011
건설 가능 건물 개수23444

본래 함정으로 분류되어 있었으나, 마을 완파를 위해 반드시 파괴해야 하고 자이언트와 골렘 등 방어 시설을 먼저 공격하는 유닛들이 반응하며, 재설치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방어 건물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기본 속성은 함정이기 때문에 다른 일반 건물처럼 주변 1칸의 안전지대가 설정되지 않으므로 설치시 주의해야 한다.

평상시에는 땅 속에 숨어있다가 영역 안에 적군이 들어오거나, 건물 파괴량이 51% 이상이 되면 튀어나와 번개로 지져서 공격하는 나무 뇌전탑. 마을회관 7레벨부터 사용할 수 있다.

초반엔 약하지만, 업그레이드할수록 DPS가 급등하는 대기만성형 방어타워다. 기본적인 DPS 자체는 대포나 아처 타워와 큰 차이가 없지만 숨겨진 뇌전탑의 진정한 진가는 즉발 공격과 그에 따른 지속딜 능력이다. 대포나 아처 타워, 석궁의 경우 목표 유닛이 죽으면 다음 유닛을 지정하는 데 제법 시간이 걸려서 아처, 고블린 등 일격사하는 다수의 유닛을 상대할 때엔 필연적으로 딜 누수가 발생한다. 하지만 뇌전탑의 경우 타겟 변경시간이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일단 적을 원킬낼 수만 있다면 최상급의 잡몹 처리 효율을 보인다. 또한 즉발이라서 최대한 빨리 없애야 하는 해골 돌격병 같은 유닛도 잘 처리한다. 0.6초마다 6렙 아처를 일격사시키는 6레벨이 되면 뇌전탑의 성능을 체감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 시간이 대공포보다도 더하다는 게 문제지만 고레벨로 올려만 주면 막강한 성능으로 보답하는 타워다.

숨어 있을 때에는 번개와 얼음 마법도 통하지 않지만, 한 번 튀어나오면 전투가 끝날 때까지 다시 숨지 않으며 마법에도 영향을 받게 된다. 평상시에는 보이지 않지만 업그레이드 중이나 건설 중일 때에는 위치가 드러나므로 업그레이드 시에는 위치를 다른 곳으로 옮긴 뒤에 업그레이드해 주자. 또한 뇌전탑은 타 방어 건물과는 달리 유닛 투입 위치를 제한하지 않는다. 3x3타일 공간에 뇌전탑만 휑하니 세워놓는다면 마을 중앙으로 수많은 적 유닛들이 투하되는 악몽을 겪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참고로 인식 범위는 6칸, 공격 범위는 7칸으로 공격 범위가 인식 범위보다 넓다. 따라서 공격 범위 안에 적이 들어와 있더라도 인식 범위 밖이라면 뇌전탑은 솟아오르지 않는다. 단, 건물 파괴량이 51% 이상에 도달하면 적이 있든 없든 무조건 솟아오른다. 이것도 건물이기 때문에 부서지지 않으면 별 3개를 딸 수 없기 때문.[12] 물론 뇌전탑이 이미 솟아오른 후라면 인식 범위와 상관 없이 공격 범위 내의 적을 전기로 지져준다.

뇌전탑의 인식 범위와 공격 범위의 차이가 가장 와닿는 상황은 바로 그랜드 워든이 공격하고 있을 때이다. 그랜드 워든의 사거리는 7칸으로 꽤 길기 때문에 뇌전탑과 마법사 타워에 안맞고 공격할 수 있다.

2014년 7월 3일 업데이트로 8레벨까지 업그레이드가 가능해졌다.

건설&업글 총 소요 시간은 무려 66일이며 누적 비용은 2775만 골드. 시간 대비 가격이 낮은 편이다. 건설과 업글 시간은 영웅을 제외하면 CoC 전체를 통틀어서 가장 길다. 대공포나 대형 석궁마저도 뇌전탑보다는 빨리 풀업될 정도다. 5레벨 이후 능력치 향상이 꽤 높은 편이다.

여담으로 후속작인 클래시 로얄에서는 범위내에 적이 없으면 숨는다.

2015년 12월 10일 업데이트 전에는 이것같이 뇌전탑과 홀을 밖에 두어서 홀치기하려는 유저들을 낚았는데, 현재는 홀치기가 사라지며 자연스럽게 사라졌다.역으로 뇌전탑을 밖에 둔 유저는 뇌전탑이 밖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방어시설이 2~4개 줄어드는 효과를 보았다.

2016년 10월 업데이트 이후로 레벨 9 뇌전탑이 등장했다. 11홀에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지만, 페카에게 더 이상 추가데미지를 주지 않는 너프를 먹었다.

5.9 폭탄 타워(Bomb tower)

레벨 1레벨 2레벨 3레벨 4레벨 5
폭탄 타워는 근처의 지상 유닛에게 폭탄을 던지고, 파괴시 폭발합니다! 근접 유닛은 가까이 가지 않는 게 좋아요!
공격 유형원거리 스플래시 표적(지상)
공격 속도1.1초
사거리6칸
레벨1레벨2레벨3레벨4레벨5레벨
업그레이드 비용(골드)200만350만500만700만900만
업그레이드 시간4일6일8일10일14일
초당 공격력(DPS)2428324044
공격 당 대미지26.430.835.24448.4
폭발 대미지150180220260300
체력(HP)6507007508501000
공격력/체력 증가량-4/504/508/1004/150
요구 마을 회관 레벨8891011
마을 회관 레벨891011
건설 가능 건물 개수1122

5레벨보다 4레벨이 더 무섭게 보인다.
2016년 10월 업데이트 이후로 추가된 건물. 마을회관 8 레벨부터 사용가능한 방어타워로 위에 해골이 올라간 탑. 폭탄[13]을 던지며, 준수한 데미지의 광역공격을 자랑한다. 대신 공격 사거리는 모든 방어타워 건물들을 통틀어 가장 짧다

이 카드가 최초로 등장한 로얄과는 달리 공격속도가 훨신 빨라졌고, 파괴될 경우 대략 1초 후, 자폭을 시전한다. 기본적인 대미지는 마법사 타워랑 비슷한 수준이지만 자폭 데미지가 상당하여 저 레벨의 폭탄 타워만으로도 충분히 비슷한 수준의 마법사들을 몰살 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5레벨 기준으로 충분히 호그라이더나 자이언트와 같은 중형 유닛들도 처참한 수준으로 체력을 깎아 버리기에 사실상 제 2의 대형폭탄으로 불린다. 거기에다 스플레시 데미지까지 더해져 지상군 마법사타워의 역할까지 한다. 어쩌면 대형폭탄보다 더 무서울 수도 있다. 그러나 대형 폭탄보다 폭발 범위가 훨씬 좁아서 초 원거리 사격 유닛(아처 퀸,볼러,그랜드 워든 같은 경우)에는 타워가 부셔저도 폭발 데미지를 받지 않을 수도 있다. 특히 호그라이더가 더이상 대형폭탄에 의해 추가 데미지를 받지 않으면서 이 타워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 타워가 나오면서 가장 극딜을 본 유닛은 특히 광부인데 광부가 땅속에 들어가기도 전에 폭발이 이루어져서 빈사상태로 만들어 버리므로 사실상 광부의 최대 카운터이다. 그리고 보란 듯 폭탄 타워 업데이트가 진행된 후 모든 유저는 광부를 버리고 라벌미,볼러를 다시 장착하고 있는 추세이다.[14].

