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망24시


2015, 2016년 2연속으로 LMP1 클래스에서 우승한 #2 포르쉐 919 하이브리드. 이로서 포르쉐는 르망에서 총 18번을 우승한 메이커가 되었다.


2016 LMP2 클래스에서 우승한 알핀 A460. 닛산 VK45DE 엔진을 사용하였다.


2016년 오랜만에 르망 24시에 복귀한 포드 GT. 페라리 488 GTB랑 치열한 경합 끝에 68번 차량이 GTE 클래스 우승을 차지했다.[1]

1 개요

24 Heures du Le Mans

프랑스의 작은 동네 르망에서 매년 열리는 자동차 내구 레이싱 경기. 1923년 5월 26일에 시작되어 내구 레이스 중에는 가장 오래된 역사를 자랑한다. 가장 빠른 차를 만들어 경쟁하고자 하는 포뮬러 1과는 달리 가장 신뢰성 높은 차량을 놓고 경쟁하고자 한 것이 차이점. 차의 내구성을 증명할 수 있는 아주 좋은 자리이기 때문에 기술력을 강조하는 유럽 브랜드가 지속적으로 출전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첫 대회는 5월에 열렸지만 두 번째 대회가 6월에 열린 이래 이후의 대회는 6월 중으로 개최되는 전통이 생겼다.

2 기본 규칙

서킷을 몇바퀴 돌 지 미리 정하고 순위를 가리는 다른 레이싱들과 달리 24시간 동안 몇 바퀴를 달렸느냐로 순위를 정한다. 관람을 하기 위해서 아예 캠핑을 하는 팬들도 많다.

초기에는 드라이버 규정이 없어 1명이 전체 레이스를 운영한 경우도 있었으나 안전을 위해 수차례 규정 변경이 있었다. 2012년 기준 룰에 따르면 르망의 드라이버는 차량 1대당 반드시 3명이 배정되어야 하며, 한 사람이 연속 4시간 이상 운전할 수 없고 한 사람당 운전 시간이 14시간을 넘어서는 안 된다.

3 차량 규격

르망의 규정에 맞춘 전용경주차 LMP(Le Mans Prototype)로 출전하는 경우도 많지만 기존의 차량을 개조하여 나가는 GTE (Grand Touring Endurance) 클래스의 출전차량이 더 많다. (참고로 LM GTE 클래스는 2011년부터 새로 나타났다) 양산 수퍼카가 싸움을 벌이는 레이스가 전무한 상태에서 비교적 많은 시판 고성능차를 볼 수 있는 레이스.

