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천명

250px
이름노천명(盧天命)
출생1911년 9월 1일, 황해도 장연군
사망1957년 6월 16일, 서울특별시
직업시인, 소설가, 대학 교수
종교천주교 (세례명: 베로니카)
가족2녀 중 차녀

1 트리비아

뛰어난 시어 사용과 감상적인 작풍으로 이름난 문인이자 언론인. 반면에 일제의 침략 전쟁을 동조 및 찬양하고 한국 젊은이들을 전쟁터에 몰아 넣는데 일조한 악질 친일파이자 민족 반역자. 기회주의자. 천하의 개쌍년.

사슴의 시인, 평생을 독신으로 고독과 함께 살아가면서도 꾸준히 작품 활동을 계속하여 한국 문학에 이름을 남겼다. 그러면서 수 많은 친일 시와 산문을 써서 조국의 젊은이들을 전쟁터와 징용에 몰아 넣은 반민족 친일 행위를 했다. 이후 북한군에 점령되었을 때와 다시 수복했을 때 그때그때마다 기회주의적 처신으로 일신의 안녕과 영화를 추구했다.

시인으로 알려졌지만 기자, 소설가, 작가, 언론인으로도 활동하면서 친일 행위를 했다.

본명은 노기선(盧基善)이며, 황해도 장연(長淵)에서 출생. 1930년 3월에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를 나와 이화여자전문학교 영문과에 진학하여 1934년 봄에 졸업하였다.

1934년 조선중앙일보에 입사 학예부 기자로 4년간 근무, "모가지가 길어서 슬픈 짐승이여"로 시작되는 유명한 시 <사슴>도 이때 발표하였다. 1938년에 퇴사. 1938년 조선일보사의 학예부 기자가 되었다. 그 뒤 4년동안 조선일보 기자로 있으면서 조선일보가 발행하는 여성(女性) 지의 편집인이 되어 여성지 편집을 맡아 보았다.

1943년에는 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사에 입사하여 문화부 기자가 되어 '승전의 날', '출정하는 동생에게', '진혼가', '노래하자 이날을', '흰 비둘기를 날리며' 등 다수의 친일 시를 발표했다. 1946년까지 서울신문 문화부 기자로 있었다.

광복 후에는 이화여자대학교, 서라벌 예술대학 등에 강사로 나가 출강하였으며 후에 부녀신문사에 입사하여 기자가 되기도 하였다. 1949년에는 몇편의 시를 발표하였다.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미처 피난하지 못한 그녀는 월북한 임화, 김사량 등이 주도하는 조선문학가동맹에 가입하여 문화인 총궐기대회 등의 행사에 참가했다가, 대한민국 국군이 서울을 수복한 뒤 좌익분자 혐의를 받아 자그마치 실형 20년을 선고받으나 여러 문인들의 도움으로 몇 개월 만에 사면하여 풀려났다. 후에 공보실 중앙방송국 방송담당 촉탁에 임명되기도 하고 3차 시집을 발표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지만 무리한 집필 활동으로 인한 건강 악화로 1957년 재생불능성 뇌빈혈로 사망했다.

그녀의 시신을 수습한 법관 김홍섭(1915~1965)의 회고에 따르면 몇 권의 책과 앉은뱅이 책상 외에 변변한 가재도구 없는 손바닥만한 낡은 집에서 외로운 죽음을 맞이했다고 한다. 시신을 수습할 사람이 없어 교회 신자들이 수습해 줬다고 한다. 평생 정적이고 보수적인 문학을 고집해왔던 그녀의 쓸쓸한 최후로, 친일파 중 불행한 말로(末路)를 맞았다.

2 성격

노천명은 흔히 사슴의 시인이라 불려 온화한 성품을 지닌 사람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실제로는 오만할 정도의 도도함과 내성적인 성격을 지닌 여인이었다고 한다. 세상과 소통하지 않는 성격으로 동료와 자주 충돌을 일으켰으며(같은 여성 문인들과는 친하게 지냈으나 남자들에게는 결벽스러울 정도로 냉정했다고 한다.) 본인의 시 자화상을 보면 자신의 성격을 대처럼 꺾어는 질망정 구리 모양 휘어지기가 어려운 성격이라 했을 정도.. 이런 성격으로 인해 평생을 독신으로 살았다. 노천여

그러나 노천명은 그런 도도함을 절대 강자인 권력에는 발휘하지 못하고 철저히 굴복하여 민족을 팔아먹는 친일 행위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였다. 즉 일반 남자에게의 결벽스러운 자세와는 다르게 일제에게는 지조 없는 비열한 모습을 보였다. 특히 한국전쟁 당시 공산군 치하와 서울 수복 후 국군 치하에서 보인 그녀의 처신을 보면 노천명은 약자나 만만한 자에게만 오만하게 굴고, 강자에게는 철저히 순종하는 기회주의자의 전형 임을 알 수 있다. 노천명 본인 말과는 달리 '자신의 위기 앞에서는 대처럼 꺾어지지 않고 구리처럼 휘어진 것'이다.

특히 노천명이 얼마나 비열하고 뻔뻔스러운 성격을 가졌는지를 잘 보여주는 일화가 있다. 이윤옥 시인에 따르면 노천명은 해방 전인 1945년 2월 25일 시집 "창변"을 펴내고 성대한 출판 기념회를 열었는데, 그 시집에 친일시 9편이 수록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광복이 되자 노천명은 그 시집 "창변"에서 친일시 9편을 제거하고 계속 출판했다고 한다.친일파 시인, 우리가 사랑하였던 노천명의 친일 진면목

3 친일반민족 활동

태평양 전쟁 중인 1942년 친일문화단체인 조선문인협회에 가입하여 전쟁을 찬양하고 수많은 젊은이들을 전쟁터로 선동하는 시를 발표하였다.