5.10 대형 석궁(X-Bow)

지상모드 레벨 1지상모드 레벨 2지상모드 레벨 3지상모드 레벨 4지상모드 레벨 5
지상/공중모드 레벨 1지상/공중모드 레벨 2지상/공중모드 레벨 3지상/공중모드 레벨 4지상/공중모드 레벨 5
대형 석궁은 끔찍할 정도로 강력한 힘을 지닌 신비로운 화살을 발사합니다. 엘릭서를 충전하면 자동으로 작동합니다. 지상 및 공중 유닛을 모두 공격할 수 있지만 지상 유닛만 공격하도록 설정하면 사정거리가 증가합니다.

사실 화살이 그다지 끔찍하지는 않다. 1발이 겨우 14.08이기 때문

공격 유형원거리 단일 표적(지상/공중)
공격 속도0.128초
사거리11칸(지상/공중), 14칸(지상)
한번 충전시 사용할 수 있는 화살 수1500발
레벨1레벨2레벨3레벨4레벨5레벨
업그레이드 비용(골드)300만400만500만700만950만
업그레이드 시간7일8일10일12일14일
초당 공격력(DPS)507090100110
공격 당 데미지6.48.9611.5212.814.08
체력(HP)15001900230027003100
공격력/체력 증가량-20/40020/40010/40010/400
충전 비용(엘릭서)1600019000220002400026000
화살 색분홍색노랑색짙은 보라색주황색어두운 주황색
요구 마을 회관 레벨9991011
마을 회관 레벨91011
건설 가능 건물 개수234

9홀 방어의 핵심

개틀링마냥 매우 빠른 공격 속도로 적들을 벌집으로 만들어버리는 발리스타. 마을 회관 9레벨부터 사용할 수 있다.

외관상 지상, 공중 모드 구별은 대형 석궁의 몸체의 각도를 보면 된다. 수평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지상 모드이고, 45도 각도로 공중을 항해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석궁의 아랫부분이 바닥에 닿아있는 경우는 공중 겸용 모드이다. 그러나 대형 석궁이 아랫쪽을 겨냥하는 경우 지상 모드인지 공중 모드인지 구별이 잘 안 될 때가 있는데, 이 때는 탄창 모양으로 구별이 가능하다. 탄창 내부가 확실하게 보이면 지상 전용 모드이고, 가려져서 잘 보이지 않는다면 공중 겸용 모드이다. 통상적으로 클랜전에서는 대부분 지상조합으로 공격이 들어오기에 지상 전용 모드로 해두는 경우가 많고,[15] 일반 마을에서도 마찬가지로 지상 병력이 주로 공격해 오기에 지상 전용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기본적으로 지상과 공중 모두 공격이 가능한데, 사정거리가 11칸으로 박격포와 동일한 수준이다. 각도를 낮춰 지상만 공격하게 하는 지상 모드가 있는데, 지상 모드의 사거리는 14칸으로 정말 길어서 넓은 9, 10홀 기지의 중심에 배치하더라도 외벽을 부수려는 해골 돌격병을 저격하는 광경을 볼 수 있다. 혹여 대형 석궁이 아처 퀸을 조준하기라도 한다면 공격자는 문자 그대로 멘붕.
참고로 대형 석궁은 한번 충전시 1500발을 조준하는데 다 사용하려면 192초가 걸린다. 그래서 한번 전투로는 화살을 다 소모할 수 없다는 장점이 있다. 만약 대형 석궁이 화살이 비어있다면 맛집일 가능성이 높다.

거기다가 맷집도 좋아서 정말 안 부서진다. 만렙 기준으로 대형 석궁은 장벽을 제외한 모든 방어 건물 중 체력이 가장 높았었고, 현재는 독수리 타워의 등장으로 1위는 넘겨주었지만 여전히 압도적인 체력은 건재하다. 하지만 1레벨 기준 DPS는 50으로, 8레벨 아처 타워 보다 조금 강한 수준에 불과하므로 공격 시에는 크게 겁먹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2레벨에서는 DPS가 70으로 10레벨과 11레벨 아처타워의 중간수준, 3레벨 DPS는 90으로 12레벨 아처타워보다 더 세지며 4레벨은 DPS가 무려 100으로 12레벨 대포,13레벨 아처타워보다도 더 세지며 5레벨 대형석궁은 DPS가 110으로 13레벨 대포, 14레벨 아처타워와 똑같아서 겁먹을 수도 있기에 철저하게 대책을 세워야 한다. 게다가 대형 석궁에게는 또 다른 위압감이 있는데 그것은 특유의 간지와 빠른 공속과 튼튼함과 엄청난 사정거리이다. 그래서 공격하기 꺼려지는 것이다. 8홀 때는 그렇게도 혐오스러웠던 털자이가 힐스펠 없이 석궁 앞에서 맥을 못 추는 것을 보면 사이다가 따로 없다. 그러나 패치로 인하여 석궁의 워웨이트 점수가 대폭 상승했으므로, 클랜전을 즐기는 유저라면 대형석궁 건설은 홀업 초기에는 추천하지 않는다. 9홀에 진입하자마자 석궁을 건설하면 워웨이트가 1000점이 넘게 오르고, 자신은 9홀을 완파할 능력이 안 되는데도 순번이 높게 잡혀 클랜에 민폐가 되는 지름길이기 때문이다. 물론 파밍만 하는 유저라면 곧바로 건설해도 좋다.

성능이 뛰어난 대신 탄환을 요구하는데, 그 탄환의 재료란 게 바로 엘릭서다. 탄창이 꽉 차 있다면 자이언트와 골렘으로 아무리 맞아도 한 번의 전투로는 탄창을 다 소모시키기 힘들다. 한편, 장전된 자원이 다 떨어지면 어느샌가 탄창이 사라져서 사용을 못하게 된다. 잘 보면 탄창이 비는게 아니라 아예 탄창 칸이 없어져 있는데, 이는 9홀 빈집들에서 가장 많이 발견된다.

참고로 4레벨 석궁은 10홀 간지의 상징이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업그레이드를 망설이지 않는다. 인페르노 3레벨과 함께 대형 석궁 4레벨 업그레이드는 800만 골드로 최고 가격을 요구했었다. 그러나 11홀의 등장으로 최고 가격은 독수리 타워 2레벨 업그레이드 1000만 골드한테 넘겨주었다.