  • LMP(르망 프로토타입)
LMP는 시판되는 차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경주차량을 따로 제작하는 클래스이고 전 클래스중 가장 빠른 기록을 자랑한다.[2] LMP을 상세하게 분류하면 LMP1, LMP2로 나눠져있고, LMP1에선 또 하이브리드(LMP1-H)와 무등급(LMP1-L) 두종류로 나뉜다.
LMP1에서 하이브리드와 무등급의 차이점은 무등급이 최소 850kg 이상의(드라이버와 연료를 제외한 무게) 무게를 차량이 가져야 하는 반면 하이브리드는 870kg 이상 되어야한다. 또한 하이브리드는 엔진 배기량에 제한이 없는반면, 무등급은 5.5L 배기량 이상의 엔진을 쓸 수 없다. 또한 휘발유 기반 차량은 68.3L 까지 주유할수 있는 반면에, 경유 기반 차량은 54.2L 까지만 주유가 가능하다. 또한 운전석에 한명이 타도 되며, 반드시 안전을 위하여 운전자의 운전공간이 닫혀있어야 한다.
LMP2의 경우에는 반드시 두명이 앉을수 있게 제작해야 하고, LMP1과 달리 개방된 형태의 운전석도 만들수 있다. 또한 900kg의 최소 무게를 넘겨야하며, 자연흡기 차량은 5L의 배기량과 V8을 초과하는 차량을 제작할수 없고, 터보 차량은 3.2L의 배기량과 V6를 초과하는 차량을 제작할 수 없다. 또한 경유차량은 반드시 시판 되는 차를 기반으로 제작해야 한다. 그러나 비용 절감을 목표로 WEC에서는 2020년부터 깁슨 사가 독점 제공하는 V8 4.0L를 사용할 예정이다.
  • GTE Pro, Am(구 GT2)
GTE는 구 GT2를 계승하는 등급으로서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하는 LMP와는 달리 규정이 까다로운 편이며 시판차량을 2년마다 검사한다. 일단 반드시 양산차여야 하며(큰 제작사의 경우 최소 100대를 똑같이 판매하여야 하며, 소규모의 제작사도 25대 이상을 팔아야 출전할수 있다) 공공도로에서도 법적으로 문제없이 운전할 수가 있어야 한다. 파워트레인 규격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자연흡기 5.5L 이상, 터보 4.0L로 배기량이 제한되어 있고, 반켈 엔진도 금지되어 있고, 6단기어만 사용 가능하며, AWD 구동도 금지한다. 외장 규격 제한은 반드시 닫힌 형태의 운전석, 와이퍼, 후방 카메라의 탑재의 의무화. 다양한 차들이 운전하는 르망 24시의 특성상 반드시 GTE 클래스는 노란색의 전조등을 사용해 구분짓게 한다. 또한 레이싱차에서 차체 강화와 경량화때문에 쓰는 재료인 탄소섬유, 티타늄, 마그네슘이 스포일러, 타이어 휠, 운전석 공간을 제외하면 사용이 금지되어 있으며, 심지어 스포일러나 기타 바디킷의 부착도 엄격하게 제한되어 있거나 금지되어 있다. 운전석도 최소 2인승 혹은 2+2인승을 기반으로 한다. 프로(GTE Pro)와 달리 아마추어는(Am) 더 엄격해서 반드시 1년 이상 사용한 차량으로 구성되며, 운전자의 수준도 뛰어난 실력을 가진 프로들이 아닌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
  • 모터사이클
자동차 경주만 있는것이 아니라 모터사이클 경주도 꾸준히 하고 있다.. 당연히 24시간 동안 3명의 라이더가 교대로 바이크를 타는데, 크고 아름다운 라 사르트 서킷은 소음과 라이더 혹사 문제로 인해 라 사르트 서킷안에 있는 부가티 서킷에서 경주를 한다.
  • GT1
GTE(구 GT2) 클래스가 생기기 전에 GT1 이라는 클래스가 있었다. 이 규격은 보통 슈퍼카급을 기준으로 하며 출력이 약 590~600마력 정도 되었다. 레드라인이 8000이상[3]인 GT2(GTE)클래스 와는 달리 레드라인이 7500rpm을넘는 GT1 경주차는 거의 없었다. 그러나 GT1 규격은 2011년 FIA GT1 WORLD CHAMPIONSHIP을 끝으로 사실상 사장되었으며 르망 24시에서는 2010년을 끝으로 GT1차량이 더 이상 출전하지 않는다. 랩타임은 그 당시 GT2보다 빨랐으며, 심지어 LMP1 클래스를 누르고 우승한 전력도 있다.
보통 하위 클래스가 상위 클래스를 꺾는 경우는 보기 어려우나 규정에 중대한 변화가 있는 시기에 예외가 일어나기도 한다. 상위 클래스의 규정이 크게 바뀌거나 회사간의 경쟁이 한창 과열되는 경우에는 큰 회사들도 결함이 있는 차량들을 찍어내기 십상이며[4], 이 와중에 4~5년 전의 구형 그룹C 차량이나 GT1 차량들이 종합우승을 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60~70년대에는 이런 일들이 심심찮게 일어났지만 최근에는 규정이 안정되어서, 가장 최근에 이런 하극상이 일어난 건 각각 맥라렌 F1 LM과 포르쉐 911 GT1이 그룹B GT1클래스로 종합 우승을 달성한 95년과 98년이다. 2000년대 들어와서 그나마 유사한 시나리오를 따라간 유일한 경우는 포르쉐 RS 스파이더인데, LMP2 클래스로 출전하여 르망24시를 비롯한 여러 내구 레이스에서 LMP1인 아우디 R10(06년 ALMS에는 R8C도 참전했었지만 중간에 R10으로 출전 차량이 바뀐다.)의 원투 피니시 바로 아래에 자리잡은 적이 종종 있다.

4 라 사르트 서킷

image.jpg
딱히 전용 서킷이 있는 것은 아니며, 대회 시점에는 르망의 상시 레이스 트랙과 일반 도로를 합쳐서 만든 라 사르트 서킷을 이용하고 있다. 최고속이 중요한 직선 위주의 서킷이지만 군데군데 위치한 시케인과 헤어핀이 무지막지한 감속을 요구하는 데다가 서킷의 매끈한 노면과 일반 공공도로의 형편없는 땜빵 포장이 교차하기 때문에[5] 그립이 수시로 바뀌므로 일반적인 운전 스킬로는 제대로 달리는 것조차 불가능에 가깝다. 이런 곳을 (뮬산느 스트레이트 기준)시속 340km/h 에 육박하는 속도도 달리다가 풀 브레이킹, 바로 시케인 코너를 약 100~120km/h로 돌아나가는 차 [6] 와 사람 모두에게 가혹하기 짝이 없는 환경이 24시간 동안 벌어지는 것. 초고속에서의 내구성과 고속순항의 공기역학성에서는 정점에 다다른 레이스로 포뮬러 1, WRC, 나스카와 함께 세계 자동차 모터 스포츠의 상징으로 평가받고 있다.

5 휘발유 하이브리드와 경유 하이브리드의 대결

2000년도 후반- 2010년도 초반 경유 기반 경주차의 승리가 이어진 것은 아우디가 자사의 디젤엔진인 TDI의 우위를 선전하기 위해서 레이싱에 잘 쓰이지 않는 경유엔진에 집중적으로 투자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디젤엔진 장인 푸조 역시 디젤로 출전했었다.[7] 저회전에서의 막대한 토크와 낮은 연료소비량은 르망레이스의 특수한 환경에서 이점으로 작용한다.[8] 저회전에서의 경유 엔진의 넘치는 토크는 재가속에 매우 유리하며, 휘발유 엔진에 비해 낮은 연료소비량은 피트스탑 횟수 및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시간상의 이점을 제공한다. 최고회전수가 낮은 디젤엔진의 특성 상 다른 휘발유 엔진의 경주차보다 매우 조용해서 직선주로를 달리는 차에서는 엔진음이 풍절음과 타이어 마찰음에 묻혀 거의 들리지 않을 정도. 2009년 레이스는 푸조의 승리였으나 2010년 레이스는 푸조 908이 전부 리타이어 하면서 아우디 R15+가 포디움을 독식했다.

