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뮬레이터/컴퓨터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에뮬레이터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 다기종, ★사이클 정확성 [1]

'게임기'가 아닌 컴퓨터들의 에뮬레이터 분류이다. 대개는 게임하려고 돌리지만 참고

1 애플 계열

1.1 애플 I
  • Apple 1js - 자바스크립트 기반
  • MAME ☆
1.2 애플 II
  • AppleWin
  • AppleIIPC
  • KEGS - 오픈소스, 멀티 플랫폼. 안드로이드 버전 있음. 애플 IIGS 에뮬레이터.
  • Apple ][js - 자바스크립트 기반
  • MAME ☆
  • 안드로이드용
    • cAndy Apple
    • Apple2ix
1.3 애플 III
  • MAME ☆
1.4 매킨토시
  • vMac - 멀티 플랫폼, 안드로이드 버전 있음. 매킨토시 플러스 지원.
    • Mini vMac
  • PCE ☆

2 아타리 계열

2.1 아타리 8비트 컴퓨터

아타리 5200과 같음.

2.2 아타리 ST
  • Hatari - 아타리 ST
  • Hataroid - 안드로이드용. 아타리 ST 지원.
  • SainT ★
  • PCE ☆

3 IBM#s-1 계열

3.1 IBM 5110
3.2 IBM PC
  • PCjs - 자바스크립트 기반
  • PCE ☆
3.3 IBM PC XT
  • PCE ☆
3.4 IBM PCjr
  • Tand-Em ☆

4 IBM PC 호환기종(x86)

VMware, VirtualBox 등의 가상화 솔루션은 기재하지 않으며, CPU부터 풀 에뮬레이트 하는 에뮬레이터만을 기재한다. 참고 1, 참고 2

  • SoftWindows(구 SoftPC) - 68k/파워 매킨토시용
  • JPC - Java기반. 홈페이지
  • bochs ☆ - 멀티 플랫폼
  • PCem - 윈도, 리눅스용
오리지널 IBM PC 5150부터 펜티엄 1급 호환기종까지 다양한 종류의 IBM PC 호환기종을 에뮬레이트 하는데, 해당 실제 기종에서 추출한 BIOS가 필요하다. Voodoo 에뮬레이트도 제공.
PC의 DOS 환경을 에뮬레이트하는 프로그램으로, CPU부터 풀 에뮬레이트 하기 때문에 x86이 아닌 하드웨어에도 포팅이 되어있다. 주로 DOS 호환성능이 떨어지는 윈도 NT 계열 OS[2]에서 고전게임 돌리는 용도로 주로 쓰인다.
그리고 MS-DOS 호환 DOS가 에뮬레이터 안에 빌트인 되어있는 형태라서 별도의 DOS 디스크 이미지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반면에 다른 PC 에뮬레이터들은 DOSBox나 그 파생 계열이 아닌 경우에 거의 PC 아키텍처 자체만을 에뮬레이트하기 때문에 별도로 DOS 디스크 이미지가 있어야 한다.
안드로이드 이전에는 윈도우 CE 계열로 x86 에뮬이 많이 이루어졌다. 대표적으로 Pocket Dos와 QEMU가 있지만, 현재는 bochs에 밀려 잘 안쓰이고 있다. 윈도우 XP 이하 OS가 자주 구동되었다.
  • Pocket Dos
주로 도스 게임, 윈도우 1.x~3.x를 돌릴 때 자주 쓰였다.
윈도우 모바일(윈도 CE)이 탑재 되어있는 PDA, 전자사전, PMP 등등 포터블 기기에서 윈도우를 돌리는데 자주 쓰였다.
에뮬레이팅에 bochs를 많이 이용한다. 그런데 현재는 딱히 이렇게 할 필요까진 없어졌다. 태블릿은 베이트레일 출시 이후로 가격이 엄청나게 폭락해서 썩 비싸지 않게 되었고, PC 게임을 안드로이드로 이식하려는 작업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딱히 무언가를 돌리려고 이러는 사람의 수는 많이 줄었다. 게다가 이럴 바엔 원격 접속 프로그램을 쓰겠다는 사람도 있으니...
  • DOSBox Turbo - MS-DOS 지원.
  • Magic DosBox - MS-DOS 지원.
기존의 도스박스 터보(DOSBox Turbo)보다 훨씬 좋다. 특히 인터페이스 설정이 편리하다.

