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카

(바카야로에서 넘어옴)

1 일본욕설

바카(馬鹿[1]薄荷, 마록[2])
바카야로(馬鹿野郎) 빠가야로

누구를 쏘는거야?

'바보'란 뜻으로, 일본욕의 대명사. '바보 자식(새끼)!'[3]이라는 뜻으로 '바카야로'라고도 부른다. 그럼 코난은 맨날 소년 탐정단 애들한테 욕하는거..?

1.1 상세

원래 발음대로라면 '바카야로'지만(발음에 따라 악센트가 붙어서 밬카야로!가 될 수도 있다.) 한국에서는 왠지 '빠가야로'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빠가'라는 발음도 꼭 틀리다고 볼 수만은 없는 게, 일본인들이 사용할 때도 앞 부분에 억양을 두어 '빠가'라고 할 때가 가끔 있기 때문이다. 물론 시도때도 없이 '바카'를 항상 '빠가'로 발음하는 것은 일본에서의 발음과 거리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4] '빠가야로'라는 욕은 한국에서 일제강점기 배경 작품이면 한번 이상 꼭 나온다고 해도 좋을 정도로 무수히 들을 수 있다.

먼나라 이웃나라 일본편에서 일본어에는 욕이 그다지 없기 때문에 '바카야로' 정도도 꽤나 강한 욕에 속한다고 서술되어 있으나 이는 잘못된 분석이다. 실제로는 다른 수준급 욕이 많다. 먼나라 이웃나라/문제점 문서 참고.

일본에서는 바카야로의 rrrrr를 세게 발음하면 더욱 위협적인 느낌을 줄 수 있다는 모양.

요즘은 '야로'를 안붙이고 바카라고 하는건 왠지 귀엽고 츤데레같은 느낌을 주지만 사실 70년대 만화를 읽어봐도 가끔 건장하고 나이있는 분들이 '바카!'거리는, 기분이 묘해지는 장면을 볼 수 있다. 바카~ 바카~!

한국에서 사용되는 경우 "바카"보다는 "빠가"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일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바보", "머리나쁜 사람" 이라는 뜻이 지배적이긴 하나 간혹 일본에서의 그 의미와는 달리 "어딘가 모자란 새끼", "재능 없는 사람" 등 더욱 심한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웬만하면 후자의 용도로는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한국에서는 거의 '바보'라고 번역되나 현대에 들어서는 바보가 모욕적인 단어로 인식되는 일이 거의 없어졌기 때문에 원문의 어감보다 훨씬 순화되어서 전달되는 경우가 많다(…). 빠가라 번역하면 되지 않나?

같은 의미로서 사용되는 '아호(あほう)'는 둘 다 같은 '바보'이지만, 어느 지역에서 쓰이느냐에 따라 가벼운 표현이 될 수도 있고 기분나쁜 욕이 될 수도 있다.야호 칸사이(관서)와 칸토(관동)로 나누어 볼 때, 칸사이에서의 '아호'는 가볍게 태클을 걸 때 쓰인다. 하지만 '바카'는 듣는 사람이 기분나쁜 바보란 뜻을 내포하고 있다. 칸토는 정반대.[5] 예를 들어 일본 예능에서, 칸사이 출신 개그맨들은 '아호'를 '츳코미(태클)' 단어로서 정말 많이 쓴다. 하지만 '바카'는 어지간해서 쓰지 않는다. 만약 칸사이와 도쿄에 모두 일본인 지인이 있다면 주의하자.

1.2 유래

어원은 말(馬)과 사슴(鹿)도 구분 못하는 놈이란 지록위마[6]에서 유래되었다는 그럴 듯한 설명이 있지만, 실제로는 무지나 미망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baka, moha의 음차 '바카(莫迦, 막가)' '보카(募何, 모하)'가 변형된 단어이며, '母娘(모낭)' '馬娘(마낭)' '破家(파가)' 등으로도 음차되었다. 후에 진시황본기에 기록된 지록위마(指鹿爲馬)에 빗대어 '사슴을 보고 말이라 하는' 뜻이라 설명하기도 했으나 만약에 중국에서 온 단어라면 그 발음이 '바카'가 아니라 '바로쿠'가 되었어야 한다.참조

그리고 에도시대에 남창들을 야로(野郎, 야랑)라고 부르기도 했던 모양이다(...).# 이게 실제로 어원인지는 알 수 없지만.

1.3 사례

2 콜롬비아축구 선수

콜롬비아축구 선수. 카를로스 바카 문서 참고.

참고로 1의 의미와는 관련없다.(...)[7]
  1. 鹿의 훈독인 しか의 か만 훈차로 쓰여 馬와 조어가 되었기에 한국어에 비유하면 '마슴' 정도가 되겠다(...).
  2. 고라니라는 뜻의 한자어이다.
  3. 사실 이것보단 강도가 강하다. 병신새끼보단 약하고 바보자식보단 강하다. 대충 '멍청한 새끼' 정도?
  4. 굳이 더 비슷한 발음을 찾자면 빠가보다는 바까정도.
  5. 덕후들이 이해하기 쉽게, 흔히 보는 애니메이션의 캐릭터들은 도쿄의 표준어를 구사하기 때문에 가볍게 바~카!라고 말하는 걸 들을 수 있다. 반면 설정이 칸사이 출신인 캐릭터들은 바카보다는 '아호'를 더 많이 쓴다. 대표적으로 칸사이 출신 성우 우에다 카나가 맡은 여러 캐릭터들을 보면 알 수 있다.
  6. 우리나라에도 이것과 비슷한 숙맥(菽麥/쑥맥)이라는 표현이 있다. 콩과 보리를 구별하지 못할 정도로 바보를 이르는말 이었지만, 최근에는 순진한 사람을 이르는 말로 순화 되었다.
  7. 바카는 소를 뜻하는 스페인어 단어다. 바보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