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302

서울특별시 3권역 간선버스
301302303320333340341342
350360362370§
† : 주간선노선 / § : 공동배차 노선
900px

동대문운동장(당시 명칭)까지 운행하던 시절(2008년 3월)의 모습. 동아마라톤으로 인해 광나룻길 대신 천호대로 버스중앙차로로 우회하고 있다.


상왕십리역 단축 이후 현재. 위 차량과 같은 차량이다.

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02번
기점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1동(상대원차고지)종점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도선동(상왕십리역)
종점행첫차04:00기점행첫차05:20
막차22:45막차0:08
평일배차5~15분주말배차토요일 7~13분/일.공휴일 7~20분
운수사명동성교통인가대수27대
노선상대원차고지 - 공단오거리, 공단주유소 - 상대원1동주민센터 - 영성중학교, 하대원동주민센터 - 중원구청 - 성남종합운동장 - 성일중고, 성일정보고, 동광중고(수진역) - 구. 시청, 태평1동주민센터 - 태평역 - 가천대역, 가천대학교 - 동서울대학교 - 복정역 - 장지역 - 문정역 - 가락시장, 가락시장역 - 송파역 - 석촌역 - 잠실역 - 광진구청 - 건국대학교 - 화양리 - 성수2가3동주민센터 - 한양대학교 - 왕십리역 → 상왕십리역 → 황학교, 텐즈힐몰 → 청계벽산아파트, 텐즈힐아파트 → 상왕십리역, 왕십리센트라스 → 왕십리역 → 이후 역순

2 개요

동성교통에서 운행 중인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5.46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570-2번 도시형버스(상대원 - 동대문운동장)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개편 때 번호만 302번으로 바뀌었다.
  • 2010년 8월 21일에 '동대문운동장 - 상왕십리역' 구간이 단축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4 특징

인가된 배차간격에 비해 실제 배차간격이 좋지 못하므로 미리 확인후 탑승하길 바란다.

302번 단독구간인 하대원동과 중원구청, 성남종합운동장 구간을 제외하고는 303번과 비슷하나, 구의사거리 이후 구간은 화양동 - 한양대학교 - 왕십리역 - 상왕십리역까지로 예전에는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까지 다녔었다. 더불어 차량 구성도 303번과 비슷하나 현대차도 소수 있다.

성남시는 몰라도 가락동이나, 송파구 일대에서 흥인지문을 가고자 한다면 301번을, 돈 좀 있다면(아니면 야간에 택시 타기 싫으면) 9403번을 이용하자. 302번과 달리 코엑스, 압구정, 동호대교를 건너 금호역, 장충체육관, 동대문역사문화공원을 거쳐 간다. 서울버스 홍보하는 건가?

2014년 11월 30일부터 상대원1동 차고지의 이동식 충전소 철거로 인해 운행횟수가 감소, 배차간격이 3분이상 정도 늘어났다. 하지만 상대원에서 8km 떨어져 있는 송파공영차고지로 가서 가스를 충전하자니, 송파공영차고지가 포화 상태인지라 "공장행" 팻말을 달고범일운수? 상대원1동차고지에서 (용인시 경계가 멀지않은) 구미동차고지까지 공차회송하여 가스를 충전한다. 그 전에도 대성운수 금광차고지나 신성교통 광탄차고지처럼 이동식 충전소 용량이 모자란 거 때문에 이동식 충전소가 있음에도 몇몇 차량들은 구미동차고지에서 가스 충전을 해 왔다. 문제는 구미동 - 상대원 간 공차 거리가 무려 15km라는 것. 그러니까 운운해대며 결사반대 쳐하지말고 제발 좀 상대원동 충전소 좀 만들라고!!!

여담으로, 과거에 등이 짝짝이(하나는 깜빡이 + 후미등과 후진용 등이 붙어있었고, 다른 하나는 떨어져 있었다. 부품교체 시 슈퍼 에어로시티 꺼를 가져다 쓴 듯.)인 현대 에어로 시티가 있었다. 2028호인데 2007년에 BS106으로 대차되었다.

웃긴 것은 성남시를 기점이지만, 4××번대 번호가 아니다.

2010년에 동대문운동장에서 상왕십리역으로 단축되었지만, 노선 번호 역시 302번에서 42×번대로 변경되지 않았다.

5 연계 철도역

  1. 건대앞 하차
  2. 성일중고, 성일정보고, 동광중고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