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지선버스(서울)
서울특별시 7권역 지선버스 | |||||||||
7011 | 7013 | 7016 | 7017 | 7018 | 7019 | 7021 | 7022 | 7024 | 7025 |
7211§ | 7212 | 7611 | 7612 | 7613 | 7711 | 7713 | 7714 | 7715 | 7719 |
7720 | 7722 | 7723 | 7726 | 7727 | 7728 | 7730 | 7733§ | 7737 | 7738 |
7739 | 8772† | 8774† | |||||||
† : 맞춤노선 / § : 공동배차 노선 |
2011년에 들여온 차량으로, 7727번에 5대 있는 중형차량이다.
노선도. 출처
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7727번 | |||||
기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설문동(설문동기점) | 종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창천동(연세로 명물거리) | ||
종점행 | 첫차 | 04:30 | 기점행 | 첫차 | 05:40 |
막차 | 23:00 | 막차 | 00:20 | ||
평일배차 | 7~13분 | 주말배차 | 7~16분 | ||
운수사명 | 신촌교통 | 인가대수 | 22대 | ||
노선 | 설문동기점 - 중산1단지 - 홀트학교 - 탄현동문아파트 - 탄현큰마을 - 풍림아파트 - 서광.삼익아파트 - 동문.태영아파트 - 산들마을입구 - 발산중 - 일산경찰서 - 일산동구청 - 마두역 - 백석역 - 고양경찰서 - 서정마을 - 화전역 - 한국항공대학교 - 화전동주민센터 - 수색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가좌역.모래내시장 - 연희104고지 → 연세대정문(가변차로) → 연세로 → 동교동삼거리 → 연희104고지 → 이후 역순[1] |
2 개요
신촌교통에서 운행 중인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0.96km.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903-1번 좌석버스(탄현 - 신촌역)가 전신이다.
- 2002년경 도시형버스로 바뀌었다. 여담으로 당시 다니던 BH115H는 삼도고속의 진영-창원 시외완행에 들어갔으며 경상남도의 레어템 버스로 유명했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개편 때 번호만 7727번으로 바꾸었다.
- 이후 설문동에 새 차고지를 마련하면서 설문동으로 연장되었다.
-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공사에 따라 2013년 9월 28일부터 2014년 1월 6일까지 '연세대정문 → 신촌기차역 → 신촌로터리 → 동교동삼거리'로 우회했다.
- 2014년 8월 17일에 소만마을6~7단지 경유에서 중앙로 직통으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4 특징
왕복거리 약 61km로 신촌교통의 5개 노선 중 최장거리 노선을 자랑하며, 동시에 신촌교통의 노선들 중 유일하게 고양시 일산동구 출발 차량이다. 다른 노선인 740, 750A, 7711, 7726은 덕양구 덕은동 출발. 계열사인 신일산운수, 신일산교통은 무시하자.
지선버스 주제에 거의 일직선형(!)의, 광역버스급의 선형을 보여주는 보기 드문 서울 지선버스다. 비슷하게 탄현동에서 마주치는 동해운수의 7728번과는 완전 다른 편. 물론 100% 직선은 아니고, 행신동 지역에서 약간 V자로 꺾어들어가는 행신동 V자 드리프트구간이 존재했으며, 그외에도 항공대 앞은 2002년부터 구길로 다니고 있다. 본격 광역버스 9727번 그러나 행신동 V자형 우회 구간은 2014년 8월 17일부터 사라지고 직선화된다. 진정한 9727번의 실현
선형이 일직선이지만 모든 정류장을 서고 있기 때문에(...), 소요 시간은 다른 광역버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편이다. 물론 7728번보다 빠르겠다만...
일산서구 탄현동 주민들에게는 과거 903-1번 시절부터 '서울 가는 버스'라는 인식이 꽤 있었던 편이다. 지금은 1200번 좌석버스를 비롯해 경의선 전철도 들어서면서 이 의미는 퇴색된 편이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탄현동에서 서울로 나갈 때 많이들 애용하는 시내버스 중 하나이다. 일단 다른 노선들과 비교하지도 못할 만큼 값이 싸다. 잠깐, 탄현동에서는 7728번도 신촌 가잖아? 걔는 뺑뺑 돌잖아 탄현에서 신촌까지 경의선 타면 30분, 921번 타면 1시간, 7727번 타면 1시간 20분 걸리는 건 함정. 그 외에도 구일산, 일산신도시의 고봉로 연선 주민들이나 근처 학생들이 통학버스로도 많이 애용하는 편이다.