대형 석궁 4레벨 업그레이드는 돈이 800만이나 들긴 하지만 10홀이 완파가 안나는 이유 중 하나가 9홀에 비해 늘어나는 대형 석궁의 무시무시한 건물 체력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10홀에서 신규로 건설되는 석궁을 포함하면, 9홀에 비해 석궁으로만 얻는 총건물 체력이 3500 증가하는 셈이다. 6렙 마법사도 업그레이드 효율이 상당히 낮으나 체력 증가로 인한 이점을 활용하고자 늦게 나마 업그레이드를 해주는 것과 비슷한 것이다.

만렙 석궁이라도 한 발당 공격력은 고작 14 정도로 형편 없이 낮기 때문에 힐 스펠 위에 있는 아처 한 마리를 석궁들이 열나절동안 치고 있는걸 보면 정말 억장이 무너진다. 그리고 탄환으로 사용되는 엘릭서도 같이 증발한다(...)

여담으로, 9홀 때 다크 엘릭서 4만개로 소환 가능한 아처 퀸이 이걸 떼어 내 개조한 것을 무기로 쓴다고 한다. 인게임 내에서 나타나는 공격 모션을 보면 샷건처럼 쓰는 듯 하다. 흠좀무.

또한 대형 석궁 척살자 업적 1단계의 경우 대형 석궁을 하나만 파괴하면 50보석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업적을 아직 못 깼다면 자신의 레벨이 낮더라도 마을 밖에 굴러다니는 대형석궁 하나 정도는 깨려고 시도해도 괜찮다. 건설 중이거나 업그레이드 중인 대형 석궁도 해당되니 이런 대형 석궁이 보이면 적절하게 부숴주는 것도 좋다.

건설&업글 총 소요 시간은 51일로 긴 편이며 누적 비용은 2850만 골드.

2015년 12월 10일 업데이트로 11홀에서 대형석궁을 하나더 건설할 수 있게 되었고, 전체적인 엘릭서 충전비용이 예전의 3분의 1정도로 크게 감소하였다.야호

2016년 3월 21일 업데이트로 대형석궁 2~4레벨 공격력이 증가했다. 4레벨 대형석궁의 DPS의 경우 일부 몇몇의 풀업방어시설보다 조금 더 높다.

2016년 10월 13일 대형 석궁 레벨 5가 업데이트 되었다. 더불어 2, 3, 4레벨 대형 석궁의 업그레이드 비용과 시간이 줄었다.

5.11 인페르노 타워(Inferno Tower)

싱글모드 레벨 1싱글모드 레벨 2싱글모드 레벨 3싱글모드 레벨 4
멀티모드 레벨 1멀티모드 레벨 2멀티모드 레벨 3멀티모드 레벨 4
인페르노 타워의 다크 엘릭서로 화염을 일으켜 단일 표적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거나, 여러 표적을 계속해서 불태울 수 있습니다. 엄청난 열기로 인해 치유 효과가 차단됩니다!
공격 유형원거리 단일 표적(지상/공중), 원거리 다중 표적(지상/공중)
공격 속도0.128초
사거리9칸
한번 충전시 사용할 수 있는 화염 수1000발
레벨1레벨2레벨3레벨4레벨
업그레이드 비용(골드)500만650만800만1000만
업그레이드 시간7일10일14일14일
싱글 모드 초당 공격력(DPS)24-100030-125035-140041-1550
멀티 모드 초당 공격력(DPS)30384145
체력(HP)1500180021002400
싱글 공격력 증가량-6-2506-1506-150
멀티 공격력/체력 증가량-8/3004/3004/300
충전 비용(다크 엘릭서)500600700800
요구 마을 회관 레벨10101011
마을 회관 레벨1011
건설 가능 건물 개수22

CoC 내에서 가장 강력한 궁극의 방어 시설.
11홀에서 독수리 타워라는 최고위 테크의 방어시설이 등장했지만, 맵 전체에 견제를 하는 보조 방어시설에 가까우며 여전히 인페르노 타워야말로 전략적인 방어의 핵심이라 볼 수 있다.

10홀이 9홀의 하극상을 단번에 진압할 수 있는 궁극의 방어 시설. 화염 레이저를 뿜어서 적들을 지져대는 탑. 마을 회관 10레벨부터 사용할 수 있다. 안티 탱커용으로 타겟을 공격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공격력이 계속 증가하는 싱글 모드가 있고, 공격력 증가를 포기하고 여러 대상을 동시에 지져대는 멀티 모드가 있다. 싱글 모드는 탱커를 빠르게 처리 할 수 있고, 멀티 모드는 탱커를 때리면서도 뒤의 딜러를 때릴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싱글과 멀티 모드는 인페르노 타워 꼭대기의 구체 모양으로 알아볼 수 있다. 구멍이 하나만 뚫려 있다면 싱글 상태, 여러 개(5개 정도) 뚫려 있다면 멀티 상태다.

여기까지만 보면 그냥 적당히 쎈 건물처럼 보이는데, 이 타워의 진정한 가치는 이 광선을 맞고 있는 유닛은 회복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무슨 뜻인가 하면, 영웅스킬로 인한 자체 회복 (그랜드워든)을 제외하고는 치유사나 회복 마법이 무용지물이 된다! 대형 석궁만큼은 아니지만 맷집도 높아서 상당히 오랫동안 적을 지져줄 수 있다.
참고로 인페르노 타워는 한번 충전시 1000발을 조준하는데 다 사용하려면 128초가 걸린다. 대형 석궁과 달리 한번 전투로 화염을 다 소모할 수 있다. 그러나 180초 내내 인페르노 타워가 적들을 지지는 경우는 거의 드물다.

멀티 모드의 경우 4레벨의 초당 공격력이 45로 단일 딜량은 다른 방어 타워에 비해 절반 수준이지만 5명을 확정적으로 동시에 공격하므로 누적피해량이 어마어마해서 욕이 저절로 나온다. 이때문에 멀티모드 2개인 경우 라벌계열 조합으로 들어가기는 얼음마법으로 잘 얼리지 못한다면 껄끄러워진다.

다만 광부 앞에서는 비교적 약한 모습을 보여주는데 광부의 경우는 인페에 공격받는 상황에서도 힐 스펠 쓴 범위 내에 땅 속으로 숨게 되면 금방 회복되서 힐 차단 기능을 무색하게 만든다(...). 물론 공격을 받는 도중에는 힐을 못받는다.

