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뮤얼 헌팅턴

1 미국의 정치학자

Samuel Phillips Huntington
(1927년 4월 18일 ~ 2008년 12월 24일)

1.1 개요

미국의 정치학자. 하버드 대학교에서 58년 동안이나 교편을 잡았던 하버드 대학교 정치학과의 대표적 스타 교수였다.

주로 비교정치, 국제정치 분야에서 많은 연구 업적을 남겼다.

1.2 생애

예일 대학교를 졸업 후 시카고 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 학위를 얻고, 23세의 나이에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하버드 대학교 교수,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다가 37세의 나이에 다시 하버드로 돌아가 종신교수로 사망 직전까지 연구 및 강의 활동을 펼쳤다.

콜롬비아 대학교 교수 시절인 1957년, 30세의 나이로 저서 <군인과 국가: 민군관계의 이론과 정치>(원제: The Soldier and the State: The Theory and Politics of Civil-Military Relations)를 발표했다. 이 책은 문민통제를 비롯한 민군관계 연구에서 기념비적인 역작으로 평가받았으며, 헌팅턴의 학문적 명성도 크게 높아졌다.

1970년 격월간 국제정치 학술지 <포린 폴리시>(Foreign Policy)의 창간을 주도하였다. 1977년 지미 카터 대통령이 취임하자 국가안보보좌관에 임명된 동료 학자 즈비그뉴 브레진스키의 추천으로, 백악관 국가안보위원회의 안보기획조정관(Coordinator of Security Planning)으로 1년 동안 재직했다.

이후 2008년 심장질환과 당뇨병의 합병증으로 세상을 떠났다.

1.3 문명의 충돌

정치학자로서 헌팅턴의 연구들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역시 '문명충돌론'(clash of civilizations)이다. 이 주장은 냉전의 종식 직후인 1993년 <포린 어페어스>(Foreign Affairs)에 기고한 논문을 통해 처음 발표되었고, 3년 후 동명의 저서로 확대 출간되어 세계 전역에서 치열한 찬반 논쟁을 일으켰다.

1.3.1 역사적 흐름

헌팅턴에 따르면 인류의 역사를 통틀어 볼 때, 문명과 문명이 만날 때에는 항상 크고 작은 분쟁이 벌어져 왔다.[1] 하지만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문명의 정체성을 대체하여 자유주의공산주의라는 새로운 이념이 주도권을 차지하며 50년에 가까운 기간동안 미국소련냉전체제가 지속된다. 그러나 80년대 말까지 세계 질서를 결정하던 미국과 소련의 양극(bi-polar) 냉전체제가 소련의 붕괴로 막을 내리면서, 다극(multi-polar) 체제로 다시 세계질서가 재편된다. 그리고 냉전 기간동안 미국과 소련의 이념 대립을 위해 대신 싸워온 대리 전쟁 국가[2]들 내부에서 쌓여온 갈등, 그리고 (자유주의와 공산주의)이념을 대체하는 새로운 이데올로기로서의 문명 정체성이 새로운 분쟁의 씨앗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1.3.2 <문명의 충돌>에서의 문명

