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야기 구장


(일본프로야구 1군 홈구장)
센트럴리그(Central League) 퍼시픽리그(Pacific League)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요미우리 자이언츠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메이지진구구장도쿄돔Kobo 파크 미야기메트라이프 돔
요코하마 디엔에이 베이스타즈주니치 드래곤즈오릭스 버팔로즈치바 롯데 마린즈
요코하마 스타디움나고야돔교세라 돔 오사카
홋토모토 필드 고베
ZOZO 마린 스타디움
한신 타이거스히로시마 도요 카프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한신 고시엔 구장
교세라 돔 오사카
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삿포로 돔
도쿄돔
후쿠오카 야후오쿠! 돔
googlemaps2.jpg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라쿠텐 Kobo 스타디움 미야기
楽天Koboスタジアム宮城
개장1950년 5월 5일
소재지일본 미야기센다이 시 미야기노 구
미야기노 2번지 11번 6호
홈구단롯데 오리온스(1973~1977)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2005~ )
크기면적 : 12,800m²
좌우 100.1m, 좌우중간 116m, 중앙 122m
잔디인조잔디(빅 터프) (?~2015)
켄터키 블루그래스 (2016~ )[1]
좌석규모30,508
구장 명칭미야기 구장(1950~2007)
크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2008~2012)
라쿠텐 kobo 스타디움 미야기(2013~ )

1 소개

야구장 리모델링의 모범사례[2]
이쪽 이글스나 저쪽 이글스리모델링은 끝판왕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홈구장. 현재 명칭은 <라쿠텐 Kobo 스타디움 미야기>이나 명명권 판매등으로 이름이 자주 바뀌기 때문에 기존의 명칭인 미야기 야구장으로 항목을 작성했다.

2 특징

a7d57da0.jpg
  • 야구장의 모양새가 독특한데, 원래 외야는 천연잔디로 구성된 오픈야구장이었으나, 2005년 라쿠텐 그룹이 리모델링을 진행하면서 구단을 상징하는 "날개 모양"의 외야석을 설치했기 때문이다.
  • 참고로 위치가 일본에서 꽤 북쪽이다보니, 시즌 극초반이나, 시즌 말미에 가끔 눈이 내릴때 눈을 맞으면서 경기를 볼 수 있는 야구장이다.[3] 그러나 라쿠텐 팬들이 윗지방에 산다지만 추위 느끼는건 똑같아서 돔구장 건설을 구단측과 시민들이 원하나 돔구장 건설에 한두푼이 들어야지.(...)도호쿠 대지진때문에 난리난 마당에 무슨 돔 니네 창단계기가 된 땜에 해체됐나 생각해봐[4][5]
  • 그리고 인근에 병원이 위치해 있어 응원할 때 탐을 제외한 다른 악기는 절대 쓰지 않는다. 후쿠오카 돔이 지붕을 열지 않는 이유와 마찬가지.
  • 일본프로야구 규정상 일본시리즈를 개최하려면 최소 3만명 이상 수용능력이 요구되고 있으나 이 구장은 2만3000명 남짓밖에 되지 않았다. 그래서 1974년 일본시리즈 때 롯데 측 홈경기는 고라쿠엔 구장에서 치뤘고 2013년 일본시리즈 개최시에는 가설 스탠드를 세워서 약 5000석을 추가하는 땜질 처방에 나섰다. 일본프로야구기구나 타구단으로부터의 증설요구에 대해서는 "센다이 정도 인구수준(약 108만명)에는 2만3000명 수용 규모가 적절하다."면서 배를 째고 있는 상태(...)였으나, 2014년 3루 측 가설 스탠드를 철거한 후 상설 스탠드를 만들어 좌석이 28,736명 규모로 늘어났다. 구단 측에서는 이를 계기로 3만명으로 수용 인원을 늘릴 계획. 그리고 2014년의 상설 스탠드 증설 이후 구단은 홈경기 시즌 최고 입장기록을 갱신하였으며, 2015년에도 그 기록을 깨나가고 있다. 진작에 했었으면 그동안 관중들을 더 끌어올 수 있었잖아!

001.jpg

  • 2015년 시즌 종료 후, 30억엔을 들여서 구장 잔디를 다시 천연잔디로 바꾸고(파울지역은 인조잔디) 인원을 3만 명 이상 수용 가능하도록 보수공사를 할 예정이다. 구단 측에서 언급한 모델은 펫코 파크. 그리고 2016년 5월에는 세계 최초로 야구장에 관람차가 오픈된다.

3 역사

리모델링 이전의 미야기 구장.

일본 육군 연병장 부지에 건설되기 시작, 1950년 5월 27일에 완공되었다. 특이하게 개장일이 완공일보다 빠른데 이 경기장에서 처음으로 열린 경기는 퍼시픽리그 경기인 마이니치 오리온즈난카이 호크스, 다이에이 스타즈[6]와의 변칙 더블헤더 경기였다. 이날 경기에서 경기장에 몰린 사람들이 깔리는 바람에 압사사고가 발생, 3명이 숨지고 26명이 중경상을 입는 사고가 터지기도 했다.

