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콜린스

1 아일랜드의 독립운동가


마이클 콜린스의 흉상.
Michael_Collins_1922.jpg

아일랜드 공화국 독립의 영웅.

마이클 존 콜린스(Michael John Collins). 아일랜드어[1]로는 미할 온 오 켈란(Mícheál Eoin Ó Coileáin).

1890년 10월 16일 출생하여, 1922년 8월 22일 사망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단체[2]IRA의 창시자이다. IRA란 'Irish Republican Army : 아일랜드 공화국군'의 약자이며, 북아일랜드 분쟁에서 주요 무장 단체 중 하나인 IRA의 효시가 되는 단체이기도 하다.

1916년 영국의 지배에 대항하여 들고 일어난 부활절 봉기를 주도한 지도자 중 한 명으로, 대부분의 주동자가 처형당했지만 에이먼 데 발레라와 함께 천운으로 살아 남을 수 있었다.[3]

다른 신페인 당(Sinn Féin)[4]의 주요 간부와 마찬가지로, 1918년 있었던 영국 하원 아일랜드 대표의회의 의원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며, 이듬해인 1919년 이몬 데 발레라(Éamon de Valera)를 대통령으로 하는 아일랜드 국민의회(Dáil Éireann)의 결성 멤버가 되었다.

1919년 여름 마이클 콜린스는 아일랜드 공화동맹의 단장으로 추대되었고, 9월에는 아일랜드 공화국군 정보부장으로서 IRA 사실상의 중요 지도자로 활약하게 되었다. 또한 대통령인 데 발레라에 의해 재무장관직도 맡게 되었다.

마이클 콜린스가 이끄는 IRA의 전략은 게릴라전 및 주요 요인의 암살 및 테러였다.[5] 그는 영국의 주요 인사에 대한 암살을 노리는 특수부대를 창설하였으며, 미국 등에 이주한 아일랜드인을 중심으로 일종의 애국 공채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였다. 또한 주로 외교 활동을 독립 수단으로 삼은 대통령 데 발레라의 부재시 사실상 아일랜드 국민의회를 이끌기도 하였다. 이 때문에 그는 자신의 위치를 위협한다고 생각한 데 발레라에게 끊임없는 견제를 받아야만 했으며, 둘의 사이는 좋지 못했다.

1921년 영국-아일랜드 전쟁의 휴전 후 협상에서 데 발레라는 마이클 콜린스를 대표로 내세웠다. 이유는 당시 영국 국왕 조지 5세가 회담에 참석하지 않는데, 그와 동급인 대통령인 자신이 참석할 수는 없다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아일랜드측에서는 마이클 콜린스와 아서 그리피스를 중심으로 한 대표단이 협상에 참여하게 되며[6], 1921년 12월 6일 최종적으로 협상안이 체결되었다. 이 협상안은 아일랜드 국민의회에 의해 최종적으로 비준되어 아일랜드 자유국(Irish Free State, Saorstát Éireann)이 탄생하게 되었으나,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으며, 이 협상안에 반대하여 대통령 데 발레라가 대통령직을 사임하였으며, 당시 IRA 대원의 70%가 이 조약에 반대하여 아일랜드 자유국 정부군에 대해 다시 게릴라전을 일으키게 되었다.

조약의 주요 내용중 문제가 된 것은 영국군은 얼스터 지방의 6개 카운티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철수하나, 아일랜드는 대영 제국의 자치령으로 남으며, 아일랜드 의회 의원들은 영국과 국왕에게 충성 서약을 해야 한다는 등의 내용이었다. 현재로서는 이 조약은 당시 아일랜드의 입장에서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며, 후에 완전히 독립된 아일랜드 공화국의 대통령이 된 데 발레라도 "당시로서는 가장 현실적인 선택이었으며, 나는 틀렸고, 콜린스가 옳았다"고 고백하기도 했다.