이런 사기적인 능력치 때문에 10홀로 가면 바로 설치하기 마련인데, 설치 비용이 500만이나 되어 9홀에서 골드 저장소를 풀로 채운다 해도 800만이므로 2개를 동시에 지을 수는 없다.[16] 따라서 클랜 성 저장고도 가득 채운 뒤 마을 회관을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좋다. 다만 주의할 점이 있다면, 클랜전 방어역량과 관련된 배치순서상 번호가 갑자기 앞번호대로 껑충 뛰어오른다는 점이 있어 클랜전을 꾸준히 하는 유저들은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싱글 모드의 경우 공격을 시작할 때의 대미지는 멀티모드보다도 더 낮지만, 2초 후 한번 증가, 4초 후 최대 대미지에 도달하는 방식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공격력이 증가하여 1레벨 기준으로도 4초 후 DPS가 1000에 이른다. 최대 대미지에 도달하는 시간은 원래 5초였으나 2015년 여름 업데이트로 4초로 줄어들었다. 당연하지만 이 상태에서 탱커역할을 하는 바바킹, 페카, 골렘, 라바하운드의 체력이 높아도 대부분 네 자릿수가 최대이므로 버티지 못하고 무조건 순삭이 된다. 네 자릿수의 DPS를 가진 방어 타워는 싱글 모드 인페르노 타워 하나뿐이다.

인페르노 타워가 둘 다 싱글 모드로 되어있을 경우 골렘이나 페카를 생각없이 집어던지는 건 0별로 가는 지름길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다수의 약한 적을 억제할 능력이 없다시피 하므로 마법사 타워와 박격포 등 광역 방어시설과의 연계가 중요하다.

2015년 이전에는 물량 공세를 막을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통상적으로 멀티 모드가 선호되어 2개의 인페르노 타워를 모두 멀티 모드로 해 놓는 경우가 많았는데, 개체의 대미지 딜링이 약하다는 멀티 모드의 단점을 파고드는 조합인 다중 골렘 조합이 등장하여 유행하게 되자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싱글과 멀티 모드를 각각 1개씩 설정해 두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었다. 하지만 11홀이 되어 독수리포탑이 추가된 이후에는 다시 멀티 2개가 선호되고 있다. 사실 4레벨 인페르노 타워를 가진 유저들이 싱글모드로 두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런 난해하고 강력한 성능 때문에 9홀과 10홀은 상당히 다른 방식으로 상대해야 한다. 10홀에서는 인페르노 타워로 인해 절대적인 효율을 자랑했던 힐링 스펠에 대한 의존도가 광부러쉬를 제외한다면 크게 줄어들게 된다. 대신 인페르노 타워를 상당 시간 정지시킬 수 있는 프리즈 스펠이 중요해진다.
과거 9홀에서는 프리즈 스펠을 생산하지 못했으나, 현재는 9홀에서도 1레벨의 프리즈 스펠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1레벨로는 인페르노 타워를 충분히 길게 얼릴 수 없으며 그만큼 다른 마법을 하나 못쓰게 되기에 10홀 이상은 9홀에 비해 넘사벽인 방어능력을 자랑하고 있다. 따라서 여전히 9홀이 튼튼한 10홀을 공격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사실 10홀도 10홀을 이기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10홀 이상을 상대할 때에는 인페르노타워가 없는 상대를 골라서 공격해야 한다.사실, 디펜스리스, 9.5홀이 아닌 이상 대부분 10홀은 적어도 1레벨 인페르노 타워 2개를 가지고 있다.

인페르노 타워도 대형 석궁과 비슷하게 유지비 명목의 자원을 요구한다. 대형 석궁과 달리 인페르노 타워는 다크 엘릭서를 연료로 사용하며, 연료가 다 떨어지면 불이 꺼지며 쎈 타워인 만큼 충전 비용이 비싸다.썩은 인페타워

인페르노 타워의 다중 표적과 박격포나 마법사 타워 등의 스플래시 표적은 엄연히 다르다. 다중 표적은 5명까지 공격이 가능하지만, 스플래시 표적은 뭉쳐 있으면 수십명이든 한방에 다 녹일 수 있다. 또한 인페르노 타워의 공격 속도는 대형 석궁과 같다. 0.128초마다 1틱씩 대미지가 들어가는 셈.

2016년 3월 21일 인페르노 레벨 4가 업데이트 되었다.

5.12 독수리 포탑(Eagle Artillery)

레벨 1 비활성 사진레벨 2 비활성 사진
레벨 1 활성 사진레벨 2 활성 사진
독수리 포탑의 사정거리는 거의 무제한이며 폭발하는 포탄으로 강력한 적을 겨냥해 공격합니다. 하지만 이 포탑은 많은 수의 병력이 배치되어야만 작동합니다.
공격 유형원거리 스플래시 표적(지상/공중)
사거리7~50칸
우선적 공격 대상작은 골렘을 포함한 골렘(공격력×3)
한번 충전시 사용할 수 있는 포탄 수90발[17]
레벨1레벨2레벨
업그레이드 비용(골드)800만1000만
업그레이드 시간10일14일
공격 딜레이10초마다 연속 3회 공격[18]
공격당 피해250(X3)300(X3)
충격파 피해1520
초당 공격력(DPS)7590
체력(HP)40004400
충전 비용(엘릭서)3500040000
요구 마을 회관 레벨1111
마을 회관 레벨11
건설 가능 건물 개수1

싱글 인페르노 타워와 함께 골렘의 유일한 카운터. 벌룬도 뭉쳐져 있으면 위협적이다.

마을 회관 11레벨부터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어타워이며 사정거리는 무려 50칸! 그 엄청난 사정거리를 가진 대형 석궁 지상 모드도 14칸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을 감안하면 정말 미친 공격범위를 갖고 있다. 사실 정확히 말해 맵 전체는 아니다. 맵의 한쪽 구석에다 갖다 놓으면 정반대쪽 구석까지는 포탄이 닿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하나밖에 지을 수 없는 11홀의 핵심 방어시설인 만큼 맵 중간에 갖다놓는 것이 대부분이기에, 이 경우 맵 끝을 넘어서 한참 멀리까지 포탄이 닿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냥 마을 전체라고 봐도 전혀 무방하다. 박격포처럼 자신의 근처는 공격을 하지 못한다. 그 공격력은 11홀 신축방어타워답게 5레벨짜리 용의 체력을 10초만에 3분의 1내버리는 무시무시한 공격력이다.[19] 다만 인페르노 타워처럼 지속적으로 공격하는 형식이 아니기 때문에, 지속시간이 짧은 얼음 스펠을 독수리 타워에 쓰는 것은 별로 좋지 않은 생각이다.

공격 유형은 광역이라고 되어 있지만, 범위가 아주 좁아서 사실상 정확하게 겹치지 않는이상 (골렘이나 자이, 벌룬 같이 뭉치기 아주 쉬운) 1인 타게팅이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골렘이나 자이가 없다면 페카나 영웅이 타겟팅이 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아주 약한 (15~20) 충격파 데미지가 있어 아처, 바바리안도 어느 정도 잡아줄 수 있긴하다.

참고로 독수리 타워는 한번 충전시 90발의 포탄을 발사하는데 10초에 3번씩 발사해서 다 사용하려면 300초가 걸린다. 그래서 한번 전투로는 포탄을 다 소모할 수 없다는 장점이 있다. 만약 독수리 타워에 포탄이 비어있다면 맛집일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설명에 보이는 바와 같이 독수리포탑은 발동조건이 있는데, 이는 공격을 하는 상대방의 시점에서 병력을 어느정도 투입해야 상대방을 공격한다.