5 NEC 계열

5.1 PC-8801
  • M88
  • PC88win
  • X88000
  • QUASI88 - 멀티 플랫폼. 안드로이드 버전 있음.
  • XM8 - 멀티 플랫폼. 안드로이드 버전 있음.
5.2 PC-9801
  • Anex86 - 엡손의 9801 클론을 에뮬레이션.
  • Neko Project II
    • np2 for Android - 안드로이드용.
      • np2 android lollipop - 안드로이드용. 롤리팝용 개량 버전.
  • T98-next - PC-9821 에뮬레이터.

6 코모도어 계열

6.1 코모도어 PET
  • pet2001 - 자바스크립트 기반
  • VICE ☆
6.2 코모도어 64
  • hoxs64
  • CCS64
  • VICE ☆
  • MAME ☆
  • 안드로이드용
    • C64.emu - VICE 2.4.5 기반.
    • Vice64
6.3 아미가
  • WinUAE
  • FS-UAE - 오픈소스.
  • WinFellow alpha
  • 안드로이드용
    • Uae4all2
    • Uae4arm
    • UAE4Droid

7 후지쯔 계열

7.1 FM7/77
  • XM7 - 거의 유일한 후지쯔 FM7 시리즈 에뮬레이터. 특이하게 버전별로 구현 모델이 나뉘어있는데, V1 계통은 FM-7/8, V2 계통은 FM-77/AV,V3 계통은 FM77AV40EX/SX를 지원하는 식이다.
    • XM7 Dash - 개량버전
7.2 FM TOWNS

8 샤프 계열

8.1 X1
  • WinX1
  • X Millennium
    • X Millennium Ika Tune/T Tune : 튜닝 버전.
8.2 X68000

9 기타

9.1 PDP-1

스페이스 워가 이 컴퓨터용으로 나왔다. #(자바스크립트 기반)

  • MAME ☆
  • SIMH ☆
9.2 ZX-81/ZX 스펙트럼
  • Zero
  • Fuse - 멀티 플랫폼.
  • Speccy - 멀티 플랫폼. 안드로이드 버전 있음.
  • Unreal Speccy Portable - 멀티 플랫폼. 안드로이드 버전 있음.
  • Xpectroid - 안드로이드용
9.3 금성 패미콤
9.4 퓨타[4]
  • MAME ☆
  • InfoPyuta - 2001년에 개발 중단.
  • Tutti/Tutti II
  • ePyuTa
9.5 MSX 시리즈
  • fMSX - 오픈소스. 1994년부터 만들어온 이 바닥의 원조급 에뮬레이터로, 파생버전이 많다.
  • openMSX - 오픈소스, MSX turboR 지원. 안드로이드 버전 있음.
  • blueMSX ☆ - MSX turboR 지원. MSX 밖에도 유사한 하드웨어를 가진 기종(세가 SG-1000, 콜레코비전 등)을 일부 지원.
  • MSX.emu ☆ - 안드로이드용, iOS용. blueMSX 기반.
  • paraMSX - 국내제작, fMSX 기반.
  • RuMSX
  • MAME ☆
9.6 Amstrad CPC
  • WinAPE
  • CPCBox - 자바스크립트 기반
  • Droid-CPC - 안드로이드용
  • 등등
9.7 RC-759 Piccoline
  • PCE ☆

10 안드로이드

이쪽으로.
  1. 에뮬레이터#s-5
  2. 32비트 윈도(NT4/2000/XP Home)의 경우에는 NTVDM을 이용하여 돌릴 수 있고 VDMSound 같은 프로그램으로 사운드 에뮬레이트까지 할 수 있지만 그래도 한계가 있다. 64비트 윈도나 XP Pro(이쪽은 그룹정책에 막혀있다.)는 그것도 불가능.
  3. FM Towns의 CPU는 80386이다.
  4. ぴゅう太(일본판)/Tomy Tutor(미국판)/Grandstand Tutor(영국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