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촉서』 「황이여마왕장전(黃李呂馬王張傳)」 | |||||
황권 | 이회 | 여개 | 마충 | 왕평 | 장억 |
黃權
(? ~ 240년)
1 개요
후한 말 유장 휘하의 참모이자 촉나라와 위나라의 참모. 자는 공형(公衡).
2 생애
2.1 유장 휘하에서
원래 유장의 수하에 있었다. 유비의 세력을 끌어 들이는 것을 만류했지만 유장은 듣지 않고 황권을 광한장(廣漢長)으로 삼아 자기 곁에서 밖으로 내보낸다.[1]
이후 유비가 촉을 공격하자 여러 군현이 유비에게 항복하였음에도 성문을 잠그고 유비에게 대항했으나, 유장의 항복 소식을 듣고 그제서야 마음을 돌렸다. 유비는 투항한 황권을 임시로 편장군으로 삼았다.
2.2 유비 휘하에서
조조가 장로를 격파하면서 장로가 도주해 파중현으로 들어올 때 황권이 유비에게 한중을 잃게 되면 파 지역이 약해질 것이고 촉군의 수족을 자르는 것이라 간언해서 황권이 장로를 영접하려고 했다. 그러나 장로는 남정으로 돌아가 조조에게 투항해버렸다.
조조와의 한중 전투시에 법정과 함께 참모로 종군해 유비의 승리에 일익을 담당했다. 두호, 박호의 격파가 황권의 계략이었다. 한중전은 총사령관 유비, 전략입안 황권, 전술지휘 법정, 야전지휘 황충, 총사령관 직속 기동대장 조운으로 업무 분담이 굉장히 잘 된 편이었다.
오의 배신으로 유비가 형주와 관우를 잃고 오에 복수전을 시작하자 진북장군이 되어 위를 견제하며 장강 이북에서 진군했지만, 이릉전투에서 유비가 참패하면서 오와 위 사이에서 고립되었고, 곧 촉의 지원이 끊기자 어쩔 수 없이 위나라에 투항했다. 참고로 이때 같이 투항한 사람이 형주의 핵심인 남군태수가 될 사합 등 318명. 그 중 항복 후 열후가 된 게 42인이고 장군이나 낭장이 된 게 100명 정도다.
황권의 투항을 두고 촉의 몇몇 대신들이 황권을 비난했으나, 유비는 "황권이 나를 배신한 것이 아니라 내가 황권을 배신한 셈이다." 라고 말하며 그의 가족을 보호했다.
2.3 위나라에서
조비가 황권에게 그대는 진평과 한신[2]을 따르려는 것이냐고 묻자 황권은 자신은 단지 패장일 뿐 그들을 감히 따라하는 게 아니라고 답했다. 조비는 황권의 대답에 감동하여 진남장군(鎮南將軍)으로 임명하고, 육양후(育陽侯)로 봉했으며, 시중의 관직을 더하고, 조비와 수레에 함께 타도록 했다.
촉한에 투항한 사람 중 어떤 이가 황권의 처자식이 처형되었다는 말을 했지만, 황권은 그 말이 거짓임을 알고, 상을 치르지 않았다. 이후에 상세한 소식을 듣게 되었는데, 과연 황권이 생각대로였다
유비가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위나라 신하들은 모두 기뻐했는데, 황권만은 그렇지 못했다. 조비는 또 싸이코 기질이 발동하여 황권이 도량이 있다고 생각해서, 그를 놀래키려는 생각으로 황권에게 출두하라는 칙명을 내리고 빨리 오라고 재촉했다. 황권의 시종들은 모두 당황했으나 황권만 침착했고 오히려 조비에게 더욱 인정을 받았다.
후에 사마의가 제갈량과 대치할 때 보낸 서한에서 황권의 재능을 칭찬하자, 제갈량은 사마의에게 "황권은 댁이 쉽게 판단하고 만만하게 볼 인물이 아니니 잘 대해줘야 할 것이다."라는 내용의 답장을 보냈다고 한다.