사실 아우디의 경우 푸조에 비해서 경주차의 성능이 절대적으로 뛰어났던건 아닌데, 정작 2007년부터 2011년까지의 푸조 908HDi(HDi FAP)는 르망 팬들에게 역대 최강의 르망 경주차라고 불린다. 드라이버들의 실력이나 팀의 운용능력 그리고 제일 중요한 차량 내구도의 신뢰성이 아우디에 비해 부족했으나, 절대적인 성능 면에선 최고 속력을 비롯해서 모두를 압도했다. 만약 샤르트 서킷을 현재 길이를 유지하고 시케인(뮬산느 스트레이트가 끝난 직후 나타나는 시케인)만이라도 없앴다면 푸조에게 400랩은 물론이고 410랩도 껌이었을거라 말한다. 지금은 푸조가 철수하는 바람에 대신 2012년부터 르망에 복귀한 토요타가 2011년까지 있었던 푸조 팀 크루+관계자들이 옮겨와서 아우디, 포르쉐와 함께 라이벌리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경유 엔진 시대를 무너뜨린건 휘발유+하이브리드 였으니, 포르쉐가 2015년에는 919 하이브리드를 새로 개발하여 투입[9]하였고, WEC1, 2차전에선 2위로 마감했지만 르망24시에서 아우디를 꺾고 원투 피니시로 오랜만에 우승하며 노장은 죽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2015년도의 919 하이브리드는 하이브리드 모터 출력이 8Mj로 대폭 증가하였으며, 이것으로 2리터 V4 터보+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총 출력 합이 1200을 넘어 1300에 도달했다는 이야기도 있었다. 또한 2016년에도 디젤차량을 누르고 포르쉐와 토요타가 아우디보다 우위를 점하면서 대세는 작은 배기량의 터보 휘발유 엔진+어마어마한 출력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 바뀌게 되었다.

6 경기

레이스 책임자의 출발 신호가 보내지면 50~60여대의 차량이 일제히 출발한다. 예열을 위해 첫 바퀴는 세이프티 카 뒤에서 달리고 모든 차량이 폴 포지션에 위치하게 되면 유명인사가 프랑스 국기를 흔들면서 경기가 본격적으로 시작(프랑스 국기를 흔드는 유명인사는 해마다 바뀐다. 참고로 2016년 올해는 브래드 피트였다)한다. 이때부터 정확히 24시간을 잰다. 롤렉스 협찬 시계로 (2016년 올해는 악천후로 출발부터 세이프티 카 상황이 52분 연속으로 계속된 이례적인 일이 있었다)[10] 경기가 24시간 동안 쉼없이 계속되기 때문에 드라이버와 피트크루들의 고초가 상당하다. 경기 시작 후 다음날 아침이 되면 6~7 시간 정도 남은 상태인데 이때 카메라가 피트를 비추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각양각색의 포즈로 곯아떨어진 드라이버와 피트크루들의 모습은 안타까울 정도. 관람객들도 피곤하긴 마찬가지라 서킷 곳곳에서 꾸벅꾸벅 졸고 있는 관람객들의 모습도 보인다. 아침~정오 즈음에서 슬슬 각 클래스의 우승자의 윤곽이 드러난다.(하지만 경기 종료 직전 고장이나 사고로 반전이 일어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할 2016년 경기가 그 좋은 예다) 그리하여 경기 종료가 임박하면 파이널 랩이 끝나는 순간 레이스 책임자가 체커기를 흔들며 경기가 종료된다. 그리고 포디움 세리머니와 함께 우승팀은 기쁨을 만끽한다.

7 한국에서의 시청방법

한국에서 르망 24시 경기를 볼 수 있는 방법은, TV로는 SK B TV와 스카이라이프, 모바일로는 Oksusu(구 BTV 모바일) 에서 유로스포츠채널로 시청가능하고, 주최측에서 라이브스트림권을 구매해서 보는 방법[11], 그리고 각 자동차 회사(특히 아우디)에서 제공하는 라이브스트림 영상을 보는 방법 등이 있다. 주최측 라이브스트림권의 경우에는 적당한 해설(당연히 영어)와 하이라이트 장면 등 중계 풀 버전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돈이 들고 , 자동차회사 라이브스트림 권의 경우에는 무료고 간편하게 볼 수 있지만 자사 자동차만 끊임없이 봐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8 사고

1955년 대회에서는 메르세데스-벤츠 소속의 피에르 르벡[12]이 몰던 차량이 추돌 후 관중석을 덮쳐 폭발, 르벡과 관중 83명이 숨지고 120여명이 중상을 입는 대형 참사가 발생했다. 1950년대에 벌어진 사고라고는 상상하기 힘든 규모. 이 사고의 충격으로 메르세데스-벤츠는 즉각 모든 모터 스포츠에서 철수하고 그 뒤1980년대가 되어서야 모터 스포츠에 다시 발을 들일 수 있었다. 이 사고는 모터 스포츠 역사상 최악의 참사 가운데 하나로 남아 있다.

