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px
1980년대 대영팬더로 바뀌기 전 대영 로고.
300px
80년대 후반, 대영팬더 아래 로고로 바뀌기 전에 잠깐동안 사용하던 로고
300px
1989년 대영팬더로 바뀐 후의 로고.[1]
만화영화를 보실 때는 대영팬더를 꼭 확인하세요.대영팬더는 만화영화 전문 제작사입니다.
전문 더빙 회사가 아니고?대영 팬더.
1 소개
8, 90년대 동양비디오, 삼부비디오와 함께 어린이용 비디오 시장을 제압한 시대의 풍운아 회사.
80년대에는 대영 비디오 프로덕션이라는 이름으로 만화만이 아닌 외국 영화,[2] 국내 개봉 영화들도 비디오로 출시하였다. 이후 1989년, 대영팬더로 이름을 바꾸고 지구방위대 후뢰시맨을 수입하여 히트시키면서 연이어 수많은 어린이용 비디오를 출시했다. 대영팬더로 이름을 바꾼 뒤에는 아예 애니 및 어린이용 비디오 영화 업체로 방향을 틀어서 외화 및 국내 개봉 영화들은 출시하지 않았다. 890년대 생이라면 누구나 기억할 팬더가족과 호환, 마마, 전쟁보다 무서운 불법비디오를 알려주는 꽃가족이 나오는 그 비디오다.
특히 국내에 발매된 슈퍼전대 시리즈의 경우 80년대 작품들은 거의 다 이 대영팬더에서 출시되었다.[3] 덕분에 국내에 수많은 전대물 팬들을 양산한 계기가 되었다. 그런데 사실 원래 특촬물의 경우 당시에 일본 드라마나 영화는 수입이 금지되어 있어서 원칙상 수입이 불가능했지만, 대영팬더에서는 만화로 속여서 수입했다고 한다.[4][5] 영상물 등급 위원회 측에서도 '실제 일본인이 출연하는 장면보다 헬멧과 슈트를 입고 찍은 장면이 더 길다.'는 이유로 심의를 통과시켰다고.
성우진도 상당히 잘 썼던 편으로 대부분의 성우들이 현재는 내공 높은 유명 성우들이다. 사실 여기서 친숙해지면서 유명해진 경우도 많지만...
물론 비디오판답게 처절하게 더빙 퀄리티가 엉망인 경우가 많지만,[6] 란마 1/2 같은 경우는 비디오라는 열악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성우들의 내공만으로 훌륭한 퀄리티를 뽑아낸 명작이란 평을 듣고 있기도 하다. 덕분에 투니버스에서 성우진을 교체하고 중복캐스팅도 줄여서 방영한 란마는 '중복으로 돌린 대영팬더판보다 못하다'라는 악평도 들었을 정도. 못한 정도가 아니라 비교 자체가 불가능한 수준이다. 대영팬더판 란마는 90년대 초반 녹음된, 열악한 상황속에서 더빙된 작품이기는 하지만 강수진, 최덕희, 정미숙, 백순철, 장정진 등 과거와 현재를 들어서도 레전드 성우들이 열연했기 때문이다. 또 십여년이 지나 투니버스에서 더빙될 상황은 이미 과거에 비해 더빙하는 외화나 애니자체가 많이 줄어들어 성우들의 출연기회가 상대적으로 줄어든데다 레전드 성우들만큼 독특하고 화려한 음색을 자랑하는 성우들이 발굴되는 경우가 극히 드물었다. 더군다나 주인공인 란마로 출연한 강수진의 경우도 대영팬더판 만큼의 연기력을 보여주지 못했고, 워낙 대영팬더판 성우들의 연기력과 캐릭터와의 흡착력이 좋아 투니버스판 몇몇 성우들의 연기가 객관적으로 좋았다하더라도 상대적으로 비교가 될수밖에 없었고 그외 나머지 캐릭터들은 아예 연기력도 안되고 음색도 맞지않아 평가가 매우 좋지 않았다.
주로 대영팬더의 특촬에서 자주 볼 수 있던 성우로는 김환진, 장정진, 백순철, 장세준, 정경애, 노민, 최수민, 김성희, 유지영 등이 있었다. 애니쪽도 마찬가지지만 추가로 강수진, 최덕희,[7] 정미숙, 이진화, 강구한 등이 나왔고, 주로 KBS 성우들이 많았지만 MBC 성우인 신성호도 대영팬더 작품에 자주 나왔다.
90년대 초엽의 전대물 수입 재판본등에서는 당시 대영팬더에서 프로듀스/발매한 어린이 영화의 간접광고가 들어가기도 하였다.
1997년 명보시네마로 회사명을 변경했지만 그 이전에도 명보시네마라는 이름을 쓰기도 했었다(비디오 표지에 수입/배급-명보시네마라고 나왔었다.) 하지만 비디오 업체들이 줄줄이 사라지던 2000년대 와서 알게 모르게 사라졌다.