그러나 생각하기에 따라서는 사실 누가 절대적으로 옳고 누가 틀렸다고 하기는 힘든 측면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만약 독립운동의 결과 일본과 협상하여 나온 협상안에 '일본 제국의 자치령으로 남으며, 조선 의회 의원들은 일본 천황에게 충성을 맹세한다', 또한 일본인 거주구는 일본 직할령으로 남는다 등과 같은 조항이 있었다면...글쎄. 또한 이 조약은 결국 아일랜드의 남북 분단을 영구화한 조약이 되기도 했다.[7]

물론 당시 콜린스도 좋아서 이런 협상안에 서명한 것은 아니었으며, 그가 데 발레라를 비롯한 조약 반대파 의회 의원들을 설득할때 한 말도 이 조약을 발판으로 더 완전한 독립을 이룩하자는 식의 점진론적 관점에서의 찬성이었다. 1차대전으로 영국이 국력을 크게 소진하고 경제난으로 휘청거리고 있었던 덕이 컸지만, 제국주의가 굳건했던 당시에 IRA가 이정도 자치권을 얻어낸 것도 놀라운 성과였다.

일각에서는 당시 영국IRA의 게릴라전과 연이은 영국군 간부, 정치인 저격 암살에 당황하여 IRA 병력과 무장 수준을 실제보다 훨씬 과대평가해서 상당한 양보를 했다는 설도 있다. 이처럼 비정규전 게릴라전에서 마이클 콜린스의 군사 지휘력은 상당한 수준으로, 일부에서 현대 게릴라전의 선구자라고 찬양받기도 했다. 그러나 장기적인 동원력 군사력으로 따지면 당시 아일랜드는 현실적으로나 잠재적으로나 도저히 영국의 상대가 되지 못했다.[8] IRA의 사실상 지도자였던 마이클 콜린스가 당시 한계에 다다른 IRA 조직의 상황을 알고 현실적인 선택을 했다는 게 가장 일반적인 평가이다.

이리하여 아일랜드 자유국이 성립되었으며, 사임한 데 발레라의 뒤를 이어 아서 그리피스가 대통령으로, 마이클 콜린스는 총리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데 발레라와 로리 오 코너등의 강경파는 그들을 따르는 IRA 조직과 함께 아일랜드 자유국을 부정하였고 이를 타도하기 위한 무장 투쟁에 돌입했으며, 아일랜드 자유국 또한 이들을 토벌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하였다. 이리하여 아일랜드 내전이 발생하게 되었다. 콜린스는 전쟁을 끝내려고 영국과의 협상안의 체결로 인해 IRA 강경파들에게 배신자로 주요 타깃이 되었으며, 결국 1922년 8월 22일 매복하고 있던 IRA 단원의 총격에 의해 살해당했다.

마이클 콜린스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이나, 너무나도 극과 극의 평가를 달리는 인물이다. 아일랜드 공화국에서 콜린스에 대한 의견은 이견이 많으나, 대체적으로는 독립의 아버지, 독립운동가로서 추앙을 받고 있다. 그러나 북아일랜드 지방, 특히 현 IRA 조직[9]을 중심으로 한 북아일랜드 가톨릭 교도들에게 마이클 콜린스는 배신자이자 영구 분단의 원흉으로 지탄받기도 한다. 제4차 중동전쟁을 일으켜 이스라엘에 맞서 싸우고, 이후 이스라엘과 화친하여 잃었던 국토를 되찾았지만, 과격파들에 의하여 암살당한 고 안와르 사다트 이집트 대통령과 어느정도 비슷한 인물.

1996년 워너브라더스에 의해 리엄 니슨이 주인공 마이클 콜린스 역을 맡아 그의 일대기를 그린 동명 영화가 제작되었다. 이 영화는 동년 제 53회 베네치아국제영화제 황금사자상을 수상하였다. 북아일랜드 출신인 리엄 니슨은 대학생들과의 대담에서, 자신이 찍은 영화 중 가장 명예로운 배역이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영국에서는 '살인마를 영웅시했다' '중대한 역사 왜곡'이라는 등의 주장으로 상영금지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러는 건 일제강점기를 다룬 미디어에 대해 일본이 대하는 태도랑 정말 비슷하다. 하지만 영국이 아일랜드를 식민지배하지 않았으면 마이클 콜린스가 테러와 암살을 저지를 필요도 없었다.