1.3.3 냉전 이후 세계 질서 예측

  • 서구(서구 유럽 + 미국)의 영향력은 줄어들 것이며, 동아시아이슬람 문명의 영향력이 증대될 것이다. 이슬람 국가들과 인근 국가들간의 세력 균형이 위협을 받을 것이며, 비서구 문명들은 자신의 문화의 고유한 가치를 강화해 갈 것이다.
  • 서구의 압도적인 패권은 점차 약화될 것이며 그 패권은 점차 비서구 세계, 특히 동아시아 문명으로 빠르게 이동할 것이다. 그리고 이런 패권의 이동은 비서구 사회의 자긍심과 서구 사회에 대한 거부감을 증대시킬 것이다.
  • 자유주의공산주의 이념의 쇠퇴로 인하여 종교의 이념적 가치가 부활하여 더욱 큰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할 것이다. 특히 비서구 국가들은 서구 문명의 타락성에 반감을 가지며 서구 문명에 대한 안티테제로서의 종교의 순수성을 강조할 것이다.
  • 단, 이슬람과 동아시아의 도전의 기반은 서로 다르다. 동아시아는 빠른 경제 성장에 기반을 둔 자기주장을 펼칠 것이며 이슬람은 인구 증가를 기반으로 자기 주장을 펼칠 것이다. 이 두 차이점은 두 문명의 각기 다른 도전이 세계 질서의 위협에 끼치는 정도의 차이를 야기한다. 경제 성장에 기반을 둔 동아시아는 이미 구축되어 있는 세계 질서 하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지만, 그렇지 못한 이슬람은 비 자본주의적인 방식, 즉 테러리즘과 같은 무력 행사로서 자신의 목소리를 낼 것이다. 즉, 동아시아보다는 이슬람이 더욱 세계 질서에 위협적인 존재가 될 것이다.
  • 자신들의 가치가 세계 보편적인 가치임을 주장하는 서구 문명에 맞서 동아시아(특히 중국), 이슬람의 도전이 앞으로의 세계 질서의 위협 요소 중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소가 될 것이다. 그리고 정교(러시아), 일본, 인도 문명은 이 문명의 경계선에 걸쳐서 있어, 협력과 갈등의 요인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안에 따라서는 서구의 편에, 또는 비서구의 편에 설 것이다.
  • 중국이 아시아의 패권국으로 부상하려는 것을 미국이 저지하려고 할 경우 대규모 전쟁의 가능성도 존재한다.

1.3.4 현실 세계 대입

이 책은 냉전이 종식된 직후인 1993년도에 출간된 책이지만, 이후 세계 질서 변화에서 그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다수의 주요 사건들이 발생했다.
  • 이슬람 문명과의 갈등 - 새뮤얼 헌팅턴이 예언한 이슬람 문명의 부상과 갈등은 2001년 가장 극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이후 IS의 등장과 이로 인한 일련의 테러 역시 이슬람과 서구의 갈등이 격화되는 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
  • 종교의 순수성 강화 - 서구의 타락성에 대한 안티테제로서의 종교의 순수성이 강조된 이슬람에서는 탈레반, IS와 같은 이슬람 근본주의 세력이 성장하여 서구와 대립하면서 자신의 세력권 안에 있는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원리주의를 강요하고 있다.
  • 중국의 경제적 부상 - 중국의 부상은 헌팅턴이 예상한 방식으로, 경제적인 성장과 그로 인한 경제적 패권 장악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중국의 위안화가 준 기축통화화 되면서, 미국의 달러화 본위제 기반 경제 패권 역시 위협을 받고 있다.
  • 서구와 비서구 사이의 경계선 - 서구와 비서구 사이의 경계선에서는 지속적으로 갈등이 발생하고 있으며[7], 경계선 상의 몇몇 국가들은 서구와 비서구 사이에서 시소처럼 자국의 이득을 위해 움직이고 있다.
  • 패권 이동에 따른 대규모 전쟁 - 기존의 전통적인 정치학 이론에 의하면 세계의 패권이 한쪽에서 다른 한 쪽으로 이동할 때 대규모의 전쟁이 발생한다고 한다.[8] (다행히도) 아직까지 미국중국 사이의 전쟁 가능성은 희박한 편이지만, 이 추세가 지속된다면 십수년 안에 미국과 중국의 경계선에서 대규모 전쟁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1.4 비판

헌팅턴의 문명충돌론은 냉전 이후 국제질서의 장래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이 팽배했던 학계에 경종을 울렸으며, 새로운 분쟁의 원인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주장은 좋게 말하면 '명쾌하고 냉철한 선견지명'으로 비춰질 수도 있겠지만, 나쁘게 말하면 '이분법적 숙명론에 사로잡힌 대립 선동'으로 비판받을 여지가 충분하다.

1.4.1 문명간의 충돌은 숙명인가?