의외로(...) 저상버스가 투입될 만한 선형임에도 저상버스가 투입되고 있지 않다. 화전동에서 구도로를 타긴 하나, 과거 700번 간선버스도 저상버스 투입 초창기에는 구도로로 다닌 바 있어서 꼭 그런 것 같지만은 않고(...) 탄현동 내 일산동고등학교, 황룡초교 부근 도로가 왕복 2차로로 좁은데다가 일산동고 앞에서[2] 좌회전(혹은 우회전)이 껴 있다보니 투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듯. 1200번 유니도 멀쩡히 돌던데?[3] 그러므로 탄현동 주민들은 포기하면 편하다[4]
전체 24대의 차량 중 5대 정도가 중형차인 그린시티(...)로 운행 중이다.(2701, 5809, 5810, 5816, 5857) 이뭐병 2011년에 투입된 차량들인데, 과거 903-1번 도시형 시절의 로얄미디 차량 대수와 거의 비슷하게 출고했던 점을 봐서는 차고지가 좁아서 그런지 그냥 4~5대는 중형차 뽑는 게 전통인듯(...)
과거에는 7726번, 7728번과 더불어 수색교부터 신촌 회차지점까지 완전 구간이 일치하기도 했다. 특히 7728번과는 행신동 가라뫼부터 완전 구간이 일치하다. 탄현동큰마을에서 같은 정류장에 서고서는 다음으로 일치하는 정류장이 소만마을인 점(...)을 뺀다면야.[5] 지금은 7726번이 단축되면서 7728번과 유사한 편.
당연하겠지만 탄현동, 중산동에 사는 기사들이 많이 담당한다. 아무래도 계열사인 신일산운수, 신일산교통에서 스카우트된 기사들도 있다는 점도 있는데다가, 신촌교통의 일산 진출이 노선 개수만 보면 안 그래 보이지만 예상 외로 유구하기 때문에(...)[6] 일산 거주자들이 많을 수밖에 없다.[7] 이런 이유로 이 노선을 타고 탄현동, 중산동을 지나가다 보면 정류장에 정차했을 때나 신호대기 중에 기사가 길거리를 지나가던 다른 기사와 이야기꽃을 피우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특히 주말
연세로 교통통제 시 '연세대정문 → 신촌기차역 → 신촌로터리 → 동교동삼거리'로 우회한다.
5 연계 철도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 신촌역
- 수도권 전철 3호선 : 정발산역, 마두역, 백석역, 대곡역
- 서울 지하철 6호선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일산역[8], 대곡역, 화전역, 수색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가좌역, 신촌역[9]
- 인천국제공항철도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 연세로 교통통제 시 '연세대정문 → 신촌기차역 → 신촌로터리 → 동교동삼거리'로 우회한다.
- ↑ 왕복 2차로 도로 2개가 만나는 사거리다(...)
- ↑ 물론 과거 903-1번 시절 BH115H로도 멀쩡히 다니던 구간이긴 한데, 사실 저상버스는 바닥 높이가 낮은 관계로 긁히거나 그러면 답이 없다...
그쪽 도로 확장을 한다면 모를까 - ↑ 사실상 탄현동에는 저상버스가 다니지 않는다. 과거 7733번이 2007년부터 2011년 1월 13일까지 약 3년 간 탄현동 구간을 운행한 적이 있긴 하지만, 이는 경의선 전철화 사업의 일환인 삼정교 공사 때문에 우회하는 성격이 강했다.
- ↑ 탄현동2지구 삼정교 부근에서 같은 도로(일현로)를 잠깐 타긴 하지만 정류장이 없다.
- ↑ 그 유구한 역사(...)는 신촌교통 항목 참조.
- ↑ 신일산운수, 신일산교통에서 3년 무사고 운행시 곧바로 신촌교통으로 채용 자격을 준다고 한다. 그만큼 신일산운수, 신일산교통은 마을버스업체 치고는 경쟁률이 있는 편이라고.
그런데 왜 운행이 그따구냐 - ↑ 일산시장 하차 후 도보 이동.
- ↑ 신촌 연세로 교통통제 시에만 경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