또한 2013년 경기에서는 GTE AM 클래스의 애스턴 마틴 레이싱 팀의 알란 시몬센이 사고로 사망했다.

또한 2014년 르망시리즈 퀄리파잉 중에 아우디 R18 E-Tron Quattro 1번차량을 몰던 로익 듀발이 큰 사고가 발생해 병원에 실려갔었으나 큰 부상없이 몇주간의 휴식 후에 르망24시 경기 바로 다음 경기에 참여하게 되었다. 참고로 2011년에는 앨런 맥니시가 타고 있던 아우디 R18이 경기 초반에 엄청난 사고를 일으켰는데 차는 콕핏을 제외하고 완전히 박살이 났는데도 무사했다.[13]

9 기록

역대 최다 우승 회사는 포르쉐. 18번이나 우승했으며[14], 황금기라 불리우는 7~80년대에 아예 우승컵을 쓸고 다녔다. 게다가 1971년포르쉐 917K가 세운 총 주행거리 5335.313km(397랩)의 경우는 2010년에 들어서야 아우디에 의해 깨졌다. 흠좀무...[15] 이렇게만 놓고 보면 그렇게 수십년 동안 기술 발전이 없었나 하고 생각하기 쉽지만 두 가지를 감안해야 한다.

  • 하나, 1971년 레이스 당시의 서킷 레이아웃은 현재와 매우 다르다. 이때는 뮬산느 스트레이트가 쭉 뻗은 직선주로였지만 지금은 2군데의 시케인이 존재한다. 게다가 1971년도 서킷 레이아웃이 주행거리가 200m 정도 짧다.
  • 둘, 시간이 갈수록 FIA는 최상위 경주 차량들에 다양한 규제를 건다. 70~80년대의 모터스포츠가 워낙에 목숨은 내다버리는 것이라는 기조를 깔고 속도에 목숨을 걸다가 많은 레이서들을 죽이면서 많은 비판을 받았고, 여기에 2000년대 들어서는 친환경 기술까지 강요받는 판이라, 오늘날의 르망 프로토타입들은 70년대처럼 크고 아름다운 엔진을 달지 못한다. 포르쉐의 2000cc 4기통 엔진, 3700cc 6기통 디젤 엔진[16]을 단 아우디 R18이 5리터 12기통 가솔린 터보 엔진을 단 917과 비슷한 기록을 내거나 넘본다는건 그간의 놀라운 기술 발전을 암시한다.

일본의 마쯔다는 1991년 이 경주에서 반켈 엔진(로터리 엔진)을 얹은 787B라는 경주차로 참전해서 우승, 현재까지 실린더가 없는 모델로서는 유일한 우승기록을 가지고 있다.[17][18]

9.1 2012년

2012년 대회에서는 드디어 하이브리드 LMP1 차량들이 투입되었다. 디젤 하이브리드인 아우디 R18 E-Tron Quattro 2대가 출전[19], 동시에 토요타도 가솔린 하이브리드 TS030을 2대 출전시켰다. 레이스 초반에 토요타가 아우디를 턱밑까지 바짝 쫒았고 이 와중에 토요타 재킨 넘버 7이 경기 시작 5시간여만에 아우디를 추월하며 1등으로 올라섰으나 직후 토요타 재킨 넘버 8이(당시 드라이버 알렉산더 데이비슨) 뮬산느 스트레이트 출구 코너에서 GTE클래스의 페라리 458과 사이드 바이 사이드로 접촉, 균형을 잃으며 한바퀴 공중제비를 돌고 타이어 방호벽에 충돌, 리타이어한다.[20]

이 사고로 인해 세이프티 카 상황이 발령되었고 이때 토요타는 피트스탑하며 드라이버를 카즈키 나카지마로 교체하지만 선두는 다시 아우디로 바뀌었으며 세이프티 카 상황이 해제되자 도요타 앞에는 몇랩 뒤쳐진 아우디 재킨 넘버 3을 포함한 다수의 LMP2, GTE 차량들이 가로막고 있었다.[21] 르망 레이스 경험이 없는 카즈키 나카지마는[22] 아우디 차량을 추월하는데 집중하며 과도한 공격성을 발휘하다 코너에서 LMP2 클래스의 닛산 델타윙을 차량 후미로 접촉, 델타윙은 그대로 코스 아웃하며 리타이어했고 TS030도 섀시에 입은 데미지로 피트인했으나 프론트 서스펜션의 트러블로 리타이어할 수 밖에 없었다. 불쌍하다ㅠㅠ [23]12년도 르망 24시 민폐상을 가상으로 정한다면 토요타 #7과 사고낸 페라리 458 GTE 가 아니라 델타윙과 사고낸 토요타 #8의 카즈키 나카지마가 수상할것이다. [24]. 당적수가 없어진 아우디 R18 E-Tron Quattro는 하이브리드 차량 사상 최초 투입에서 두대가 원투 피니시를 장식[25]하며 르망 역사에 길이 남을 기록을 세웠다.