문명충돌론에 대한 가장 대표적인 비판은 서로 다른 문명들 사이의 대화, 공존 가능성과 이를 위한 노력의 필요성은 평가절하한 채, 대립과 충돌의 숙명성만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문명도 엄연히 인간이 만든 것인데, 인간이 문명에 일방적으로 지배받기만 한다는 주객전도식의 오류를 저지르고 있는 것이다. 이에 반발하여 1998년 독일 학자 하랄트 뮐러도 <문명의 공존>(Das Zusammenleben der Kulturen)이란 저서를 통해 헌팅턴의 견해에 반박했다. 또 에드워드 사이드[9]는 2001년 9.11테러 직후 "무지의 충돌"(The Clash of Ignorance)이란 글로 문명충돌론을 비판했다. 그는 문화는 섬처럼 독립돼있는것이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 움직이며, 서로 다른 두 문화가 만났을 때 충돌이 아니라 양립하거나 새로운 문화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문명충돌론의 지지자들은 보스니아-코소보 내전, 9.11 테러, 이라크-레반트 이슬람국가 등의 사례가 헌팅턴의 주장이 옳았음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주장하며, 본 문서의 이전 내용도 다분히 그러한 뉘앙스를 반영하고 있었다. 그러나 알카에다와 이슬람국가가 세력, 규모 측면에서 이슬람권 전체의 입장을 반영한다고 단정할 수 없다. 그보다는 이슬람 인구가 많은 국가들 내부의 정치, 사회적인 불안정 및 취약성으로 이들 극단세력을 제대로 예방 및 통제하는 데 실패한 것이 문제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와 장래 동아시아에서 예상되는 미국, 중국 두 강대국간의 패권 경쟁도 '문명 충돌'이라는 요소만으로 단순화하기 어려운 문제다. 그보다는 동아시아 지역이 차지하는 국제적인 정치, 경제, 군사적 중요성의 비중 강화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해석이 더욱 설득력이 높다.[10] 그리고 헌팅턴의 문명충돌론 대로라면 일찌감치 중국과 동일 문명권으로 분류되는 한국, 베트남이 포섭되어 있겠지만, 오히려 문명적으로 이질적인 미국과 동맹 내지는 제휴 관계에 있는 상황이다.

1.4.2 또 다른 서구 중심주의

냉전의 종식으로 '자본주의 대 공산주의'라는 이념 대립의 구도가 무너지고, 명백한 적이 사라지자, 헌팅턴이 문명의 논리를 끌어들여 미국과 서구 세계가 상대해야 할 새로운 이념적 적대세력을 만들어냈다는 비판이다. 구 소련과 동유럽은 '정교회'로, 아랍은 '이슬람'으로, 그리고 중국은 '유교'로 이름만 바뀌었을 뿐이라는 것이 비판의 요지.

1.4.3 '문명'의 탈을 쓴 세력정치 반영

헌팅턴은 1차적으로 종교, 문화에 따라 문명권을 구분했다고 주장하지만, 실상은 국제적인 세력 논리를 이름만 바꿔 나누어 놓은 것이 불과하다. 인도와 일본을 굳이 별개의 문명권으로 구분하고,[11] 냉전 시절 공산주의 지배의 영향으로 종교의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된 러시아, 동유럽을 '정교회'권으로 구분한 것도 같은 맥락.

1.4.4 기타

경희대학교 교수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교수는 자신의 저서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에서 중국과 한국의 문명을 같은 문명으로 묶었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조선성리학과 중국식 성리학은 다른데도 말이다 자세한 차이는 추가바람.