정확하게 독수리 포탑의 구동 알고리즘을 설명하자면 투입한 모든 병력[20]과 마법[21]의 양이 180이 되는 순간 작동된다.

참고로 아처퀸은 타겟팅이 된 후에 왕의 망토(은신);스킬을 써도 포탄에 맞는다. 게다가 왕의 망토를 쓰면서 나온 아처까지 깔끔하게 전멸하기 때문에 독수리 타워에 타겟팅당했다면 바로 왕의 망토를 쓰지 말자. 물론 타겟팅이 되기 전에 은신 상태가 되었다면 아처퀸이 아닌 다른 유닛을 타겟으로 지정한다.

16년 1월 26일 패치로 골렘과 작은 골렘에 들어가는 데미지가 무려 3배로 상향이 되었다. 독수리 포탑 2레벨 기준으로 계산하자면 (300X3)X3으로 데미지가 총 2700이 들어가기 때문에 아무리 5렙 골렘이라도 체력이 10초만에 40%나 없어진다! 그래서 11홀은 2016년 3월 업데이트 이후 다중 골렘 조합 대신 성능이 크게 향상된 5레벨 발키리와 골렘과 마법사를 섞어 들어간다.

6 함정

적의 화면에는 보이지 않는 함정을 설치하여 방어자에게 회심의 한 수를 준다. 건물과 겹치지는 못 하지만 안전지대를 가지지 않으며, 그 때문에 함정이 설치된 땅 바로 위로 병력이 떨어질 수도 있다.

한 번 작동한 함정은 비활성화 상태가 되며, 수비자가 접속해서 재장전할 때까지 작동하지 않는다. 재장전에는 골드가 소모된다. 단, 클랜전에서는 예외적으로 함정은 이전 전투에서 작동하더라도 자동으로 재장전되어 항상 활성화 상태이다. 따라서 클랜전에서는 함정의 재장전이 필요 없으며, 그에 따른 골드 소모도 없다. 이는 사용시 재장전이 필요한 대형 석궁이나 인페르노 타워도 마찬가지다.

함정은 건물과 마찬가지로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가 진행 중일 때에는 다른 방어 건물과 마찬가지로 작동하지 않으며 적에게 함정의 위치도 보이게 된다. 함정들은 대체적으로 초반에는 업글 비용 대비 시간이 길고, 후반에는 짧은 편이다.

만약 함정의 절정을 보고 싶다면 싱글플레이의 고블린들을 털어보자. COC판 DMZ를 볼수가 있다. 실제로 고블린마을에는 일반 유저들은 상상도 할 수 없을 만큼 함정이 놓여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10홀에서 최대로 지을 수 있는 폭탄의 수는 6개인데, 고블린 마을에서는 20개가 넘게 나오는 맵도 있다. 단, 싱글플레이에서는 지상 함정만 나오며 공중 함정은 마지막 레벨 샤베트 포탑에서만 나온다.그래서 벌룬 한마리 투입하고 감상하는 것이다.

참고로 2015년 12월 업데이트로 함정 재장전 비용이 전체적으로 예전의 3분의 1 이하로 크게 감소하였다.

6.1 폭탄(Bomb)

레벨 1 & 2레벨 3 & 4레벨 5 & 6
숨겨진 재래식 폭탄은 적에게 확실한 의사를 전달하죠. '오지 마!' 웃지 마! 근데 오게 되어있다 왜냐고? 공격자에게는 안 보이니까
공격 유형근거리 스플래시 표적(지상)
반응 범위1.5칸
레벨1레벨2레벨3레벨4레벨5레벨6레벨
업그레이드 비용(골드)40010001만10만100만150만
업그레이드 시간즉시15분2시간8시간1일2일
공격력121620263442
재장전 비용50100150200250300
공격력/장전 비용 증가량-4/1004/1006/1008/1008/100
피해 범위3칸3칸3칸3칸3칸3칸
요구 마을 회관 레벨235789
마을 회관 레벨34567891011
최대 설치 개수224466666

싱글미션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흔한 심지 달린 재래식 폭탄. 지상 유닛이 감지 범위 안에 들어오면 약간의 시간이 지난 후 폭파하여 주변에 광역 피해를 준다. 하나 하나의 공격력은 그리 강하지 않지만 범위공격인데다 아처나 고블린 등의 체력이 약한 유닛에겐 상당히 아프게 온다. 아처나 고블린이 몰려올만한 곳에 폭탄을 여러 개 뭉쳐 놓으면 수십마리가 한꺼번에 증발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게다가 폭탄이 터지면 뒤로 밀려나는 넉백 효과도 있다. 바바리안, 아처, 고블린, 해골돌격병, 해골 한정. 사용한 뒤에는 심지가 빠져있고 연기가 난다. 인식 범위는 1.5칸. 여러모로 박격포 포탄과 비슷하다는 느낌이 든다. 스플도 그렇고 넉백도 그렇고... 폭탄은 레벨이 정말 높지 않은 이상 여러 개를 붙여서 사용하자. 하나로 유닛이 죽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4레벨이 되어야 1레벨 박격포 만한 대미지를 입힐 정도로 하나 하나의 대미지 자체는 매우 약하다. 그래도 6레벨 폭탄 4개면 1레벨 대형 폭탄의 대미지를 거의 따라잡는 수준이 된다.

회관 레벨 3일때 2개를 설치 할 수 있으며, 5레벨때 +2개, 7레벨때 +2개 해서 총 6개 설치 할 수 있다. 3레벨이 되면 폭탄에 노란색 스파이크가 붙고, 5레벨 이상이 되면 철갑 같은 것을 두른다. 여담으로 싱글플레이 초반에서는 폭탄이 엄청나게 많이 나와서 자신의 유닛을 초토화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에는 바바리안 한명을 고기방패(...)로 데리고 가거나, 맷집이 강한 자이언트를 탱커로 삼자. 아처는 장벽을 넘어서 쏘고 맷집도 바바리안보다 약하기 때문에 이런 용도로 쓰기가 어렵다. 한편 고블린의 경우 배치에 따라 상당히 유용할 수도 있다. 일단 속도가 빨라서 폭탄이 터지기 전에 피해 반경을 벗어난다.