9.2 2014년

2014년도 르망24시에는 1000마력이라는 엄청난 출력을 앞세워 닛산이 아우디를 무너뜨릴 했다. #7이 문제 없이 잘 나가다가...현지시각으로 자정이 지나서 얼마 안가 엔진 블로우로 인한 화재로 아쉽게 리터이어했고, #8도 레이스 초반 아우디 #3번차량, GTE 클래스 차량 몇대와 빗길 속에서 사고가 나서 수리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으나, 엄청난 페이스로 치고 올라와서 최종 결과는..3위!

9.3 2015년

2015년 포르쉐 #19번 차량은 총 395랩을 주행했다[26]. 이해 르망 24시에는 어느 사고구간에서 옐로우 플래그 발동 시 그 구간들의 최고 속도가 80km/h로 제한되는 제도가 생겼다. 이는 현재 포뮬러 원의 버츄얼 세이프티 카와 비슷한 제도이며, 상당히 좋은 제도라는 평을 받고 있다. 15년도 르망 24시에는 이런 상황이 최소 5번이상 발동되었으며 2번만 덜 발동되었으면 전대미문의 르망 24시간 내구 레이스 최초 400랩 완주라는 기록을 세울 수도 있었다!

그리고 2015년에 닛산에서 르망을 넘어 모터스포츠 사상 아주 특이한 르망 프로토타입 차량을 가져왔다. GT-R LM은 다른 프로토타입 차량들은 뒷바퀴 굴림을 쓰는데 반해 이 차는 앞바퀴 굴림을 채용했는데. 500마력을 내는 VRX30A 3.0리터 V6 엔진과 구동모터를 앞에 두고, 엔진의 힘을 저장하는 베터리는 뒤에 두는 형식으로 배치를 했다. 이는 일반 자동차 상식으로는 앞바퀴로 쏠리는 구동력과 무게로 인해 뒷바퀴의 접지력이 떨어져 FR보다 운동성능이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 차량은 역으로 앞부분을 무겁게 하고 앞 타이어를 두꺼운걸로 배치해 오버스티어보다 다루기 쉬운 언더스티어를 나오게 했다. 이 외에 닛산이 FF 레이아웃의 GT-R LM을 투입[27]하였다.

그러나 닛산의 2015년 시도는 참담하였는데, LMP2만도 못한 랩타임과 화재로 대굴욕을 받았다. 심지어 LM GTE 클래스와 랩 타임이 거의 같은 또다른 대 굴욕을 당했다.. 더 치욕적인 사실은 완주한 #21번 차량의 최종 랩 주행 성공 수가 270랩 정도인데.. 문제는 이 270랩은 우승한 포르쉐 919 하이브리드 #19번 차량의 주행 랩 수의 70%가 안 되는 랩 수였고, 결론적으로 완주로 인정받지 못했다!!! 이것이야말로 1200마력 오버 FF 2MJ(이번 르망 출전 차량에서 논-하이브리드 LMP1 차량을 제외하고 하이브리드 모터 출력이 제일 낮다.) 하이브리드 닛산 GT-R LM NISMO의 르망 24시 최대 치욕이다. 결국 닛산은 2015년 한 해만 WEC에 출전하고 철수를 해버렸는데, GT-R LM은 두말할 것도 없는 최악의 뻘짓이라는 오명만 남겼다. 그리고 토요타는 퍼포먼스가 저조하진 않았지만 포르쉐와 아우디가 더 빨라진게 문제였다.

9.4 2016년

최근 들어 가장 드라마틱한 경기. LMP1에서는 작년의 부진한 성직을 만회하기 위해 새로 투입된 토요타 TS050가 거의 본선 내내 1위와 3위를 지키고 있었으며, 그동안 토요타가 줄기차게 도전했음에도 불구하고 르망24시에서 하지 못했던 우승을 드디어 거머쥔다는 사실에 다들 흥분을 감추지 못하였다. 반면 작년 우승팀 포르쉐 919 하이브리드는 예선에서 1,2위를 차지했음에도 불구하고 1번 차량은 멀찌감치 우승경쟁에서 밀려있었고, 그나마 2번만이 도요타 두대 사이에 낑겨 고군분투 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선이 끝나기 단 5분전에 TS050가 갑자기 출력이 반토막이 되었고 [28] 30초 뒤에 있던 포르쉐가 맹렬히 추격하기 시작하였다. 기어이 TS050은 차가 트랙에 멈춰버렸고(!), 919 하이브리드 2번은 기적과도 같은 행운을 거머쥐고 2년 연속 우승할수 있었다. 이 상황을 지켜본 중계진과 팬들은 어안이 벙벙하였고, 우승을 자신하였던 토요타는 줄초상집, 그리고 포르쉐팀은 대 환호하였다. GTE Pro에서는 오랜만에 출전하는 포드 GT팀이 페라리, 애스턴 마틴을 누르고 1,3등을 차지하는 놀라운 스토리를 보여줬지만... LMP1 클래스의 임팩트가 너무나도 컸다. 마침 2016년 르망 24시가 끝난 뒤 포뮬러 1 유럽 GP가 열렸는데 극적이었던 르망의 레이스 결과와는 달리 니코 로즈버그가 처음부터 끝까지 독주하는 노잼 레이스가 펼쳐져 비교가 많이 되었다.

