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기군

htm_2010051900570310001010-001.JPG

별기군이란 명칭 때문에 일반 부사관을 포함한 것 같지만 별기군은 장교 과정이었다.

1 개요

別技軍. 1881년 설립된 조선의 서양식 군대. 5군영에서 지원자를 받았다. 첫 인원은 80명이며 훈련은 일본 육군 보병소위 호리모토 레이조(堀本禮造)[1]가 맡았다. 별기군은 기존의 조선군에 비해 급료나 피복 등에서 엄청난 대우를 받았고 이런 차별대우는 이듬해 일어난 임오군란의 원인이 된다.

2 구성 및 역사

계급은 정령관(正領官), 좌부령관(左副領官), 우부령관(右副領官), 참령관(參領官) 등으로 구성됐는데 이들은 오늘날의 영관에 해당한다. 정령관은 대령, 좌부령관과 우부령관은 중령, 참령관은 소령에 상당한다. 교련소의 당상(오늘날의 훈련소장)은 민영익이었다. 당시 겨우 스물한살이었다. 생도들은 참위(參尉)로 임관하는데 이는 소위에 해당하는 계급이다.

별기군에서 문제는 사관생도들이 양반이었다는 거다. 조선에서 양반들은 다른 세금은 내도 군역에 종사하지 않았다. 특히 참령관을 맡은 우장춘의 아버지 우범선양반이 아니라는 이유로 생도들이 라고 불렀다. 결국 우범선은 교관을 관뒀다. 훈련은 1881년 5월 9일 서대문 밖 모화관(慕華館)[2]에서 이뤄졌으며 곧 하도감(下都監)[3]으로 옮겨 훈련한다. 사람들은 별기군을 왜별기(倭別技)라고 비꼬았다. 그 해 8월에는 고종의 참관 아래 사열을 하기도 했다. 호리모토 소위는 자신들의 육군을 따라 육군사관학교를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a0053925_4bcb5d909ca7d-e1344212349997.jpg
다만 당대의 평가는 좋지 않았던 것 같다. 구식 군인들은 상당수가 하층민 출신이고, 병인양요신미양요 등 전투를 벌인 자들이었는데, 별기군들의 주 구성원은 양반 자제였다. 기록에는 훈련을 할 때 노비들이 업고 뛰었다는 얘기도 있다. 관련기사

하지만 노비가 업고 뛰었다는 건 좀 논란이 있다.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별기군은 사병이 아닌 장교였으며 조선시대 장교에 해당하는 계급은 무관이다. 조선시대 무관은 무과시험을 통해 선발되었는데 무과 급제자도 문과의 일종인 소과시험에 합격한 진사, 생원처럼 엄연한 양반신분이다. 애시당초 양반이라는 명칭이 문반과 무반을 합쳐 부르던 말이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조선시대 내내 무과에 합격한 양반들도 옷에 흙을 묻혀가면서까지 직접 훈련장을 뛰며 군사훈련을 받았는데, 별기군이 양반이라는 이유로 노비 등에 업혀서 훈련받았다는 이야기는 무턱대고 받아들이기 전에 사실여부를 따질 필요가 있다. 개화기 이전 엄연한 양반 신분인 무반들은 단 한 번도 노비 등에 업혀서 훈련받는 병크짓을 한 적은 없다. 심지어 임진왜란 당시 무반도 아닌 문반 출신 양반 의병들도 왜군과 싸울 때 말 타고 싸웠을지언정 노비 등에 업혀서 싸운 적이 없다.

img_148_01.jpg
훈련대 장병.

SSI_20130926155354_V.jpg

임오군란 때 훈련교관인 호리모토 소위는 하도감 훈련장에서 군민들에게 살해당하고 별기군은 폐지되어 다시 5군영으로 돌아간다. 별기군의 인원은 80명 수준이라 임오군란 당시에는 그냥 숨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3 여담

여담으로 흑백사진이라 색은 안 나오지만 초록색 전투복을 입었다고 한다.

4 다른 별기군

임오군란 이후 진주한 에 의해 청별기군이 세워지기도 했다. 별기군 시절에 교관을 관둔 우범선은 다시 교관으로 초빙되었고 위안스카이는 청 육군 장교를 보내 훈련을 하기도 했다. 규모는 약 500명 수준으로 추정되는데 검열 행사를 하던 중에 왕 대신에 사열을 나온 문관이 거들먹거리며 담배를 피워 물의를 일으키기도 했다.관련 출처 청일전쟁으로 청이 조선에서 몰락하자 청별기군의 인원은 친일파로 돌변하였고 우범선을미사변에 참여했다. 훈련2대대 병력이 참가했다고.

을미사변 후에는 러시아가 영향을 미친다. 아관파천 시절에 프차토이 육군대령은 친위대를 교육했다. 부사관 10여명과 2명의 장교를 기간 요원으로 데리고 그는 5개 대대에서 800명의 인원을 차출하여 교육했다. 러시아어 구령에 맞춰서 훈련을 할 정도라 검열하던 고종의 표정이 착잡했다고 한다. 1900년에 복장을 다 러시아 육군식으로 통일했다. 구식군의 반발은 상당히 심했고 특히 평양 출신의 병들이 심했다고. 러시아 말고도 각 외국학교들에선 자기들식으로 교련을 가르쳐 구호도 제각각이었다고 한다. 그나마 육군무관학교가 세워지면서 정식으로 기틀을 잡아갈 기회를 얻은 듯 했지만 러일전쟁을사조약을 거치면서 다 물거품 된다.

러시아 별기군 시절에도 양반 출신들의 군기는 엉망인 듯 했다. 종들이 요강을 들고 따라왔다고. 심지어 종들이 대리훈련을 받기도 했다. 종들을 장교임관시키라고

물론 이 역시 일본 장교가 훈련시킨 별기군 이야기처럼 신빙성을 의심해야 한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조선시대 무관도 '엄연한' 양반이었다. 양반 출신인 이순신 등의 장수가 훈련할 때, 그리고 왜군과 싸울 때 노비들이 요강 들고 쫓아다녔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가?

허나, 문제는 남아 있다. 우범선 사례이다. 위 사례는 손자병법에서는 지휘권이 무너질 가능성이 높은 위험한 행동으로 이런 하극상을 빠르게 제압하라는 것이 명시되어 있는데, 이것도 거짓말이면 할 말이 없지만, 사실이라면 노비들이 대리했다는 것이 의문이란 점에 다시 생각해야 한다. 최소한 중기와 말기가 동일하다고 보는가?
  1. 주조선 일본 공사관의 무관이었다.
  2. 오늘날의 서대문구 영천동에 해당한다.
  3. 오늘날의 서울사대부고 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