6.2 점핑 트랩(Spring Trap)

레벨 1 & 2레벨 3 & 4레벨 5
탄력 있는 점핑 트랩이 불청객을 저 멀리 날려버립니다!
공격 유형근거리 단일 표적(지상)
반응 범위0.7칸
레벨1레벨2레벨3레벨4레벨5레벨
업그레이드 비용200050만100만150만200만
업그레이드 시간즉시16시간1일2일3일
점핑되는 인구수1516171819
재장전 비용5006508009501100
요구 마을 회관 레벨478910
마을 회관 레벨4567891011
최대 설치 개수22446666


자이언트의 최대 천적. 같은 인구 수를 차지하는 호그 라이더도 제대로 걸리면 치명적이긴 하다.[22]

스프링의 힘으로 땅을 들어올려 그 땅을 밟고 있는 지상 병력들을 하늘로 날려버린다. 유닛에게 피해를 주는 게 아닌 아예 즉시 전장에서 강제이탈 시켜버린다. 즉, 즉사 판정이라는 것. 웬만한 공격에는 끄떡도 하지 않는 자이언트들도 이거 한 개만 제대로 설치하면 한 뭉텅이째로 승천시킬 수 있다. 이를 이용해 일부러 대포나 아처 타워 같이 비교적 중요하지 않은 방어 건물로 향하는 좁은 통로를 뚫어둬서 자이언트가 진입하게 유도하고 거기에 점핑 트랩을 깔아두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벤트성 한정판을 제외하면 업그레이드가 없는 유일한 함정이다.[23] 사용된 후에는 스프링이 튀어나와 있다. 재장전에는 2000골드가 소모되기 때문에 극초반에서는 재장전 비용이 부담스러울 수도 있다. 그러나 2015년 12월 10일 하반기 대규모 업데이트 패치로 재장전 비용이 내려가 부담이 조금 줄어들게 되었다.

회관 레벨 4일때 2개를 설치할 수 있으며 6레벨때 +2개, 8레벨때 +2개 해서 총 6개 설치 할 수 있다.

2016년 5월 패치로 점핑트랩에도 레벨이 생기기 시작했다. 3레벨이 되면 스프링과 나무판이 두꺼워지고 5레벨에는 나무판 테두리에 철이 들러붙는다. 이로 인해 2레벨 이상 점핑트랩 하나가 발키리 2기를 날릴 수 있게 되어 발키리가 간접적으로 하향되었다. 한편 4레벨부터는 볼러를 최대 3마리씩 날릴 수 있다. 하지만 5레벨까지 올려도 점핑 인구수가 20이 되지 않아 자이언트를 4기씩 날릴 수 없어서 만렙까지 업글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는 좀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 5레벨은 모양만 간지

6.3 대공 폭탄(Air Bomb)

레벨 1 & 2레벨 3 & 4
해충 구제 분야의 최신 발명품입니다. 작은 범위 내의 적 공중 유닛 여럿을 폭파할 수 있는 함정입니다.
공격 유형원거리 스플래시 표적(공중)
반응 범위5칸
레벨1레벨2레벨3레벨4레벨
업그레이드 비용(골드)40002만20만150만
업그레이드 시간즉시4시간12시간1일
공격력100120144173
피해 범위3칸
재장전 비용4006008001000
요구 마을 회관 레벨5579
마을 회관 레벨567891011
최대 설치 개수2224455

미니언의 최대 천적. 해골 비행선도 많이 뭉쳐져 있는 경우는 충분히 위협적이다.

빨간 풍선에 폭탄을 매달아 놓은 것. 공중 병력이 접근하면 튀어 올라와 범위 피해를 준다. 대상이 다수인지라 감지 범위가 다른 함정에 비해 훨씬 넓다. 특히 공중 몸빵이 약한 미니언들이 여기 걸리면 레벨에 관계없이 순식간에 떼죽음당하기 때문에 미니언 입장에서는 이 함정이 작동하는 순간 그야말로 충공깽 뭉쳐 있는 벌룬도 만만치 않은 피해를 입혀 줄 수 있다. 그러나 드래곤이나 라바 하운드에게는 대공포에 한 대 맞는 정도에 불과해서 효과가 미미하다.

때때로 벌룬(특히 벌미) 견제용으로 대공 폭탄 4개를 한방에 뭉쳐 놓는 경우가 있다.[24] 단점은 미니언에는 오버킬이라는 점... 와일드 카드라고 볼 수도 있을 듯하다(벌미 등에서 보통 벌룬이 먼저 투입되므로).

여담으로, 대공폭탄이 유닛을 감지해서 그 유닛까지 다가가는 속도는 미니언 보다 느리다. 따라서 미니언이 이동하던중 대공폭탄에 감지되었을 경우, 미니언을 따라가다가 라바 하운드에 맞아서 미니언도 못 잡고 대공 폭탄도 잃을 수 있다.

사용된 후에는 풍선의 공기가 빠진 채 방치되어 있다.

회관 레벨 5일 때 2개 설치 할 수 있으며, 8레벨 때 +2개, 10레벨 때 +1개 해서 총 5개 설치 할 수 있다.

2015년 2월 24일 업데이트로 인하여 대공 폭탄은 더 이상 치유사를 공격할 수 없다.
그러나 2016년 8월 25일 업데이트로 다시 치유사를 공격한다.

6.4 대형 폭탄(Giant Bomb)

레벨 1 & 2레벨 3 & 4
대형 폭탄은 큰 폭발을 일으킵니다.
공격 유형근거리 스플래시 표적(지상)
반응 범위2칸
레벨1레벨2레벨3레벨4레벨
업그레이드 비용(골드)125007500075만250만
업그레이드 시간즉시6시간1일3일
공격력175200225250
피해 범위3칸3.5칸3.5칸4칸
재장전 비용2000300040005000
요구 마을 회관 레벨66810
마을 회관 레벨67891011
최대 설치 개수123455

CoC의 대량살상무기이자 마녀,마법사의 최대 천적.
전투의 전세를 바꿔버리는 비장의 무기.

큰 폭탄에 화약통까지 동원해 묶어놓은 것. 업그레이드가 진행되면 다이너마이트까지 들어간다.

큰 만큼 땅도 2x2 범위를 차지하며, 공격 범위도 다른 폭탄보다 더 넓다. 공격력도 준수하여 웬만한 지상 유닛들은 간단히 증발하며, 레벨이 한 단계 높은 자이언트도 체력을 절반 정도 날려버릴 정도로의 무시무시한 화력을 자랑한다. 일반 폭탄과 달리 업그레이드 할수록 피해 범위가 늘어나니 업그레이드는 필수다. 사실 방어타워보다 업그레이드를 먼저 해야 한다.

강력한 데미지에다가 넓은 범위때문에 1티어 유닛(바바리안,아처,고블린)과 해골 돌격병은 간단히 증발시키며 대 마법사 결전병기로 악명이 높을정도로 마법사에게 취약한 함정이다. 6레벨 마법사의 체력은 175밖에 되지 않아 레벨 1 대형 폭탄이라도 맞으면 즉사(...)며 7레벨 만랩 마법사의 경우에는 레벨 1 대형 폭탄에 버티긴 하지만 체력이 15밖에 안남고 대형폭탄 레벨이 2레벨 이상이면 즉사다. 그나마 다행인건 11레벨 이상 워든 오로라 안에 있으면 만렙 대형폭탄에 맞고도 버틴다.