10 트리비아

  • 08년도 세브링 12시간 내구 레이스에서는 포르쉐가 아우디를 제치고 우승(!)했다!!! [29] 사실 05년부터 포르쉐는 RS 스파이더로 ALMS에 참가했고 레이스 우승은 06년부터 거두기 시작했다. 07년부터는 어큐라의 ARX-01이라는 경쟁자를 만나게 되어 치열한 대결을 펼쳤으나, 어큐라 팀의 운영 전략 (피트스탑 등등)실패, RS스파이더의 우월함 등등... 거둬들인 우승 횟수는 05~08년까지 출전한 RS스파이더가 많다. 이건 그냥 포르쉐가 외계인을 많이 고문해서 그렇다
  • 국내 자동차업체중에서는 쌍용이 프로토타입 모델로 출전한 적이 있다고 하나 사실무근. 경주차는 만들었으나 테스트 목적으로 일본 레이스에 참가한 것 이외에는 경영사정 악화로 모두 백지화. 그 외에는 한국타이어가 메인 스폰서였던 팀이 참가하여 우승한 적이 있다. 당시 차량은 포르쉐 카이만 베이스의 GT카.
  • 유명한 레이싱 대회이다보니 1976년에 아타리에서 만든 아케이드 게임을 시작으로 수많은 작품이 만들어졌다. 물론 아케이드에서는 코스만 재현을 하거나 시간을 압축하여 가상의 24시간이라는 설정으로 하는 정도가 한계였으나, 가정용 게임기의 보급에 힘입어 실제와 같은 24시간 레이스를 즐길 수 있는 게임도 생겨났다. 최근의 작품이라면 그란 투리스모 시리즈에 4편부터 내구레이스 부문에 르망24시가 수록되어 있다. 리얼하게 체험해보고 싶은 사람은 친구 2명을 불러서 합숙플레이를 해보도록 하자.

11 역대 최고의 차량들

BBC 톱 기어에서 선정한 르망 역대 최고의 출전 차량들이다.

1923 Chenard & Walcker Sport. 첫 르망 24시에서 우승한 차량이다. 98마력에 시속 110km의 최고속도를 지녔다. 프랑스인 레이서 두명이서 번갈아가면서 운전했다.


벤틀리 스피드 식스. 1929년, 1930년에 르망을 연속으로 우승했다. 벤틀리를 세계에 알리는데 큰 기여를 했다. 그리고 10년 후 8리터라는 대배기량 최고급 차량을 내놓았다가 망해서 롤스로이스로 넘어갔다. 6.5리터 직렬 6기통에 200마력을 발휘했다.


알파 로메오 8C 2300 LM. 1931~1934년까지 연속 우승한 차다. 최고속도가 시속 198km로 당시 르망에서 압도적인 차량이었다.


Chenard & Walcker Tank. 1.0리터 4기통 엔진을 장착했다. 1925년에 우승은 커녕 10등으로 완주만 했으나 독특한 모양과 탱크라는 이름이 이차를 유명하게 만들었다.


페라리 166 mm. 밀레 밀리아에 출전하기 위해 제작한 차를 전후 처음 개최된 1949년 르망에 출전시켜 우승했다. 2리터 V12 엔진에 140마력.


재규어 D타입. 르망에서 1955년부터 1957년까지 3번 연속 우승한 차이다. 공기저항을 줄이면서 250마력 6기통 엔진을 장착해 최고 시속 260km에 디스크 브레이크까지 장착했다. 참고로 엔초 페라리가 이차를 보고 가장 섹시한 차라고 칭찬하기도 했다.


페라리 250 테스타로사. 1958, 1960, 1961년에 르망에서 우승했다. V12엔진에 290마력을 발휘했다. 재규어 D 타입의 라이벌이었으나 결국 이기지는 못했다. 그래도 3번 우승했다. 그리고 50여년 후 경매 가격을 갱신했다.


포드 GT40 MkII. 1966년에서 1969년까지 르망에서 우승하였다. 페라리를 이기려 만든 일화로 유명하다. 7리터 V8으로 485마력 320km/h을 발휘했다.


포르쉐 917K. 포르쉐가 1969년부터 출전시켜 1970, 1971년 르망에 우승한 차이다. 수평대향 12기통 엔진으로 630마력, 최고속도 시속 364km을 발휘했다. 재미있는 일화가 있는데 1969년에 2등보다 8랩이나 앞서고 있을때 변속기 고장으로 리타이어 했는데 당시 운전하던 드라이버는 슬프기는 커녕 기뻤다고. 차량 에어로를 세팅할때 290km 이상은 가지 않아서 320km 이상으로 달리면 갖가지 문제가 다 뛰어나왔다고. 심한 언더스티어, 오버스티어, 차량 벨런스, 다운포스 모두 최악이라서 죽을것 같았다고(...). 이후 후방 에어로를 더 휘게해서 다운포스를 늘리자 속도가 30km 줄었으나 운전하기 훨씬 편해젔다고 한다.


메트라 MS670C. 프랑스 레이싱카 전문화사 메트라에서 제작한 차이다. 1972년 337랩 완주후 우승했다.


르노 알핀 A442. 2.0 V6 터보 엔진으로 500마력을 발휘해 1978년 첫 출전 2년 만에 르망에서 우승하였다.