2 출시작
2.1 수입작(대영 비디오)
- 애니메이션
- 과학닌자대 갓챠맨 (197X, 국내명 : 독수리 5형제. 극장판 더빙)
- 마법의 스타 매지컬 에미 (1984, 국내명 : 요술가족)
- 머신로보 크로노스의 대역습 (1986, 국내명 : 머신로보트)
- 은아 유성 긴 (1986, 국내명 : 명견 실버)
- 백수왕 고라이온 (1981, 국내명 : 골라이온. 동양비디오에서 나왔던 편수를 이어서 더빙
- 별의 아이 쵸빈 (1974, 국내명 : 별나라 왕자 쵸빈)
- 비디오전사 레자리온(1984, 국내명 : 로보트 황제 레자리온)
- 우주마신 다이켄고 (1978, 국내명 : 로보트 타이맨)
- 합신전대 메칸더 로보 (1977, 국내명 : 메칸더V)
- 초전자로보 콤바트라V (1976, 국내명 : 컴바트라V[8])
- 초전자머신 볼테스V (1977, 국내명 : 볼트화이브)
- 천년여왕 (1980?, 극장판)(국내명 : 우주여왕)
- 태양의 사자 철인 28호 (1980, 국내명 : 철인28호)
- 톤데라하우스의 대모험(1982)
- 우주해적 캡틴하록 (198X, 극장판)(국내명 : 혹성전쟁)
2.2 수입작들(대영팬더)
2.2.1 애니메이션
- 마징가Z (1972, 전편이 아닌 일부 에피소드 위주로 출시)
- 아스트로 강가 (1972, 국내명 : 바이오 로보트 짱가)
- 투장 다이모스 (1978, 캘리포니아 비디오에서 나왔던 편수를 이어서 더빙)
- 불꽃의 알펜로제 쥬디&랜디 (1985, 국내명 : 알펜로즈)
- 란마 1/2(1989)
- 혹성로보 단가드A (1978?, 출시제목은 우주전사 당가드 에이스/MBC에선 날아라 스타에이스란 제목으로 방영)
- 우주에서 온 야구소년 (1986, KBS에서는 홈런왕 강속구란 제목으로 방영)
- 우주전사 발디오스 (198X, 극장판이 상하로 나왔다)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1983)
- 광속전신 알베가스 (1983, 동양비디오에서 나왔던 편수를 이어서 더빙, 초광속로보트 알베가스로 출시)
- 용의 아들 (1990, 성우 박영남의 대영팬더에서의 첫 작품)
- 초 빠져들거 같아 (1994, 국내명 : 천방지축 하빗/대교방송에서 쏙 빠져들 것 같아란 제목으로 방영)
-
유유백서(1992)[9] - 슈퍼 빅쿠리맨(1992)
- 드래곤 퀘스트 (1989, 국내명 : 비디오는 동일, KBS에서 아벨탐험대로 방영)
- 풍운아 풍마의 코지로(1990?)
- 쿵후보이 쿵후보이 친미(1988)
- 타오타오 에본칸(
니코니코타오타오 동화) - 마법의 요정 페르샤 (KBS에서 샛별공주라는 제목으로 방영)
- 초음전사 보그맨(1987)
- 요술공주 샐리 (1966년 쇼와판, 1989년 헤이세이(리메이크)판)
- RPG전설 헤포이 (KBS에서 태양의 기사 피코로 방영. 비디오 출시 시 이름은 '전설의 용자 해포이')
- 들장미 소녀 제니(1983)
2.2.2 특촬물
- 기타 특촬
- 공룡대전쟁 아이젠보그 (1977, 국내명: 지구수호대 아이젠보그)
- 형제권 바이크롯서 (1985, 국내명: 형제전사 에이스맨)
2.3 자체제작 작품
주로 어린이 영화를 제작했으며, 이 문단을 자세히 보면 심형래가 주연인 작품들이 꽤 많다.(★)
- 태백산 호랑이 - 1994년 최초로 자체제작한 애니메이션[10]
- 화이팅맨
- 흑기사 형래와 광대들(★)
- 황금탈 형래와 땡초도사(★)
- 심형래와 괴도루팡(★)
- 각시탈 형래와 깨비깨비도깨비(★)
- 돈키호테 형래와 산초특공대(★)
- 사부님 사부님(★)
- 007 폭소대작전 - 심형래 주연 작품. 007 시리즈의 패러디물로, 심형래와 초등학생들이 우연히 보물찾기 지도를 발견하여 사건에 휘말리는 영화.(★)
- 영구와 부시맨(★)
- 영구와 꼬마삼총사(★)
- 이맹구의 봉숭아학당
- 이맹구의 천방지축학당
- 맹구짱구 스트리트 화이어
- 엽전도사와 젓가락도사
- 쿵후보이 친미
- 18만2천원짜리 맹구
- 민지와 왕라이트
이 작품들도 제작 : 명보시네마가 있다.
3 참고항목
- ↑ 단 89~90년 초반에 출시 된 비디오에는 로고명에 대영팬더 대신 대영비디오프로덕션으로 나왔다.
- ↑ 중국 무협, 액션, 코미디, 호러 같은 다양한 장르들.
- ↑ 터보레인저만 유일하게 현대통상에서 출시. 이후 시리즈들은 케이블 방송사에서 수입해서 방영하고 있다.
- ↑ 사실 현재도 우리나라에선 슈퍼 전대물을 애니메이션으로 분류하긴 한다.
- ↑ 물론 현지화까지 했다. 극중 등장인물의 이름이라던가...
- ↑ 입과 말이 싱크가 되지 않는다든지, 음향이 엉망이라든지, 그리고 엄청난 일인 다역같은 경우.
- ↑ 참고로 강수진과 최덕희는 여기에서 낸 란마1/2로 주인공 데뷔를 했다.
- ↑ 83년에 삼화비디오에서 먼저 출시하고 나중에 재더빙을 거쳐 대영에서 재출시했다.
- ↑ 란마 1/2이라든지 여러 애니에서 차기 발매 광고를 했으나 끝내 미출시.
- ↑ 항목에도 언급되어 있지만, 이 작품은 같은 해에 MBC에서 방영하기 위해 제작 협력을 하였는지 MBC성우들이 참여하였다. KMDB의 자료를 보면 대놓고 출연 MBC 성우진이라고 적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