2016년 10월 패치전에는 호그 라이더에게 데미지가 1.5배로 먹혔기 때문에 호그라이더의 최대 카운터였다. 당시 대형폭탄의 레벨이 호그라이더 레벨보다 1레벨 높았다면 무조건 즉사다. 게다가 아무리 호그라이더의 레벨이 높아도 대형폭탄을 두 개 밟으면 (이른바 쌍자붐) 레벨 상관없이 무조건 끔살이었다. 현재는 추가피해를 받진 않으며 쌍자붐에 맞아도 살아남긴 하지만 그래도 데미지 자체는 여전히 강력하기 때문에 조심해야 되는 함정이다.

사실 자신이 상대방 기지를 지상조합으로 공격할 때 가장 위협적인 것이 바로 이 대형폭탄이다. 자신이 아무리 설계를 하고 계산을 하고 공격을 시도했어도 재수없이 마법사와 마녀무리가 대형폭탄에 몰살 당하면 그 공격은 성공 가능성이 없다. 그리고 참사가(...) 지나간 뒷자리에는 옆으로 빙빙 돌아서 방어타워들에 맞아다니거나 홀로 중앙에 들어가서 급격히 풍화되고 있는 바윗덩어리와 주변의 방어타워에 열심히 맞으면서 다크저장소를 치고있는 아처퀸을 볼 수 있다. 특히 분노를 잘못써서 마법사와 마녀가 빠르게 대형폭탄 위치로 이동하여 대참사가 일어나는 경우가 잦은 편.[25] 이 탓에 대형폭탄의 위치를 대강은 짐작하면서 병력들을 투입해야 한다. 하지만 오늘도 마법사들과 마녀들은 빙빙 돌거나 용감무쌍하게 골렘 앞으로 달려 나가는 용기를 보여준다.

10월 업데이트 이후로 호그 라이더에게 주는 추가 데미지가 삭제되었다. 이제 쌍자붐을 맞아도 살아남는다! 어처피 폭탄타워에게 녹을것이다

6.5 대공 지뢰(Seeking Air Mine)

레벨 1 & 2레벨 3
저게... 새인가요? 비행기인가요? 뭐... 어차피 대공 지뢰가 추적해서 하늘 저 너머로 날려버릴 테니 별 상관없겠군요. 한 개의 공중 유닛에 엄청난 피해를 주는 함정입니다.
공격 유형원거리 단일 표적(공중)
반응 범위4칸
레벨1레벨2레벨3레벨
업그레이드 비용(골드)15000200만400만
업그레이드 시간즉시1일3일
공격력1,5001,8002,100
재장전 비용300040005000
요구 마을 회관 레벨7910
마을 회관 레벨7891011
최대 설치 개수12455

드래곤, 라바 하운드, 그랜드 워든 공중모드, 특히 치유사의 최대 천적
검은 풍선에 폭뢰를 달아놓은 것. 대공 폭탄과는 달리 한 개의 대상만 공격하며, 인식 범위도 좁아졌지만 화력이 미친듯이 상승하였다. 그 무시무시한 드래곤도 이것에 걸리면 거의 빈사상태가 될 정도. 라벌미 러쉬에서도 라바 하운드의 체력을 순식간에 깎아먹어 버린다. 일단은 라바 하운드와 드래곤의 완벽한 카운터지만 한 유닛에만 강한 공격을 가하는 특성상 다수로 몰려오는 벌룬들에게는 별로 큰 효과가 없어 결국 드래곤을 막는데 가장 유용한 트랩이 된다. 참고로 그랜드 워든이 공중모드로 되어있을 때에는 레벨 불문하고 한방에 보낼 수 있다.

자신이 마을배치를 하는데 라벌조합을 확실히 막고 싶다면 다른 것은 수정할 필요가 없고 대공포가 그래도 안으로 들어가있다는 가정하에 그냥 대공포 하나 주변에 이 대공지뢰를 2개 뭉쳐 놓으면 된다.[26]

특히 벌미 러시에서 대공 지뢰는 미니언을 감지할 수 없다. 고급 공중유닛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라는 용도에 충실하기 위해서다. 해골 비행선이 몸빵으로 대공 폭탄과 대공 지뢰까지 맞아주지만 애초에 대공 지뢰는 스플래시 효과는 없으니 대공 지뢰는 미니언에게 여러모로 의미가 없다.

2015년 2월 24일 업데이트로 인하여 대공 지뢰는 더 이상 치유사를 공격할 수 없다.
그러나 2016년 8월 25일 업데이트로 다시 치유사를 공격한다.

6.6 해골 함정(Skeleton Trap)

지상모드 레벨 1 & 2지상모드 레벨 3
공중모드 레벨 1 & 2공중모드 레벨 3
체력은 약하지만 은밀히 움직이는 해골들을 보내 적을 기습하고 주의를 돌리세요! 해골 함정은 지상과 공중의 적을 모두 겨냥할 수 있습니다.
공격 유형근거리 단일 표적(지상/공중)
반응 범위5칸
레벨1레벨2레벨3레벨
업그레이드 비용600060만130만
업그레이드 시간즉시6시간1일
분리된 유닛234
재장전 비용300040005000
요구 마을 회관 레벨889
마을 회관 레벨891011
최대 설치 개수2233

2014년 10월 23일 할로윈 업데이트로 한정판이 아닌 영구적으로 추가된 함정. 클랜 성의 함정 버전으로 범위 내에 유닛이 감지되면 유닛들이 소환된다는 점이 똑같다. 마을 회관 레벨 8에 6000골드로 하나씩 놓을 수 있다. 해골 관짝처럼 생겼는데 범위 내에 유닛이 들어오면 관짝이 튀어나오면서 해골 여러 마리가 소환되어 병력들에게 공격을 가한다. 이 해골들의 능력치는 마녀의 해골과 동일하다.

토글형으로 '지상'과 '공중'으로 바꿀 수 있는데, '지상'일 경우는 평범하게 칼든 해골이 나와서 달려들지만 '공중'일 경우는 해골에 빨간풍선을 매달아 하늘로 날려보내는 기행을 펼친다. 그리고 그 해골은 공중 유닛에게 접근해서 칼을 휘두른다(...) 공중 모드 해골은 공대공만이 가능하므로 공격자의 병력이 벌룬만 남았을 때는 꽤 효과적으로 적을 방어할 수 있다.

이 트랩이 가장 효율적인 때는 클랜전을 할 때인데, 평소에 볼 일이 거의 없는 드래곤 러시를 당할 때 공중 해골로 드래곤들의 어그로를 끌어서 대공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근데 오히려 벽 바깥의 건물을 부수고 있던 드래곤들의 어그로를 끌어서 중앙으로 오게 만드는 경우도 있어 조금 미묘하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있다

기본적으로 능력치는 만렙 아처 수준으로 썩 높지는 않아서 클랜성의 방어용 병력에 비해 적들의 어그로를 끌어주는 역할에 그친다. 그렇지만 해골의 어그로끄는 능력은 방어영웅이나 클랜성 방어병력보다 훨씬 높아서 발키리를 제외한 대부분의 유닛은 자신이 먼저 때리던 건물이 부숴진 후에야 영웅이나 방어병력과 전투하는 경우가 많지만 주변에 해골이 있으면 그 즉시 하던 행동을 멈추고 바로 해골을 공격한다. 심지어 해골이 장벽너머에 있으면 근접유닛들은 바로 장벽을 공격할 정도로 어그로 끄는 효과가 높다.

