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40번 |
기점 |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일동(강동공영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강남역) |
종점행 | 첫차 | 04:30 | 기점행 | 첫차 | 05:25 |
막차 | 23:10 | 막차 | 00:10 |
평일배차 | 4분 | 주말배차 | 7분 |
운수사명 | 서울승합 | 인가대수 | 37대(예비 1대) |
노선 | 강동공영차고지 - 강일리버파크6~8단지 - 상일동역 - 고덕역 - 동부기술교육원 - 신암중 - 암사역 - 천호동공원 - 천호역 - 강동구청역 - 풍납동극동A - 방이2동주민센터 - 송파초교 - 석촌동한솔A - 송파구민회관 - 송파강동등기소 - 아주중 - 한티역 - 역삼럭키A - 뱅뱅사거리 → 우성A → 롯데칠성 → 강남역(8번출구) → 수협서초지점 → 뱅뱅사거리 → 이후 역순 |
2 개요
서울승합이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강동구와 강남역을 잇는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고속터미널 인근의 교통체증 때문에 뱅뱅사거리까지 노선이 단축었다가 다시 강남역으로 연장되었다. 당시에는 이 노선의 차량이 부족했던 것도 노선 단축의 한 이유였다. 그러다가 361번에서 차를 야금야금 빼 와서 운행 대수가 늘어난 것.
- 2011년 4월 25일부터 강일지구를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석촌역 앞 싱크홀 발생으로 인해 우회한 적이 있다. 강남역 방향일 경우에는 "기존 구간 → 석촌역에서 우회전 → 석촌호수길 → 배명고사거리에서 우회전 → 기존 구간" 이었고, 강동차고지 방향일 때에는 "기존 구간 → 배명고사거리에서 좌회전 → 서울놀이마당 앞 삼거리(롯데월드 뒷길)에서 우회전 → 석촌호수사거리에서 우회전 → 석촌역사거리에서 좌회전 → 기존 구간" 이었다. 보통 우회 구간에서는 무정차 통과하지만, 이 때는 같이 우회하던 350번, 3012번과 함께, 우회 구간의 정류장에도 모두 정차해 승하차가 가능했다. 덕분에 석촌호수 서호 사거리에서 좌회전하는 버스 노선이 잠시나마 2개 늘어났으며, 석촌호수길에서 휠씬 자주 버스를 볼 수 있었다. 현재는 석촌지하차도 복구 작업이 완료되어 우회하던 세 노선 모두 원래 노선으로 환원되었다.
4 특징
- 강동/송파구와 대치동을 빠르게 잇는 노선으로 각광받고 있다. 게다가 대치동 학원가를 가로지르는 노선이 340번 뿐이라, 밤 10시가 되면 대치에서 송파 쪽으로 가는 학생들로 붐빈다.
- 지선노선인 3412번보다도 운행거리가 더 짧다.[5] 물론 노선 선형을 보면 제대로 분류되었다고 할 수 있다.[6]
- 지하철 환승 정류장은 9개밖에[7] 안 되지만, 버스가 잘 다니지 않는 구간을 훑고 다니는 덕분에 수익성이 좋다. 배차간격도 짧은 편에 속한다.
- 2014년 전국 시내버스 '승객수 8위'를 차지하기도 하였다.(하루 평균 25,168명 이용) 관련 기사
- 이 노선에 투입된 차량 1대가 타요로 랩핑되었다.
5 연계 철도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 강남역
- 서울 지하철 5호선 : 상일동역, 고덕역, 천호역
- 서울 지하철 8호선 : 암사역, 천호역, 강동구청역, 몽촌토성역, 석촌역
-
서울 지하철 9호선 : 신방이역, 방이사거리역, 석촌역, 삼전역, 삼전사거리역 - 분당선 : 한티역
- 신분당선 : 강남역
- 이동 ↑ 참고로 저 차는 대원여객에서 양도받은 차량이다. 차량면허와 불판휠이 아닌 것이 그 증거다.
- 이동 ↑ 사실 오랫동안 41번 좌석버스로 운행하던 게 개편 6개월 전인 2004년 1월에 도시형으로 전환된 것이다.
- 이동 ↑ 340번 외에는 서울 버스 146, 서울 버스 405, 서울 버스 652, 서울 버스 653이 있다.
- 이동 ↑ 다만, 석촌지하차도 인근 싱크홀 발생으로 인해 송파대로 버스중앙차로를 잠시 경유한 적이 있다. 고속터미널까지 운행하던 시절엔 중앙차로가 공사도 하기 전이었고.
- 이동 ↑ 340번 : 41km, 3412번 : 62.59km
- 이동 ↑ 사실 지선/간선 구분을 단순히 운행거리만으로 판단할 순 없고, 선형상 굴곡이 적으면 간선이고 많으면 지선이다.
- 이동 ↑ 9호선 3단계 구간이 개통하면 13개로 늘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