같은 아일랜드 독립전쟁 및 아일랜드 내전 시기를 다루는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에도 이름만이지만 언급이 된다. 그만큼 아일랜드 독립사에서 그의 존재는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영화에서 당시 그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를 모두 살펴볼 수 있다. 강화조약 찬성파인 등장인물은 '영웅'으로 치켜세우지만, 강화조약 반대파 측의 등장인물은 '영국의 향응에 놀아났다' '배신자'라는 식으로 매도한다.

2 미국의 우주비행사


Michael Collins (1930- )

아폴로 계획의 궁극적인 목표인 달 착륙을 이룬 아폴로 11호에 탑승한 3명의 우주비행사 중 한 사람이지만, 불행히도 그는 달에 내리지 못했다. 그는 사령선 조종사였기에 닐 암스트롱버즈 올드린이 달에 착륙하는 동안 자리를 비울 수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폴로 계획에서는 대체로 사령선 조종사 자리에 베테랑을 배치하려는 경향이 있었던 것을 생각하면 능력이 딸려서 달에 착륙하지 못한 것이 절대 아니다. 원래 그는 제미니 10호에서 EVA도 수행하는등 실력과 경험을 겸비했지만, 원래 정규팀원이었던 아폴로 8호 사령선 조종사 보직이 때아닌 척추 수술 크리[10]짐 러블[11]에게 돌아가면서 콜린스는 8호 미션에서는 캡콤으로 근무한 뒤 11호 정규 사령선 조종사로 옮겼고, 연쇄적으로 사령선 조종사였던 올드린이 달 착륙선 조종사로, 원래 그 자리였던 프레드 헤이즈는 백업으로 밀렸다.

달까지 가고도 착륙하지 못했기에 많은 이들이 아쉬워했지만, 본인은 그리 개의치 않았다고 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얘기는 마이클 콜린스의 에세이인 <플라이 투 더 문>을 읽어보면 좋다. 20세기 소년에서도 언급이 된다 올드린도 어차피 사람들이 기억하지 않으니까[12]

그가 현재까지 인지도가 있는 이유는 바로 위 사진 때문이다. 해당 사진 구도에는 달 표면으로 향하는 닐과 버즈, 그리고 살아있는 인류와 구성 원자로 분해되어 자연으로 돌아간 죽은 인류가 모두 담겨 있다. 사진을 찍은 마이클 콜린스 본인만 제외하고 말이다.그리고 지구 반대편에 있는 사람들도 이 사진은 우주 공간에 혼자 남겨진 인물의 고독을 단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유명하다. 각종 초중고 교과서나 전공서적, 여러 매체에서 자주 우려먹히는 NASA의 리즈시절 갤러리에서도 손에 꼽히는 명작 중의 명작.[13]

이후 NASA의 우주 미션 교대 순번[14]상 11호의 사령선 조종사는 17호의 사령관으로 갈 수 있었음에도 사양하고 공군으로 복귀하였다. 콜린스는 베테랑 조종사로서 여러 작전에 참여했던 경력 덕에 중령 대령 시절을 NASA에서 보냈음에도 준장까지 진급했고[15] 예편한 뒤에는 아폴로 11호의 동료들과 함께 홍보 활동이나 강연을 다니다가 예비역 소장으로 특진하기도 했다.

아폴로 계획을 다룬 드라마 지구에서 달까지에서는 캐리 엘위스가 연기했다. 프랭크 보먼아폴로 8호 팀이 달 궤도를 처음 비행할 때 캡콤으로 초조하게 승무원들의 연락을 기다리는 모습이 묘사되며, 보먼이 암스트롱과 올드린과 술을 먹으면서 나중에 너네 달에 착륙했을 때 뭔 명언을 남겨보시겠냐며 생각해두라고 할 때 옆에서 당구 한 판 하면서 "뭐야 저거! 으아아아악! 비명 지르고 통신 꺼봐ㅋㅋㅋ"라는 명대사(?)를 남겼다.

