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7022번 |
기점 | 서울특별시 은평구 구산동(선진운수종점) | 종점 |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종점행 | 첫차 | 04:30 | 기점행 | 첫차 | 05:10 |
막차 | 23:10 | 막차 | 23:55 |
평일배차 | 4~11분 | 주말배차 | 5~14분(토)/6~15분(공휴일) |
운수사명 | 선진운수 | 인가대수 | 21대(예비 2대)[1] |
노선 | 선진운수종점 - 구산동주민센터 - 신사동고개 - 응암역 - 역촌역 - 불광역 - 구기터널 - 세검정.상명대학교 - 부암동주민센터 - 청운중 - 경복궁역 - (→ 세종문화회관 → 서울특별시청 → 삼성플라자 →/← 풍문여고 ← 조계사 ← 롯데영플라자 ← 남대문시장 ←) - 숭례문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2 개요
선진운수에서 운행 중인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운행거리는 30.8km.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개편 때 구산동에서 서울역 구간을 운행하던 136-1번 버스가 노선변경 없이 지선버스 7022번으로 바뀌었다.[2]
- 2009년 7월 25일 서울역버스환승센터 회차로 변경
- 2012년 8월 28일에 '응암역 - 서부병원 - 서대문세무서별관 - 역촌역' 구간을 '응암역 - 서부경찰서후문 - 역촌역'으로 변경했다. 관련 공지사항 관련 기사
- 2015년 6월 1일부터 서울역으로 갈 때 염천교 대신 숭례문을 경유한다. 관련 공문
4 특징
- 은평구 내의 구간 수요 및 이마트 은평점 수요, 구기동, 부암동 주민들의 이용 수요가 많다. 주말 · 휴일에는 등산객 이용 수요도 많다. 특히 출근시간에는 은평구와 종로구 구간 양방향으로 수요가 폭발해 콩나물시루가 따로 없다. 심지어 버스를 타지도 못할 때도 종종 있다.
- 구기동에서 이북5도청으로 들어가는 구간을 제외하면 역촌역부터 경복궁역까지 7212번과 겹친다.
- 구산동종점에는 가스충전소가 없어서 702번 종점인 용두동영업소까지 공차회송하여 충전한다.
- 한 때 좌석버스(경유차량)가 예비차였던 적이 있다. 당시 예비차였던 차량 번호는 75사 1723호로, 운행하지 않을 때는 은평공영차고지에 주차된 모습도 목격되었다. 현재는 저상버스로 대차되고 다른 차량이 예비차로 내려갔다.
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 시청역, 서울역, 종각역[3]
- 서울 지하철 2호선 : 시청역, 을지로입구역[4]
- 수도권 전철 3호선 : 불광역, 경복궁역, 안국역[5]
- 수도권 전철 4호선 : 서울역
- 서울 지하철 5호선 : 광화문역
- 서울 지하철 6호선 : 응암역, 역촌역, 불광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서울역
- 인천국제공항철도 : 서울역
- 일반 철도역 :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 ↑ 토요일은 15대, 공휴일은 14대로만 운행.
- ↑ 이 때는 구 선진여객 면허(서울 74사 25##호, 이전 업체명은 범양여객)를 가지고 있기도 했다.
- ↑ 조계사 하차
- ↑ 우리은행 종로지점(광교) 하차
- ↑ 풍문여고, 덕성여중고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