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간선버스(서울)
서울특별시 3권역 간선버스 | |||||||
301 | 302 | 303 | 320 | 333 | 340 | 341 | 342 |
350 | 360† | 362 | 370§ | ||||
† : 주간선노선 / § : 공동배차 노선 |
서울특별시 주간선버스 | |||||||||
140 | 150 | 160 | 260 | 262† | 270 | 273 | 360 | 470 | |
471 | 500† | 507 | 600 | 601 | 670† | 701 | 710 | ||
† : 공동배차 노선 |
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60번 | |||||
기점 |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송파공영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동(여의나루역) | ||
종점행 | 첫차 | 04:00 | 기점행 | 첫차 | 05:21 |
막차 | 22:50 | 막차 | 00:20 | ||
평일배차 | 3~7분 | 주말배차 | 토요일 6~10분/일.공휴일 7~10분 | ||
운수사명 | 한국brt | 인가대수 | 57대 | ||
노선 | 송파공영차고지 - 장지역.가든파이브 - 가락시장 - 잠실역.롯데월드 - 신천역 - 잠실종합운동장 - 삼성역 - 선릉역 강남역 - 신논현역 - 논현역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동작역.국립서울현충원 - 흑석역 - 노량진역 - 신길역 - 여의도환승센터 → 여의나루역 → 공작아파트 → 파크원 → 여의도환승센터 → 이후 역순 |
2 개요
한국brt에서 운영하는 주간선 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약 55.7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신설되었다.
- 2005년 7월 10일에 '영등포로터리 → 영등포역 → 영등포시장 → 영등포로터리' 구간이 단축되었으며, '영등포로터리 → 여의도역 → 앙카라공원 → 원효대교남단 → 순복음교회 → 국회의사당 → 여의서로 → 영등포로터리' 구간이 '영등포로터리 → 여의도환승센터 → 여의나루역 → 공작아파트 → 중소기업전시장 → 여의도환승센터 → 영등포로터리'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4 특징
서울을 360°로 둘러보는 노선 치후360 홍보 노선
사실 강남역~삼성역 구간 사이에만 포스코 타워가 세개 보이는 본격 포스코 홍보 노선
번호만 보면 서울 버스 150마냥 강동구와 강서구를 잇는 무지하게 긴 노선같아보이지만 현실은 시궁창
한국brt에서 운영하는 주간선노선.
지하철 노선에 조금이라도 조예가 있는 사람이라면 바로 알겠지만, 노선의 대부분이 지하철과 중복된다. 종점인 복정역환승센터부터 잠실역까지는 서울 지하철 8호선, 잠실부터 강남까지는 서울 지하철 2호선. 게다가 이제는 바로 강남역 다음인 신논현역부터 노량진, 여의도까지는 서울 지하철 9호선 중복.... OTL....인거 같지만 그래도 자주 오고, 사람들도 제법 탄다. 아니, 가축수송이다!
테헤란로에서 서울고속버스터미널로 가는 노선이 하나도 없기 때문에 공항버스 6000번 지못미 출근시간대에는 문자 그대로 콩나물시루가 연출된다. 원인은 역시나 본의 아니게 각 지하철 노선 사이를 연결하는 경로로 짜여진 노선 탓인 듯 하다. 하지만 해당 구간이 상시 정체 구간으로 소요시간이 상당하기 때문에 이 때는 지하철을 이용하는 것이 소요시간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특히 삼성역 - 영동사거리(논현역) 구간에서 이 버스를 탄다면 그야말로 상당한 시간 소요를 감수해야 한다. 바꿔 말해, 이 구간만 벗어나면 아침인데도 텅 빈 버스가 된다는 뜻이다. 앞서 말한 삼성역 - 국립현충원 구간 이전에 이 버스를 탄다면 자리에 앉아서 코앞에서 펼쳐지는 수라도를 감상할 수 있다.(...)[1] 그래도 일단 740번, 341번, 146번과 함께 테헤란로를 꿰는 노선이란 데에서 의미가 있다.
크리스마스 한정으로 차량에 크리스마스 장식을 해놓고 달리기도 했다[2].
143번과 함께 인가대수가 가장 많은 노선이 되었다.
평일 출퇴근시간대 한정으로 급행버스인 8360번을 운행했다. 360번과는 달리 테헤란로로 가지 않고 강남구청/압구정역을 거쳐 올림픽대로로 진입해 여의도까지 운행했으며 한국brt, 남성교통, 동성교통에서 공동배차로 운행했다. 2009년 12월 21일에 폐선되었다.
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 노량진역, 대방역, 신길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 잠실역, 신천역, 종합운동장역, 삼성역, 선릉역, 역삼역, 강남역
- 수도권 전철 3호선 : 가락시장역, 고속터미널역
- 수도권 전철 4호선 : 동작역
- 서울 지하철 5호선 : 신길역, 여의나루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 논현역[3], 반포역, 고속터미널역
- 서울 지하철 8호선 : 복정역, 장지역, 문정역, 가락시장역, 송파역, 석촌역, 잠실역
- 서울 지하철 9호선 :
석촌역, 종합운동장역, 신논현역, 고속터미널역, 신반포역, 구반포역, 동작역, 흑석역, 노들역, 노량진역 - 수도권 전철 분당선 : 복정역, 선릉역
-
서울 경전철 신림선 : 대방역 - 신분당선 : 강남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