삼촌이 미 육군참모총장을 지낸 로턴 콜린스 장군이다. 군인 집안이었던지라 어머니의 만류에도 미국육군사관학교에 진학하였다고. 다만 졸업 후 공군 임관을 선택했을 때 시력검사 결과가 안 좋게 나와서 똥줄태우기도 했다 카더라.
  1. 영어와 함께 아일랜드의 공용어 중 하나. 게일어의 일종이다. 본래 아일랜드의 고유 언어였으나, 영국의 식민 지배 하에서 점차 사용자가 줄었다. 현재 아일랜드어를 모국어로 쓰는 아일랜드인은 전체의 약 2%에 불과하나, 아일랜드 정부의 아일랜드어 장려책으로 사용이 가능한 인구는 약 40만 명까지 늘었다고 한다.(다만 어디까지나 사용 가능하다는 것이지, 모국어와 같이 활용 가능하다는 것은 아니다.)
  2. 아일랜드인들에게는 독립운동단체, 영국을 비롯한 강대국들에게는 테러집단.
  3. 정확히 말하면 콜린스는 지도자 중 한 명인 플렁킷 백작의 전속부관이었다. 플렁킷 백작의 아들 조지프 플렁킷은 다른 지도부와 함께 총살당했다. 그 외에 에이먼 데 발레라는 미국 시민권자라서, 마르키에비츠 백작부인은 여자라는 이유로 처형을 면했다.
  4. 1905년 설립된 아일랜드의 정당. 1905년경 아일랜드의 독립운동 지도자 중 하나인 아서 그리피스(Arthur Griffith, 아일랜드어로 Art Ó Gríofa)가 주동이 되어 설립되었다. 신 페인이란 아일랜드어로 '우리 스스로' 라는 뜻으로, 아일랜드의 독립운동을 주도한 정당.
  5. 일제강점기 당시 우리의 의열단이나 한인 애국단을 생각하면 가장 이해가 쉽다.
  6. 영국 측 대표는 자주 바뀌었으며, 후에 영국 수상이 되는 네빌 체임벌린이 고정 멤버로 참여하였다. 영국 측 대표 중에는 유명한 윈스턴 처칠이 포함되기도 했다.
  7. 현재까지도 북아일랜드는 영국령으로 남아 있다.
  8. 지금도 영국국력아일랜드 공화국보다 압도적이다.
  9. 무장 투쟁 노선은 포기했지만
  10. 프랭크 보먼-콜린스-윌리엄 앤더스 팀이 아폴로 9호 정규팀으로 결성된 뒤 호흡을 맞추다 말고 추간판 탈출증 진단 크리가 터져서 콜린스는 수술대에 오른 뒤 몇달간 깁스를 하고 지내야 했다. 결국 당초 백업으로 내정되었던 러블이 정규팀원으로 배정되었고, 이후 달 착륙선 개발이 지체되며 8호와 9호 팀은 순번을 바꾸게 된다.
  11. 제미니 계획에서 7호 팀원으로 프랭크 보먼과 활동했지만, 이후 12호 사령관으로 올드린과 함께 활동했던 사령관 경력자다. 이렇게 사령관 경력자를 둘이나 써먹는 것 자체가 좀 파격적이었다.
  12. 사실 원래는 올드린이 달에 먼저 발을 딛을 예정이었으나, 착륙선 출입구의 구조때문에 암스트롱이 먼저 내리게 되었다. 출입구가 착륙선 조종사 방향으로 열리므로, 올드린이 먼저 내리려면 암스트롱과 자리를 바꿔야 했는데, 움직임이 둔화되는 우주복을 입고, 좁은 착륙선 안에서는 자리를 바꾸기 매우 번거롭기 때문. 그러지 않았으면 아마 올드린만이 기억되고 있었을 것.
  13. 예를 들면 엔지니어링 전공서적 중 궤도역학 교과서 중에 미국공군사관학교 로저 베이트 교수(준장 예편)가 저술한 클래식 명저인 Fundamentals of Astrodynamics는 이 사진이 표지 그 자체다. 다만 2015년 개정판에서는 우주왕복선 시대의 사진으로 대체.
  14. 3회 뒤의 미션에서 예비팀으로 활동하고, 다시 그 다음 3회째의 미션에서 우주에 올라가는 체계. 실제로는 큰 틀 정도의 성격일 뿐 매번 제대로 굴러가지는 못했다.
  15. 우주비행사들은 최고의 엘리트이긴 하지만 군에서의 지휘/참모 경력은 우주비행사로 활동할 동안엔 공백이 발생하기 때문에 대령까지 프리패스로 진급시켜주는 것 외에는 장성 진급에 있어 딱히 유리한 점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