조방이 황권에게, "천하는 삼국 정립의 상황인데, 어떤 국가를 정통으로 할 수 있습니까?"라고 묻자, 황권은 "천문에 따라 정통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 화성이 심성이 되어 문황제(조비)가 붕어했지만, 오와 촉의 군주에게는 어떠한 일도 없었습니다. 이것이 그 증거입니다."라고 답했다.
239년에 거기장군까지 승진했고 240년에 죽었다. 작위는 장남 황옹[3]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황옹이 자식 없이 요절하면서 대가 끊겼다. 촉에서 성장한 차남 황숭은 훗날 제갈첨, 제갈상 부자, 장포의 아들 장준,[4] 이구[5] 등과 함께 위의 등애에 맞서 촉나라 최후의 저항을 이끌게 된다.
3 미디어 믹스
3.1 삼국지 시리즈
삼국지 11 |
삼국지 12,13 |
코에이의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무력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능력치가 70~80대에 형성되어 있는 좋은 장수. 다만 연의에서는 참모로서의 모습이 거의 드러나지 않기에 지력이 참모급으로 높지는 못하다.80대 후반으로라도 주지
삼국지 2에서는 시나리오 2 기준 지력/무력/매력 순으로 86/62/88의 능력치로 역대 삼국지 시리즈 중 가장 높은 능력치를 가졌다. 무력이 좀 낮은 부분을 제외하면 A급 인재로 꼽히며, 법정이나 장송이 없을 시엔 군사로 임명해서 활용해도 좋다. 좋은 땅에 태수로 임명하고 위임시켜두면 좋을 듯.
삼국지 3에서는 무력이 45밖에 안 되기 때문에 일기토는 절대 하면 안 된다. 총 능력치가 육지75 수지71 무력45 지력84 정치72 매력64로 무력 하나 때문에 장군이 되지 못한다. 단, 군사는 가능하다.
삼국지 9에서는 통무지정 순으로 74/59/82/81의 능력치로 등장한다. 혼란과 고무를 보유하고 있다. 또 의외로 누선을 가지고 있으며 수군계 병법 숙련도도 0이 아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6/62/83/71/79에 특기는 10개. 내정 시엔 기술셔틀로 유용하며 전장에서도 그냥저냥 굴릴 수는 있다. 무력이 낮긴 하지만 명사특기가 있고 설전 특기도 위압, 반박이 있고 군사 특기에 계략은 반목까지 있으니 직접 플레이하기에도 무난한 캐릭터.
삼국지 11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5/59/82/79/78. 특기는 규율. 하지만 황권도 지력이 높아서 그다지 쓸 일이 없다. 상대가 옆 동네에 있는 제갈량이 아니라면 잉여. 하지만 내정관으로는 유용하며 노병적성이 A라 노병/책사 부대로서 부대 효율도 좋다.
삼국지 12에서는 병종이 창병,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5/59/82/79. 원래 전법은 화계이지만 PK에서는 병격봉인으로 바뀌었다. 병격봉인이 상당히 좋은 전법이라 체면이 좀 살았지만 아쉽게도 군사 특기가 없다. 59인 무력과 달리 초상화는 참 용맹하게 생겼다.
3.2 삼국
이엄과 함께 유장군의 모사로 등장한다. 유비의 입촉을 반대하는 것은 물론이고, 낙봉파의 계책도 장임이 아닌 황권의 계책으로 나온다! 이 외에도 죽은 장송의 목을 유비에게 보내라고 진언하기도 한다. 유장이 항복할 때에도 유일하게 항복하지 않았으나, 유비가 직접 방통의 유서(황권은 충신이니, 내가 죽더라도 절대로 그를 원망하지 말고 등용하라는 내용)를 보여주며 설득하자 감동하고 마침내 유비를 따른다.
3.3 영걸전 시리즈
삼국지 영걸전에선 유장에게 유비를 믿지 말 것을 조언하며 익주 공방전 최종전투인 성도의 전투에서 레벨38 전차대로 등장한다. 유비를 인접시킬 경우 설득이 가능하고 아군이 되는 익주 장수치곤 초기 레벨이 높고 지력도 높은 편이지만 무력, 통솔은 그저 그런지라 버려진다. 성도의 전투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투에서 등장조차 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