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삼국지)/기타 창작물

정사연의를 제외한 다른 창작물에 등장하는 법정을 다루는 항목

1 게임

1.1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Fa_Zheng_%28ROTK10%29.pngFa_Zheng_%28ROTK11%29.png
삼국지 10삼국지 11
삼국지 12,13

시리즈 전통적으로 유비군내에서 제갈량 다음가는 지력 2위를 자리매김한다.[1] 일반적으로 90대 초중반. 그리고 유비군 내에서 사령관격인 제갈량을 제외하면 황권과 둘이서 전투군사[2] 쌍두마차를 달리고 있다. 단 성깔이 더러워서 그런지 문관에게 매력이 후했던 초기 시리즈를 제외하면 매력은 보통 낮게 책정된다.

삼국지 3에서는 육지66 수지65 무력52 지력87 정치78 매력50에 야망9 운8 냉정7 용맹7이다. 다른 능력치는 별 볼일이 없지만 지력 하나는 거의 진궁급이다.

삼국지 5에서는 무력 50/지력 94/정치력 89/매력 67로 역시 유비군 지력 2위. 유장군 소속일 때는 지력 1위인데 충성도 낮고 성향도 유비군이랑 딱이라 유비군 리쿠르팅 1, 2순위를 달린다. 단점은 역시 수명. 기본 진형으로는 기형, 장사, 방원. 특기는 복병, 화시, 화계, 속공, 침착, 토석.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1/무력 48/지력 95/정치력 75의 A급 책사. 교사와 혼란, 덫도 보유하고 있다. 연사도 가지고 있지만 아무래도 무력 때문에 모략계 병법을 많이 쓰게 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9/무력 53/지력 95/정치력 82/매력 51에 특기는 14개. 군사특기를 당연히 가지고 있고 통솔도 79로 준수해서 전장에선 사기캐이고, 항변, 반론이 없는건 조금 아쉽지만 위압, 도발, 반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설전도 뛰어나다. 유장군의 에이스임은 말할 필요도 없고, 인재가 넘쳐나는 유비군에서도 손꼽히는 인재. 내정쪽으로도 기본적으로 능력치가 준수하고 상업,기술특기가 있기 때문에 유용한 만능. 단 무력이 53밖에 안되고 명사 특기가 없기 떄문에 직접 플레이할 시에는 도적들이 조금 귀찮다.

삼국지11에서도 통솔력 82/무력 47/지력 94/정치력 78/매력 55으로 무력과 정치는 깎였지만 통솔이 82으로 상향되어서 좋은편이다. 병과적성도 노병,병기가 A. 어째서인지 특기는 잉여한 매복이다. 그러니 PK라면 특기연구해서 다른 특기를 주자.

삼국지 12에서는 통솔력 82/무력 47/지력 94/정치력 78로, 직전작에서의 능력치에서 매력만 뺀 수치이다. 12 오리지널에서는 전법이 도발이었으나, PK에서 전법이 전법봉인으로 수정되어 더 쓸만해졌다. 게다가 PK에선 절도지책까지 있는 사기 캐릭터이다. 이 절도지책은 원군의 양을 최대 12,000명으로 제한하는 매우 희귀한 책략이며 심지어 제갈량에게도 없는 책략이다. 유장군으로 플레이하면 얼마 되지 않는 소중한 장수. 다만 수명이 짧아 유비군 내에서는 일찍 죽기 때문에 아쉽다. 초기 시나리오에서는 재야이기 때문에 가끔 마등군이나 장로군이 먼저 득템하고 인생역전(...)[3]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4]

삼국지 13에서는 통솔력 84/무력 47/지력 94/정치력 78. 중신특성은 적중작적이고 전법은 정보동요. 특기는 훈련 7, 설파 8, 교섭 7, 언변 7, 신속 3, 연전 3, 공성 7, 견수 4, 귀모 6으로 여전히 A급 군사이다.

1.2 영걸전 시리즈

삼국지 영걸전에서는 34레벨의 보병대 최종 클래스인 전차대로 나오는데 보병계 장수들 중에는 지력이 제일 높다. 무려 87. 보통 지력 90인 마량이나 지력 94인 강유를 주술사로 바꾸지만 법정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무력, 통솔이 그저 그래서 전차로 쓰긴 애매한것도 사실이고. 후반에 나오는지라 노가다를 충분히 했다면 그냥 버려진다. 보병대로 전직시킨 쓸만한 장수들이 없다면 황충, 엄안이 죽으니 쓸 수는 있겠다. 별동대 출전 장수로 방통을 죽였다면 원조가 매우 쏠쏠하다. 여기에 간옹, 미방, 유봉을 키우지 않았다면 아예 보급을 책임져야 할 유일한 희망이다. 최종 15인 엔트리에 포함시키지는 않더라도 꾸준히 출전만 시켜 원조나 격려 경험치만 조금씩 획득 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삼국지 공명전에서는 단역으로 조형만 등장한다.