론듀 M379. 장 론듀가 개인 출전해서 이차로 1980년에 우승했다. 자기 집 마당에서 제작해서?!코스워트 DFV V8엔진으로 사상 최초로 개인 출전자가 르망에서 우승했다.


포르쉐 956. 1982년부터 1985년까지 우승한 차량이다. 2.6리터 6기통 수평대향 터보엔진에 630마력, 최고속도 시속 380km의 괴물이다. 또 뮬산 스트레이트에 시케인이 생기기 전 경주했기에 5단 기어의 스트레스가 심했다.


메르세데스-벤츠 자우버 C9.[30] 1989년 르망에서 우승한 그룹 C 차량이다. 벤츠가 1955년 대참사 이후 르망에 복귀해서 처음 우승한 차기도 하다. 5리터 V8 바이터보에 보쉬 모트로닉 풀 인젝터로 720마력으로 뮬산에서 시속 400km(!)로 달려 최고속도 기록을 세웠다. 그래서 1990년부터는 뮬산에 시케인 2개가 생겼다.


1991년의 마쯔다 787B. 현재까지 일본메이커 유일이며 로터리엔진으로 유일하게 르망에서 우승한 차. 당시 마쯔다를 끝까지 운전한 조니 헐버트는 너무 기쁜 나머지 실신해버려 시상식에 못나갔다 (...). 르망에 관심없던 일본 방송국도 마쯔다가 리드를 한 시점에서 일반 프로그램 종료후 생방송으로 우승을 중계했다. 일본제 차중에는 유일하게 우승해서 2016년 토요타가 4분을 남겨두고 고장나자 일본사람들에게 마쯔다와 비교당하면서 까였다.


재규어 XJR-12. 1990년 르망에서 우승했다. 7리터에 730마력을 발휘한다.


푸조 905B EVO1B. 푸조가 1992, 1993년에 출전하여 우승한 차다. V10에 650마력을 발휘한다.


포르쉐 911 GT1. 포르쉐가 1998년 출전하여 우승한 차이다. 6기통 수평대향 바이터보 엔진에 550마력을 발휘한다. 호몰로게이션 모델도 만들어졌다.


아우디 R8. 2000년 부터 2003년을 제외한 2005년까지 우승한 차량이다. 3.6리터 바이터보에 610마력이다. 후일 나온 람보르기니 가야르도 기반의 슈퍼카 R8과는 다르다.


푸조 908 HDi FAB. 5.5리터 V12 디젤엔진에 740마력으로 2009년에 우승해 마지막 우승으로부터 16년만에 다시 우승했다.