노천명의 대표 친일시로 '님의 부르심을 받들고서'가 있다. 아래가 그 내용이다.

남아면 군복을 메고
나라 위해 나감이 소원이리니

이 영광의 날
나도 사나이였드면 나도 사나이였드면
귀한 부르심 입는 것을-

갑옷 떨쳐입고 머리에 투구 쓰고
창검을 휘두르며 싸움터로 나감
남아의 장쾌한 기상이어든-

이제
아세아의 큰 운명을 걸고
우리의 숙원을 뿜으며
영미를 치는 마당에랴

영문(營門)으로 들라는 우렁찬 나팔소리-

오랜만에
이 강산 골짜구니와 마을 구석구석을
흥분 속에 흔드네-


결국 민족문제연구소가 2008년 발표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중 문학 부문에 선정되었다. 총 14편의 친일 작품이 밝혀져 2002년 발표된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에 포함되어 있으며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4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위키백과.

4 평가

전통 문화와 농촌의 정서가 어우러진 소박한 서정성, 현실에 초연한 비정치성은 노천명의 독특한 향기이다. 당대 유명했던 여성 문인(모윤숙, 최정희)와 함께 여성이 작가의 대상에서 머물지 않고 주체로 나갈 수 있음을 보여준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노천명은 뛰어난 시적 감각을 지녔으며 여성 문인의 선구자적 역할을 한 점은 있다.

그러나 노천명의 비정치적 채취는 자신의 형편에 따라 변해서 후에는 철저한 정치적 친일 선동에 앞장섰다. 그러므로 그녀의 문학적 업적에도 불구하고 친일 행위까지 용납할 수는 없다는 것 또한 분명하다. 또 그 친일 행위도 단순히 한 두 시를 발표한 것이 아닌 수 많은 친일 시와 글을 지속적으로, 그것도 한국 젊은이들을 징병과 징용에 적극적으로 밀어 넣은 매우 질이 나쁜 것임을 봤을 때 소극적 친일파로 볼 수도 없다. 한편 노천명, 모윤숙, 최정희 3인방은 사이가 너무 좋은 나머지 같은 시기에 친일파로 변절하기도 했다.

노천명의 친일 행위가 얼마나 확실한지는 유종호 문학평론가가 '시인세계' 에서 '마지못한 친일까지 중죄인 취급은 가혹'하다고 주장하면서도, '임종국의 <친일문학론>에서 거론하는 28명의 문인 중 시인으로는 김동환, 김소운, 김안서, 김용제, 김종한, 노천명, 모윤숙, 주요한 등 8명이다. 이중 김동환과 노천명을 제외하면 교과서에 올릴 만한 작품이 별로 없다.'고 하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 즉 김동환과 노천명은 친일 시인 중 선별적으로 구제론을 펼치는 사람까지도 등을 돌릴 정도의 명백한 친일을 한 것이다. 2006년 2월 13일 한겨레신문 결국 교과서와 수능에서 여태까지 그래와꼬 앞으로도 계속 나오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것이 반영되어 중요 악질 친일파를 논할 때 항상 언급되는 노천명은 결국 친일인명사전의 주요 친일파 중 하나로 이름을 넣게 되었다. 친일인명사전 등재 때 일부 친일파는 이의 제기가 있었으나, 노천명은 당연히 그런 논란이 없었다.

또한 일제 강점기에 행한 친일 행위 및 좌익단체인 조선문학가동맹 활동으로 볼 때 기회주의 지식인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역시나 월간조선에서는 좌익활동했다며 친일파를 곁들어 그녀를 비난한 기사를 썼다가 그동안 친일파를 옹호해던 터라, 좌익 친일파만 욕하고 우익 활동하던 친일파는 옹호하던 여태 행보로 이념적으로 역시 따진다는 비난만 듣었다.

5 이야깃거리

  • 원래 본명은 기선이었으나 어렸을 적 병으로 인해 사경을 넘긴뒤 천명(天命)으로 개명하였다.
  • 냉정한 성격으로 인해 평생을 독신으로 지내고 연애도 거의 하지 않았으나 연인이 없었던 것은 아니며 한때 보성전문학교 교수인 김광진과 연인 사이였으나 그는 유부남이었고 끝내 결별하게 된다. 이후 평생을 독신으로 지낸다.
  • 당대 같은 여성 문인인 최정희모윤숙과는 매우 친한 사이였다고 한다. 특히 최정희에게 보내는 편지인 나를 대구로 데려가 주를 보면 노천명이 최정희에게 떼를 쓰는 표현을 엿볼 수 있는데 두 사람의 관계가 얼마나 가까웠는지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노천명, 최정희, 모윤숙은 친일 행위에서도 그 우정을 발휘하여 일제의 우리 문인 회유 단체인 조선문인협회에 1942년에 가입한다. 즉 반민족 악질 친일파로도 세 여성이 어깨동무를 한 것이다.네이버캐스트 이중에서 최정희는 앞서 언급된 친일파 김동환과 동거하면서 2명의 자녀를 두기도 했다.
  • 노천명은 잘 알려진 서정주의 '오장 마쓰이 송가'보다 더 먼저 '신익'이라는 시를 발표해 조선인 출신 카미카제 특공대가 되었던 마쓰이를 칭송하기도 했다. 네이버 블로그
  • 방송인으로도 활동했었다. 자세한건 다음 링크를 참조. #

6 관련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