2 미국의 정치가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
앤드루 애덤스존 애덤스새뮤얼 애덤스토머스 애덤스
존 앨솝에이브러햄 볼드윈존 배니스터조사이아 바틀렛
리처드 바셋건닝 베드퍼드 주니어데이빗 브렐리에드워드 비들
존 블레어리처드 블랜드윌리엄 블라운트사이먼 보름
카터 브랙스턴제이콥 브룸피어스 버틀러캐럴턴의 찰스 캐럴
대니얼 캐럴리처드 캐스웰새뮤얼 체이스에이브러햄 클라크
윌리엄 클링건조지 클라이머존 콜린스슈테판 크레인
토머스 쿠싱프랜시스 대나조나단 데이턴사일러스 딘
존 드 하트존 디킨슨윌리엄 헨리 드레이턴제임스 두에인
윌리엄 듀얼엘리퍼릿 다이윌리엄 엘러리윌리엄 퓨
토머스 피츠시먼스윌리엄 플로이드나다니엘 폴섬벤저민 프랭클린
크리스토퍼 개즈던조셉 갤러웨이엘브리지 게리니콜라스 길먼
나다니엘 고램버튼 그윈넷리먼 홀알렉산더 해밀턴
존 핸콕존 핸슨코르넬리우스 하니트벤저민 해리슨
존 하트존 하비패트릭 헨리조셉 휴이스
토머스 헤이워드 주니어새뮤얼 홀텐윌리엄 후퍼프랜시스 홉킨슨
슈테판 홉킨즈티투스 호스머찰스 험프리스새뮤얼 헌팅턴
리처드 허슨제러드 잉거솔존 제이토머스 제퍼슨
토머스 존슨윌리엄 새뮤얼 존슨루퍼스 킹제임스 킨제이
존 랭던에드워드 랭워시헨리 로렌스프랜시스 라이트풋 리
리처드 헨리 리프랜시스 루이스필립 리빙스턴윌리엄 리빙스턴
제임스 러벌아이작 로우토머스 린치헨리 머천트
제임스 매디슨존 매튜스제임스 매켄리토머스 매킨
아서 미들턴헨리 미들턴토머스 미플린거버니어 모리스
루이스 모리스로버트 모리스존 모턴토머스 넬슨 주니어
윌리엄 파카로버트 트리트 페인윌리엄 패터슨에드먼드 펜들턴
존 펜찰스 코트워스 핑크니찰스 핑크니페이튼 랜돌프
조지 레드조셉 리드대니얼 로베르도시저 로드니
조지 로스벤저민 러시에드워드 러틀리지존 러틀리지
나다니엘 스커더로저 셔먼제임스 스미스조너선 베이야드 스미스
리처드 스미스리처드 돕스 스페이트성 토머스 제니퍼의 대니얼리처드 스톡턴
토머스 스톤존 설리번조지 테일러에드워드 텔페어
매튜 손턴매튜 틸먼니콜라스 반 다이크조지 월턴
존 월턴새뮤얼 워드조지 워싱턴존 웬트워스 주니어
윌리엄 휘플존 윌리엄스윌리엄 윌리엄스휴 윌리엄슨
제임스 윌슨헨리 위스너존 위더스푼올리버 월코트
조지 위스


huntington.jpg

1731년 7월 5일 or 7월 16일 - 1796년 1월 5일

美 연방정부 최초의 연합회의의장

1776년 미국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인물들 가운데 1명. 코네티컷 주지사를 역임하기도 했으며 건국의 아버지(Founding Fathers)의 일원으로 불린다.

  1. 칭기즈 칸의 유럽 원정, 스페인 원정대의 라틴 아메리카 원주민 정복, 중국과 영국의 아편전쟁 등...
  2. 대한민국, 베트남, 쿠바, 그 외 다양한 제 3세계 국가들
  3. 그의 저서를 보면 실제로 그렇게 분류되어 있다.
  4. 일부 학자들은 중국과 일본 문화를 묶어 동아시아 문명으로 칭한다
  5. 아즈텍이나 마야 문명
  6. 브라질
  7. 팔레스타인 분쟁 등
  8. 무적함대 결전 및 30년 전쟁: 스페인 -> 영국 / 네덜란드, 제1차 세계대전: 영국/프랑스 -> 독일, 제2차 세계대전: 서구 유럽 -> 미국
  9. 팔레스타인 태생의 아랍계 미국 사회학자로 <오리엔탈리즘>의 저자로 유명하다. 중동연구의 선구자로 꼽힘
  10. 만약 동아시아가 정치, 경제, 군사적으로 국제질서의 주변부에 지나지 않는다면, 굳이 미국같은 패권국가가 관심을 가질 이유가 없다.
  11. 게다가 이들 두 국가는 모두 종교의 정치 개입을 부인하는 세속국가를 지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