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시/역사

과천시 행정구역 변천사
과천군 군내면
(果川郡 郡內面, 1896)
시흥군 과천면
(始興郡 果川面, 1914)
경기도 과천시
(果川市, 1986)

1 개관

과천이라는 지명은 조선 시대 당시 과천현에서 유래되었는데 1914년 일제에 의해 시흥군에 흡수당했다(…). 이때의 과천현은 지금의 서울특별시 동작구(노량진, 사당동, 동작동, 흑석동), 서초구 대부분[1], 관악구 남현동과 경기도 과천시 전역, 안양시, 군포시 일부를 점하고 있었다. 문제는 저기서 안양시 일부라 해봐야 석수동, 박달동을 제외한 안양시 전 지역을 싸고 있었다는 점이 깨는 점이다. 아, 물론 군포도 거의 대부분[2]이겠지만. "겁많은 선비는 (과거시험 보러갈 때) 과천부터 긴다"라는 속담처럼 서울의 관문으로 여겨지나 그 과천이 지금 과천이 아니라는게 함정. 물론 인덕원-선바위-남태령길을 넘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말이다.[3][4] 하지만 지금의 과천시는 조선시대에도 과천현의 중심지(관아 소재지)였다. 조선시대에는 과천현감은 평안(평양)감사, 나주목사와 함께 지방관으로서 3대 요직 중 하나였다고 한다.

옛 과천군은 남태령 고개를 기준으로 남, 북으로 갈라져있었지만 조선후기 시흥행궁 건설 이전까지 남부지방에서 서울(한양)으로 가는 주요 길목에 있던 고을이었기에 남태령 이북이 다른 고을로 분리 합병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사실 한강 건너편에 있는 용산구도 고려 초기까지엔 과천(과주)의 일부였다.

2 시대별 역사

2.1 삼국시대 ~ 남북국시대

고구려 장수왕때부터 율목군이라는 명칭으로 불렸으며, 원래의 과천 영역뿐만 아니라 곡양현(지금의 서울 영등포권 및 경기 광명시)[5], 공암현(지금의 서울 강서구, 양천구 및 영등포구의 양화동), 소성현(제물포, 관교동을 비롯한 지금의 인천광역시 남부 및 시흥시 북부)을 속현으로 두고 있었다. 이 시기의 과천은 동사힐[6]이라고도 불렸으며, 율목이라는 명칭은 과주, 과천의 어원이 되었다. 사실 율목이라는 단어에서 '밤나무 열매()'라는 의미로 읽힐 수 있다.

2.2 고려

과주(果州)로 불렸는데 지금의 서울 용산구 일대도 과주에 속했다[7]. 후에 용산구 일대가 부원현이라는 이름으로 떨어져나갔다가 남경(한성부, 서울의 전신)에 편입되었다.

2.3 조선

1413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과천(果)으로 명칭이 바뀌었다.[8] 조선초기에 인근의 금천현(지금의 영등포, 금천, 광명)과 합병하여 '금과현'이 되기도 했다가 관아 위치 등이 문제가 되어 몇 년이 지나지 않아서 도로 과천현으로 환원된 흑역사가 있다(...).

과천현의 진산(鎭山)은 관악산이었다.[9]
현재의 안양시의 석수동, 박달동은 원래 시흥군 소속이다. 군포시 대야동 일대는 1906년에 광주군에서 안산군으로 편입되었고, 의왕시 일대는 광주군 소속이었다.

2.3.1 구한말 당시의 과천군 산하 행정구역

2.4 일제강점기

현 과천시 지역의 역사만 따져보면 1914년 군면대폐합 때 과천군이 폐지되면서 군내면이 과천면으로 개칭되면서 시흥군에 편제되었다. 이와 함께 구 과천군 동면 중 현재의 주암동 지역은 과천면에 편입되었다.

2.5 대한민국

중간에 읍 승격 없이 1986년 1월 1일 과천면이 바로 과천시로 승격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사실 1963년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구역에 편입되면서(1991년 해제) 과천청사 건설 계획 이전까지는 고양시 신도와 함께 잠정적인 서울 편입 예정지로 지정된 그린벨트 지역이자 '남서울 계획'에 속한 지역으로 취급되었었다.[10] 과천시내에 서울특별시 관할의 서울대공원서울경마공원이 이전해온 것도 이와 관련 있다.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구역에 편입되어 과천 토박이들은 서울 편입에 대한 기대를 가졌지만 1970년경에 과천시 일대가 그린벨트로 묶이는 바람에(...) 같이 서울시 도시계획구역에 속했으면서 대부분의 지역이 그린벨트로 묶이지 않은 광명시 북부와 다르게 개발이 지지부진했었다.

1979년에는 경기도 과천지구 지원사업소가 설치되어 정부과천청사를 조성하기 시작했다. 1982년 5월에 일부 정부기관이 이전했다.

사실 지금의 과천시에 정부청사가 건설된 것은, 북한의 안보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강남 개발계획(속칭 '남서울 계획')과 맞물려서 그런 것이다. 만일 한반도가 분단되지 않았거나 인천상륙이후 북진통일 성공했더라면 지금의 과천시 일대는 그저 안양시의 일부로 남았을 가능성이 컸을 것이다.[11]

3 관련 항목

  1. 내곡동을 행정동으로 하는 3개 법정동인 내곡동, 염곡동, 신원동을 제외한 서초구 전역이었다.
  2. 1994년 화성군 반월면에서 편입된 대야동 제외
  3. 참고로 문제의 인덕원이 있는 안양시에서 편찬한 안양시지에서는 안양시가 옛 금천현과 과천현의 결합이라고 적고 있다. 안양시 자신들도 인증한 역사.
  4. 다만 정조 때 남태령길(과천군쪽)이 아닌 시흥동(시흥군쪽) 경유 길이 별도로 개설되었다. 이 길이 현재의 시흥대로-경수대로와 선형이 비슷하다.
  5. 눈치 채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이 지역이 조선시대의 금천현(시흥현) 일대이다.
  6. 어원은 동쪽에서 해 뜨는 동네라고 한다.
  7. 같은 시기에 금주(조선시대의 시흥)도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성저십리로 편입된 여의도 일대까지 관할했었다.
  8. 먹물을 아끼려고 주(州)에서 점 3개 때내고 천(川)으로 바꾼 것. 이때 인천(현 시흥북부 포함, 부평-계양-부천 제외)과 금천(지금의 서울 영등포+경기 광명+안양 석수동, 박달동)도 같은 이유로 명칭이 각각 인주, 금주에서 인, 금으로 변경되었다.
  9. 시흥현의 진산이 관악산이 아니냐고 질문할 수 있겠으나, 시흥현의 진산은 관악산 바로 옆에 붙어있는 삼성산이었다.
  10. 과천시, 고양시 신도와 함께 잠정적인 서울 편입 예정지였던 광명시 북부는 과천, 고양 신도와 다르게 평야지역은 그린벨트에 편입되지 않았다.
  11. 참고로 과천시 승격 당시에 안양시에서 반대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