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노잼을(를) 찾아오셨나요?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이 문서는 토막글로 분류되는 800바이트 이하의 문서입니다. 토막글을 채우는 것은 기여자의 따뜻한 손길입니다. 이 틀을 적용할 시 틀의 매개변수로 분류:토막글의 하위 분류 중 적절한 분류를 지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문서는 토막글로 분류되는 800바이트 이하의 문서입니다. 토막글을 채우는 것은 기여자의 따뜻한 손길입니다. 이 틀을 적용할 시 틀의 매개변수로 분류:토막글의 하위 분류 중 적절한 분류를 지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현대 한글 기본 자모 | |
자음 |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ㅅ · ㅇ · ㅈ · ㅊ · ㅋ · ㅌ · ㅍ · ㅎ |
모음 | ㅏ · ㅑ · ㅓ · ㅕ · ㅗ · ㅛ · ㅜ · ㅠ · ㅡ · ㅣ |
현대 한글 겹자모 | |
자음 | ㄲ · ㄳ · ㄵ · ㄶ · ㄸ · ㄺ · ㄻ · ㄼ · ㄽ · ㄾ · ㄿ · ㅀ · ㅃ · ㅄ · ㅆ · ㅉ |
모음 | ㅐ · ㅒ · ㅔ · ㅖ · ㅘ · ㅙ · ㅚ · ㅝ · ㅞ · ㅟ · ㅢ |
현대 한국어 겹받침 중 하나.
쓰이는 단어로는 얹다, 앉다 등이 있다. 겹받침 단어들이 늘 그렇듯 쓰이는 용례는 그렇게 썩 많지 않다. ㄶ은 여기서 벌써 두 번 쓰였는데? ㄵ이 사용되는 어휘들은 끼얹다, 덧얹다, 눌러앉다, 얹혀살다, 노잼 등 앉다, 얹다와 관련된 어휘 뿐이다.
다른 겹받침과 유사하게 뒤에 다른 자음이 오면 받침으로는 /ㄴ/소리만 뒤 뒷자음을 된소리화한다. 그리고 모음이 오면 /ㄴ/ 받침 소리 후 /ㅈ/소리가 이어진다.
표준어는 아니지만 ㄵ 받침이 사용된 다른 예로 한자 長(긴 장)을 야민정음으로 '튽'이라고 쓰는 경우가 있다. '숲튽훈(김장훈)' 등. 스트레스를 가타카나로 쓴 ストレス를 장난삼아 모양이 비슷한 '잕'으로 쓰기도 한다.
고려시대 한국어를 담은 계림유사(鷄林類事;1103)에서는 고려인들이 坐를 '阿則家囉'라고 했다고 적고 있는데# 이는 aʦäkara/anʦäkära 정도로 재구되며, 이를 통해 '앉다'의 ㅈ 소리가 고려 시대에도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초 중세 한국어에서는 ㄴㅅ으로 적기도 했다.(西ㅅ녁 壇 우희 여ᇇ고, 월인석보) 당대에는 ㄱㄴㄷㄹㅁㅂㅅㅇ 8개만 종성으로 쓸 수 있었기 때문으로, 뒤에 모음이 오면 ㅈ 소리가 나는 것은 동일했다.(제 經 연ᄌᆞᆫ 壇ᄋᆞᆯ, 같은 책) 여담으로 예문을 보면 알겠지만 당대에는 '얹다'의 모음이 ㅕ로 '엱다' 꼴이었다. '앉다'는 당대에도 모음이 ㅏ로 동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