그러나 선호 타겟이 있는 유닛들에게는 꽤나 위협적이다. 특히 호그 라이더 러시를 할 때 적진 깊숙히서 난데없이 해골 같은 게 튀어나와 호그 라이더가 갈려 나가기 시작하면 피꺼솟을 경험할 수도 있다 카더라. 자이언트를 상대로도 좋다. 자이언트의 체력을 조금씩 깎아서 딜을 충분히 넣을 수 있다. 이 밖에도 골렘이나 페카를 상대하기에도 좋다. 페카는 공격시간이 길기 때문에 시간벌이용으로도 좋다.

2015년 2월 24일 업데이트로 인하여 해골함정 공중모드는 더 이상 치유사를 공격할 수 없다.
그러나 2016년 8월 25일 업데이트로 다시 치유사를 공격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해골 함정 1->2레벨 업그레이드는 CoC 전체 업그레이드 중 시간 대비 골드 비용이 가장 높다.

그리고 싱글 플레이 맵인 흑요석 포탑에서 2014년 할로윈 비석이 있는데, 여기에 유닛을 투입하면 3레벨 해골 트랩이 5개가 연달아 나온다.
  1. 저장소가 3개 이하이거나 레벨이 낮아서 자원이 불균등하게 분배된 상태이면, 20%를 넘는다.
  2. 7홀에서 약탈 패널티가 생기지만, 훈련소와 집합소가 4개가 되며 인구수가 폭증해서 얻는 파밍력 향상으로 만회하고도 남는다.
  3. 2012년 10월 27일 이전.
  4. 이전에는 1000골드, 1000엘릭서로 고정이었다.
  5. 물론 클랜 성 금고에 자원을 남겨 놓는 방법도 있다.
  6. 사족을 달자면 실제로는 구형이 육면체보다 훨씬 더 안정적이다.
  7. 오히려 저장 용량이 조금 늘어나는 것이 좋다. 만약 저장소 용량이 큰 폭으로 늘어난다면 인페르노 타워 4레벨,독수리 타워 2레벨 업그레이드 같은 최상위 건물,최상위 유닛 업글 비용이 지금보다 비싸져서 약탈을 더 많이 해야 한다.
  8. 사족으로 실제 공격력은 초당 공격력에서 공격속도를 곱한 값으로 적용이 된다.
  9. 물론 연사속도 덕에 잡몸 처리에 좋은 경우도 있다. 13~14레벨 아처타워는 7레벨 아처를 한방에 죽일 수 있다. 연사속도가 빠르다 보니 마법사타워만큼은 아니지만 아처들이 순식간에 사라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10. 1~6레벨의 구분법을 말하자면 금띠가 없고 양옆에 1개의 톱니 모양이 나온게 1레벨, 1개의 금띠가 둘러져있고 양옆에 3개의 톱니 모양이 나온게 2레벨, 2레벨의 외형에서 3개의 톱니가 1개의 톱니가 되면 3레벨, 2개의 금띠가 둘러져있으면 4레벨, 금띠가 제독수장처럼 두꺼워졌으면 5레벨, 완전히 금장이 되있으면 6레벨이다.
  11. 1~2레벨 타워는 파란 옷 마법사(1~2레벨), 3~4레벨은 연보라색 마법사(3~4레벨), 5~7레벨은 친숙한 남색 마법사(5레벨), 8~9레벨은 붉은 옷 마법사(6레벨)이다.
  12. 간혹 클랜전에선 솟아오르기 전엔 위치 확인이 어렵다는 것을 이용해 뇌전탑을 장인의 집 처럼 가장자리쪽에 배치해서 99%로 완파 실패를 유도하기도 한다.
  13. 던지는 폭탄의 모양은 레벨에 따라 달라진다.
  14. 인구수 대비 체력이 비슷한 호그라이더도 상당한 타격을 받긴 했으나 같은 패치 때 대형폭탄의 추가 피해가 삭제되었기 때문에 그나마 나은 상태다
  15. 물론 대공포들의 레벨이 7레벨 이상이 아니면 공중 겸용 모드로 해놓는 경우도 종종 있다.
  16. 일단 1개를 먼저 지어야 한다. 그 다음 돈을 모아서 2번째 인페르노 타워를 짓는다.
  17. 10초마다 3발씩 공격을 들어가서 공격 딜레이는 30번이다.
  18. 8초의 대기 시간을 가지고 후반 2초에 3개의 포탄이 떨어진다.
  19. 멀티 인페르노 타워 4레벨이 5레벨 드래곤을 공격하면 10초마다 6분에 1의 체력이 줄어든다.
  20. 투입량은 기존 병력의 인구수와 같고, 영웅의 할당량은 각각 25이다.
  21. 일반 마법은 10,암흑 마법은 5다.
  22. 다만 호그 라이더의 경우 자이언트에 비해 이속이 월등하게 빨라서 트랩이 발동되기 직전에 벗어나는 경우도 많다. 자이언트에 치명적인 이유는 느려터져서 못 피하기 때문.
  23. 5월 업데이트 이후로 레벨 업그레이드가 가능하졌다. 적군을 더 많이 날릴 수 있다!
  24. 3레벨 이상의 폭탄 4개는 6렙벌룬도 즉사시킨다. 그런데 상대의 손이 빠르다면 3렙폭탄 4개가 시간차를 두고 터지는 사이에 힐링스펠을 뿌려서 살아남는 경우도 있다!
  25. 이를 막기위해서는 윌브레이커를 통한 침투 이후 골렘에게만 분노마법이 적용되도록 진영 앞쪽에 뿌려줘야 한다. 어차피 마법사들은 골렘을 쫓아가면서 그렇게 써도 효과를 받기 때문.
  26. 라벌 조합은 공격할 기지를 대공포 2개를 보고 들어가는 것이다. 각각의 대공포에 라바하운드를 투입하고 벌룬을 투입하는데, 라벌조합이 깔끔하게 성공하기 위해서는 양쪽의 라바하운드가 비슷하게 살아남아 균형을 맞추며 뒤에 따라오는 벌룬도 어느 한쪽이 빠르거나 느리지 않게 균형있게 방어타워를 파괴하며 전진해야한다. 만약 대공지뢰 2개를 한쪽 대공포에 뭉쳐 놓는다면 한쪽의 라바하운드가 너무 일찍 죽게 되고 그 뒤에 따라오는 벌룬들이 대공포의 공격을 받아 결국 균형이 깨지면서 공격이 실패하거나 1별을 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