삼국지 조조전에서는 풍수사로 등장하는데 역시나 적. 하지만 풍수사라서 공격형 책략을 쓰지 못하며, 지력도 86밖에 안 된다. 물론 풍수사 중에는 아군 장수와 제갈근 다음으로 높지만(신비와 동급), 90을 못 넘겨 S급을 써먹지를 못하니.. 다른 능력치도 잉여이니 결국 일반문관B.

연의 탓이긴 하지만 법정의 활약상이 시리즈 전반에서 잘 드러나지 않았다. 아니, 연의 수준의 활약도 기대하기 힘들다. 영걸전에서의 비중은 고작해야 유비 입촉 때에야 존재감을 드러내는 수준이고 정군산에서의 활약은 없다. 이릉대전에 참가했어도 제갈량이 탄식한 것처럼 육손의 계책을 파훼하는 일은 없다. 대신 그의 죽음도 구현되지 않아서 끝까지 살아남긴 하는데... MOD에서도 별로 주목받지는 못한 모양. 도사로 전직한 경우에도 마속한테 밀리는 경우가 많다. 영걸전에선 마속(지력 84)보다 지력이 좋았는데;;

1.3 진삼국무쌍 시리즈

법정(진삼국무쌍) 항목 참조.

1.4 삼국전기 시리즈

삼국전기 오리지널 2 스테이지 초반 설명부 이미지에서 깃발을 휘두르는 모습을 하고 있으며 파티에 황충이 있으면 NPC로 등장한다.

2 만화

2.1 창천항로

한중전에 대한 묘사가 실로 처절한데 한 마디로 표현하면 조조에 대항하여 그의 군략을 파헤치는 인간 법정이다. 밤낮의 분간도 침식도 잊은 채 전략에 몰두하여 결국 조조의 친위군을 장비, 마초, 조운의 돌격 앞에 노출시키는 빛나는 전과를 세우지만 피로로 병을 얻어 쓰러지고 만다. 그 군략을 파헤친 뒤 과로사를 한 것이다. 재미있는 게 이 작품상에서 평소 제갈량을 아니꼽게 보아 제갈량에게 까칠하게 대했던 장비와 조운이 법정에 대해서는 한층 호의적인 태도를 보여준다.[5] 조조와 가후도 이름없는 군사의 수완이라고는 믿을 수 없을 정도라고 평가하며, 상용과 방릉 점령을 통한 한수제압과 그에 따른 형주병력의 한중 투입 가능성(즉 관우까지 나설 수도 있다)까지 보이며 가후를 경악케 할 정도이다.

다만 법정의 자를 효식이라고 잘못 표기했다. 법정의 자는 효직(孝直)이다.

2.2 삼국전투기

히루마 요이치로 등장한다, 법정의 지랄맞은 성격에 지략가적인 면을 반영한 듯. 덧붙여 뭐 하나 잊는 법 없이 다 갚았다는 법정의 뒤끝을 생각하면 협박수첩에 시시콜콜한 것까지 적어두는 히루마는 정말 적절한 패러디라고 할 만하다. 한중 전투에선 상황을 뒤에서 다 꿰뚫고 계산하는 지략가로 등장, 조조군의 한중 방어의 헛점을 알아내 하후연을 잡을 계획을 짠다. 한중 전투(7)에서는 자신의 죽음을 예상한 것인지 행여나 자신이 없더라도 냉정함을 유지할 것을 부탁했다. 하지만 관우와 장비의 죽음으로 완전히 눈이 돌아가버린 유비는 법정의 부탁을 잊어버리게 되고 결국엔...

3 영상 매체

3.1 삼국

유비에게 촉을 넘긴 후 자신의 최고 활약 무대인 한중전에도 안 나오다가 한중 정복후, 유비에게 제일 먼저 제위에 오를 것을 진언하는 모습으로 나온다.

4 기타

  1. 물론 방통을 포함하면 3위지만 법정이 합류한 시점이라면 방통이 죽었을 터이니.... 유비측에 있는 기간이 너무 짧긴 하지만 서서까지 따질 경우 시리즈에 따라 서서가 높은 경우도 있고 법정이 높은 경우도 있다.
  2. 戰鬪軍師 - 통솔력과 지력이 높은 군사로 대표적으로 제갈량, 사마의, 황권, 법정, 서서, 육손, 주유, 여몽, 가후등이 이에 해당된다.
  3. 초반시나리오에서는 맹달과 함께 천수에서 나온다.
  4. 여담이지만 와룡특기버전에서 부여받은 특기가 지력차 데미지와 혼란을 주는 낙뢰를 부여받아서 컨트롤만 잘하면 제갈량 못지 않게 활용성이 좋고 전법봉인만 잘 써주고 연쇄가 잘 터지면 최강의 장수가 되기도 한다.
  5. 조운-"저토록 뛰어난 군사가 촉의 땅에 묻혀 있었다니." "훌륭한건 조우하게될 위치조차 꿰뚫어본 법정이다." 장비-"대장한테 전해. 열흘동안 법정에게 온갖 향응을 베풀고 허리라도 주물러 주라고." "아아. 저 녀석이 온 뒤론 늘 이기기만 했어." 사실 본작의 제갈량의 첫 꼬락서니(...)를 생각하면 좋게 볼래야 좋게 볼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