아우디 R18 E-Tron Quattro. 2011년 부터 2014년까지 우승한 차이며 현재는 R18 RP6가 출전하고 있다. 3.7리터 V6 바이터보 디젤엔진에 전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며 총 818마력에 시속 340km의 속도를 가졌다.
  1. 포드 GT가 우승을 차지하긴 했으나, 포드와 페라리측의 공방으로 포드는 70초의 패널티(슬로우 존 50초 + 휠센서 문제 20초), 페라리는 20초의 패널티+5000유로의 벌금(오렌지 볼기 어김) 경주 후 부과되었다. 순위 변동은 없음
  2. 보통 하이브리드 클래스의 랩타입은 3분 20-30초대가 나온다. 무등급 클래스는 랩타입 3분 30-40초대가 나온다.
  3. 911 RSR만 해당한다. 콜벳 C7R, 페라리 458 or 488 GTE, 포드GT는 레드라인 6500~7000 사이이다.
  4. 당장 2014년의 포르쉐나 2015년의 닛산 LMP1을 생각해보면 알 수 있다.
  5. 이게 어느 정도냐면 게임에서 흉내나마 내고 있는 대표적인 시뮬레이터 게임인 PS3그란 투리스모 시리즈 6으로 사르트 서킷을 돌아보면 욕 나올 정도로 핸들이 덜덜 거려서 한바퀴 돌기도 매우 어려울 정도이다. 핸들 놓는 순간 요단강 익스프레스 확정. 그만큼 도로가 개판인데다 쉴새없이 덜커덩 거리는 노면 때문에 흔들려서 시야 잡기도 힘든데 현실은 여기다가 횡, 종G는 물론이요 어마무시한 운동 신경을 필요로 한다. 체력은 물론이고.
  6. 이전 버전의 이 문서에는 360km로 넘는 속도로 풀 브레이킹을 하고 헤어핀을 80km로 빠져나간다는 설명이 되어 있었다. 이 구간은 사실 현재 기준 330km정도로 달리다가 LMP1 기준 90km대 속도로 빠져나가는 코너, 340km으로 달리다가 110~120km정도로 감속해서 좌회전하고, 190km근처까지 가속하다가 70km대의 속도로 빠져나오는 코너에 해당한다.
  7. 2011년 시즌 이후로 회사 경영난으로 철수, 이후 토요타가 팀인력을 인수함
  8. 그런데 드라이버들 말에 의하면 무지막지한 토크로 인해 토크스티어링이 심한 나머지 컨트롤이 매우 어렵다고 한다. 일반 시판차량을 예로 들어본다면 같은 3리터 V6 직분사 엔진 기준으로... 250 마력이 나온다고 가정하면 가솔린 직분사 엔진의 토크가 보통 20~30kg/m 정도 하는데 디젤 직분사 VGT+CRDI등등 여러 기술이 적용된 디젤엔진의 경우 40을 넘어가는(!) 경우가 있다.
  9. 개선이 아닌 껍데기를 제외하고 완전히 싹 다 갈아 엎었다.
  10. 세이프티 카 상황이 해제되자 중계진들은 "올해 경기는 르망24시가 아니라 르망23시가 됐네요 하면서 비꼬기도 하였다.
  11. 주최측의 무료 라이브스트림 영상은 레이스 영상 아주 조금과 대회에 관한 인터뷰 대부분(그마저도 로테이션)인지라 경기를 위해서라면 볼 가치가 없다.
  12. 르망24시 최고의 용자로 꼽히던 사람 중 한 명으로 르망24시 1인주행 우승 이라는 전대미문의 기록의 문턱까지 갔던 경력을 가지고 있다. 1952년 대회 당시 약 23시간 정도 달린 시점에서 피로로 인해 기어변속에서 실수를 하여 리타이어 했는데, 리타이어 시점에서 순위는 1위였고 2위와 4바퀴 차이였다. 현재는 선수의 안전을 생각하여 규정상 1인주행은 절대 불가능해졌다.
  13. 앨런 맥니시의 추월 욕심으로 불러일으킨 사고
  14. 2016년 기준으로 아우디가 13회 우승으로 2위. 아직 멀었다(...)게다가 2015년에 이어 2016년에도 포르쉐가 우승함으로서 점점 멀어져가고 있다(...)게다가 이제 르망에서 철수하면서 더 벌어질 것이다(...)
  15. 71년에 917LH가 세운 뮬산느 스트레이트에서 세운 최고속도 394km/h는 1989년 자우버 C9에 의해 깨진다(398km/h).
  16. 2014년식부터의 R18 E-Tron Quattro는 4000cc로 배기량을 늘린 6기통 디젤 엔진을 사용한다!
  17. 1992년 르망 24시간 이후 로터리 엔진의 출전이 금지됨에 따라 로터리 엔진으로는 최초이자 최후의 우승 기록이 되었다. 참고로 일본차로도 유일한 최고 클래스 우승이고, 일본쪽에서는 로터리 엔진 사용금지조치가 일본차의 우승을 시기한 보복조치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단 그 해의 레이스는 푸조의 워크스팀은 아예 참전하지 않은 상태였으며 그룹 C의 규정변경으로 모든 엔진이 F1과 동일한 3.5리터 V12로 전환이 예정되어 있던 해라는 것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18. 참고로 1992년에는 MXR-01이라는 경주차로 4위했다. 요때의 엔진은 V10 3.5리터 엔진이었고 2위차는 아이러니하게도 토요타의 TS010이었다.
  19. 아우디는 R18 E-Tron Quattro 2대 외에 TDI엔진을 탑재한 R18 울트라도 2대 출전 도합 4대를 출격시켰다.
  20. 다행히 두 차량의 드라이버는 무사했다.
  21. 르망은 여러 클래스가 한번에 뭉쳐 달리기 때문에 대열이 길어 세이프티 카도 두세대가 대열을 나눠서 선도하며, 이때 각 클래스의 차량들이 뒤섞인채로 정렬하기 마련이다. 경기가 재개되면 빠른 LMP1 차량들은 느린 LMP2와 GTE 클래스 차량과의 접촉을 피하면서 트래픽을 헤쳐 나가는 것이 관건이다.
  22. 실제로 슈퍼 포뮬러에서 활동하다가 12년도부터 최초 참가했다.
  23. 사고 후 드라이버가 어떻게든 머신을 살려내려고 안전구역에서 노력을 했는데... 결국 리타이어했다. 이후 델타윙은.. 프랙티스 세션에서 롤링 크래쉬를 당했고, 12년도를 끝으로 닛산이 델타윙 프로젝트에서 철수, 13년도부터 델타윙은 마쯔다의 1.8리터 엘란 엔진을 얹고있다.
  24. 실제로 이 당시 나카지마의 무리한 추월시도를 보고 나까지마 라고 비웃는 사람들이 나름 있었고... 이후 르망 본선에서는 큰 사고를 내진 않았으나 여전히 카즈키 나카지마를 나까지마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여전히 존재한다.
  25. 3위도 아우디 R18 울트라가 차지하며 또 포디움을 아우디가 죄다 먹었다.
  26. SC상황이 1번만 덜 있었어도 최소 397랩으로 2010년 아우디가 세운 기록과 동률을 이룰 수 있었다
  27. 과거에 파노즈에서 비슷한 레이스카가 있었다. 그 레이스카의 이름은 파노즈 GTR-1이다.
  28. 팀보이스 라디오로 드라이버인 나카지마가 "I Have No Power!"를 외쳤다. 지못미...
  29. 쉽게 말하면 LMP2 클래스의 포르쉐 RS 스파이더가 LMP1 클래스의 아우디 R10 TDI를 누르는 하극상이 펼쳐진 것이다. 외계인 고문의 힘
  30. 현재 F1 에서 활동하는 자우버팀이 이전에는 그룹 C에서 벤츠와 합작해서 활약해서 우승한 차량이 이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