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7738

서울특별시 7권역 지선버스
7011701370167017701870197021702270247025
7211§721276117612761377117713771477157719
77207722772377267727772877307733§77377738
773987728774
† : 맞춤노선 / § : 공동배차 노선
900px

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7738번
기점서울특별시 은평구 수색동(은평공영차고지)종점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1동(홍제역)
종점행첫차05:30기점행첫차06:00
막차23:20막차23:55
평일배차7~10분주말배차토 8~12분. 공휴일 10~13분
운수사명원버스인가대수13대
노선은평공영차고지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북가좌동삼거리 - 북가좌초교 - 북가좌사거리 - 백련시장 - 연희초교 - 서대문구청 → 홍은현대아파트 → 홍제역 → 고은초교 → 서대문도서관 → 서대문구청 → 이후 역순

2 개요

원버스에서 운행 중인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9.39km.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20번 마을버스가 전신이다. 이 때는 가좌교통에서 운행했으며, 차고지는 현 DMC래미안e편한세상 3단지 건너편의 택시 세차장 왼쪽 옆에 있었다. 당시 노선은 아래와 같다.
    • 요진아파트 → 모래내시장 → 사천교 → 연가교 → 서대문종합복지관 → 모래내시장 → 요진아파트 → 북가좌한양아파트 → 이후 현 7738번과 동일 → 북가좌한양아파트 → 요진아파트
  •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시내버스로 전환되었으며, 번호도 7738번으로 바뀌었다.
  • 2005년 6월 경, 요금이 마을버스 요금에서 시내버스 요금으로 올랐다.
  • 2007년 4월 23일에 모래내 구간이 단축되고 은평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다. 이에 따라 기점도 모래내에서 은평차고지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2년에 7739번이 부활하면서 일부 차량이 차출되었다. 다만 중간구간만 달랐기 때문에 실질적인 배차간격은 여전히 짧았다.
  • 얼마 후 7739번이 고은초교 구간 대신 이대부고 경유로 변경되면서 실질적인 배차간격도 길어졌다. 관련 공지사항

4 특징

  • 홍제역에서 연희동 및 서대문구청 쪽으로 가려는 승객들이 많이 이용한다. 가변 정류장(홍제동우체국)에서 기다리던 사람들이 우르르 몰려타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으며, 홍제동우체국에서 차량이 기다렸다가 출발하는 경우도 많다.
  • 7713번과 더불어 홍제역에서 고은초교로 들어가는 지선버스 노선이다. 연희동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서대문구청이나 자연사박물관에서 신촌방면 노선으로도 환승이 가능하다.
  • 서대문구 관내 초•중학교를 많이 경유한다.(북가좌초등학교, 연가초등학교, 연희중학교, 서연중학교[1] - 연희동자치회관 하차, 연희초등학교, 한성화교중고교, 연북중학교 - 서대문구청/서대문보건소 하차, 정원여중, 고은초등학교, 신연중학교) 특히, 오전에 다양한 교복의 중학생들이 몰리며 통학버스 역할도 충실히 하고 있다.
  • 유독 맞은 편 정류소에 정차할 정류소가 있다면 어떻게든 양방향 모두 비슷한 위치에서 정차하려는 모습이 있다. 실제로 연희중학교의 경우, 홍제역 방향은 삼성아파트 앞에만 정차하고 은평공영차고지 방향은 연희중학교와 연가초등학교 사이에 정차하는데 같은 구간을 운행하는 서울 버스 7019와는 달리 얘는 연희중학교 앞 횡단보도에서 내려준다.[2] 또, KT가좌지사 정류장이 홍제역 방향은 정차할 수 있는데 은평공영차고지 방향은 정차할 수 없는 구조가 되어서인지 서대문구 셔틀버스 정류장을 이용하여 중소기업은행 정류장에 유일하게 정차하는 시내버스가 되었다. 루프 구간 빼고는 꼭 양방향 정차가 원칙인듯 하다. 연희초등학교도 연희동자치회관 바로뒤에있는 연희삼거리 정류장의 영향인지 연희초등학교 정류장을 만들어서 서울 버스 서대문03과 얘만 정차해준다.

5 연계 철도역

  1. 전소미가 다녔던 중학교. 현재는 청담중학교로 전학갔다.
  2. 네이버 지도나 다음 지도에는 정류장 반영이 안되있지만 엄연히 정류장으로 여기고 승•하차 멀쩡히 한다. 또, 정류장 표시가 없기 때문에 가상으로 정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