1973년, 롯데 오리온즈가 홈구장으로 사용하던 도쿄 스타디움[7]이 해체되면서,[8] 갈곳이 필요했고, 1977년까지 임시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완전히 정착하진 못하고 고라쿠엔 구장, 메이지진구 야구장, 카와사키 구장 등을 떠돌아다니며 홈경기를 치뤘다. 거기다 구단 사무실이나 선수단 숙소, 자택 등도 도쿄에 그대로 있었으며 1974년 일본시리즈 땐 미야기 구장이 일본시리즈 개최조건인 관객수용량 3만명에 미달한다는 이유로 고라쿠엔 구장에서 홈경기를 치루고 우승 퍼레이드도 도쿄에서만 치뤘을 정도. 이래서 롯데 오리온즈는 집시 롯데 란 멸칭을 얻으며 많은 호응을 얻지 못했다.

1978년 롯데 오리온즈카와사키 구장으로 홈구장을 이전하면서[9] 프로야구와는 멀어졌다. 하지만 2004년까지(중간에 1992년 치바로 연고이전하며 치바 롯데 마린즈로 팀명 변경) 한해에 3경기~10경기 정도를 이곳에서 치루기도 했다.

1992년 일본프로야구 올스타 3차전이 열렸는데 이때 시설이 캐안습 수준이라는 것이 도드라졌고 그라운드 배수가 잘 되지 않아 안그래도 비가 많이 오는 미야기 현의 사정상 여름 고교야구 대회도 우천취소되기 일쑤였다. 1999년에는 시민 12만명이 서명운동을 펼쳤기도 했는데 시 재정상 난색을 표했다.

1차 리모델링이 완료된 모습.

그뒤 2004년 라쿠텐 이글스가 창단되면서 이곳을 홈으로 쓰기로 결정, 그해 12월부터 대대적인 리모델링을 개시했고 2005년 3월에 1차 리모델링을 완료, 2006년 3월에 2차 리모델링을 완료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2006년 새롭게 설치된 전광판 시연회. 왼쪽이 기존의 전광판, 오른쪽이 새로이 설치된 전광판이다.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 파크와 위치만 다를 뿐 비슷하다. 긴 선수명 표기 및 선명도는 여기가 월등히 낫다.

폭풍증축의 역사를 대략적으로나마 보고 싶으면 여기를 참조.

4 명명권

2004년 구단이 창단되고 대대적인 구장 리모델링을 하면서 명명권 판매를 시도했고 2008년 제지회사인 크리넥스에서 명명권을 구매해 "크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라는 이름을 달게 되었다.

그후 2013년까지 계약이 되어 있던 일본제지에서 명명권 계약연장을 하지 않았고 명명권 판매를 알리게 되었다. 공개입찰에서는 모기업인 라쿠텐을 포함한 다른 기업 1군데가 명명권에 응찰, 이후 모기업인 라쿠텐이 낙찰되면서 새롭계 계약을 체결했다. 참고로 kobo는 라쿠텐에서 운영하고 있는 전자 서적 서비스 브랜드 명칭이다. 재미있는 것은 스폰서가 클리넥스 시절이나 라쿠텐 kobo 시절이건 약칭은 'K스타 미야기'로 동일하다는 것.

5 기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선수였던 에지리 신타로는 재수학원에 다니던 시절 9,500엔에 여기를 빌려서 야구를 했다고 한다.[10]
  1. 워닝트랙 및 파울존은 인조잔디 혼재.
  2. 덧붙여서, 일본에서 세 번째로 오래 된 프로야구 홈구장이기도 하다.
  3. 더 윗쪽에 있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의 경우엔 홈구장이 돔구장삿포로 돔이기 때문에 눈 맞을 일이 없다.
  4. 거기다 센다이가 해안에 위치한 도시라 비교적 춥지 않은 편이라서 겨울에도 실외구장인 유어텍 스타디움에서 베갈타 센다이의 축구경기가 정상적으로 열린다. 팬에게 제설을 부탁하는 옆동네 몬테디오 야마가타 안습
  5. 경제사정도 한몫을 하는 것이, 도호쿠 지방은 경제력이 좋지 않기로 유명한 지방이라 제조업보다는 정보통신과 금융 및 서비스업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 야마가타현의 경우를 봐도 인구에 비해 지방은행이 많은 것이 그 좋은 예.
  6. 후에 마이니치와 합병하면서 팀이 사라졌다.
  7. 이 링크는 같은 이름의 축구장으로 연결되는데, 이름만 같은 구장이다.
  8. 롯데가 야구단과 홈구장 원 소유주였던 다이에이(大映)로부터 야구단을 인수할 때 다이에이 측이 "구단을 사갔으니 야구장도 같이 사가!" 라고 주장했으나 롯데가 개무시했고, 이 후 다이에이가 부도가 나면서 야구장 부지가 경매로 넘어가 그대로 해체되었다. 하여간 롯데는 참 찌질하게 돈 아낀다
  9. 다이요 훼일즈가 1955~1977년 쓰던 야구장으로, 1978년 다이요 요코하마 스타디움으로 이전하며 빈 구장을 롯데가 쓰게 되었다. 근데 원래 요코하마 스타디움을 쓰려다 실패하고(...) 신설 야구장을 날로 먹으려 드니 누가 좋아할까 할 수 없이 카와사키로 이전했다는 흑역사가 있다(...) 1991년 롯데가 치바로 연고이전하며 빈 터가 되었고 현재는 미식축구장으로 개조되어 사용중.
  10. 선수 자체가 미야기현 최고 명문고인 현립 센다이제2고교 출신으로, 게이오기주쿠대학의 스카우트 제의를 거부하고 와세다대학에 삼수해서 들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