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뮬레이터/가정용 게임기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에뮬레이터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 다기종, ★사이클 정확성 [1]

1 마그나복스 계열

1.1 마그나복스 오디세이
  • ODYEMU
1.2 마그나복스 오디세이²

2 아타리 계열

2.1 아타리 2600
  • Stella
    • Droid2600 - 안드로이드용. Stella의 안드로이드 포크인 Ataroid를 발전시킨 결과물이다.
    • 2600.emu - 안드로이드용, iOS용. Stella 3.9를 기반으로 한다.
2.2 아타리 5200
  • A8E
  • Altirra
  • Atari++
  • Atari800
    • Atari800Win PLus - Atari800 기반.
  • Rainbow
2.3 아타리 7800
  • EMU7800
  • ProSystem Emulator
  • V7800 - 첫 아타리 7800 에뮬레이터.
2.4 아타리 재규어
  • VirtualJaguar

3 닌텐도 계열

3.1 패밀리 컴퓨터
  • NESticle[2] - 90년대 초중반 등장한 극초창기의 콘솔 에뮬레이터다. 25mhz라는 요구 사양은 당시로서도 낮은 편이었고, 대부분의 게임을 별 이상없이 플레이할 수 있어 오랫동안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자잘한 오류들이 많아 일부 게임에 이상이 생기거나, NESticle을 기반으로 한 홈브류 개발물들이 후에 만들어진 정확한 에뮬레이터에서 말썽을 일으키기도 한다.[3] 이후 컴퓨터의 사양이 오르고 호환성이 더 높은 에뮬레이터들이 나오면서 역사가 되었다.
  • FCEUX - 오픈소스. 가장 대표적인 패미컴/NES 에뮬레이터로, FCE Ultra라는 이름으로 2000년대 초반부터 개발되다가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잠시 개발이 중단되었고, 그 동안에 나온 FCE Ultra의 포크들을 전부 끌어모아서 FCEUX라는 이름으로 새로 개발을 시작했다. 패미컴 디스크 시스템 에뮬레이션을 지원한다.
  • Nestopia ★ - 오픈소스. 2008년에 개발이 중단되었다.
    • Nestopia UE ★ - Nestopia에 이어서 개발하는 기획으로, 2016년 현재 개발 중이다.
  • Nintendulator ★
  • VirtuaNES
  • RockNES X
  • HalfNES - 오픈소스, 자바 기반.
  • Lambnes - 오픈소스, 자바 기반.
  • PocketNES - GBA용.
  • nesDS - NDS용. 저급 언어를 무지막지하게 사용해서 만들어진 에뮬레이터로, 대단한 장인정신의 발로라 할 만하다. NDS의 해상도가 패미컴보다 낮다는 점[4]만 빼면, 실사용에 이무 지장이 없다.
  • puNES
  • NesterJ
  • higan
  • 3DNes - 스프라이트와 배경 화면을 복셀 3D로 재구성 하는 특이한 에뮬레이터. 2016년 3월 출시 이후에 화제가 되었다. 아마도 Nesticle 이래 패미컴 에뮬레이션으로, 가장 많은 관심을 끈 에뮬레이터일 것이다. 처음에는 WebGL 기반으로 만들어져 파이어폭스 위에서 구동이 가능했으나, 윈도우 버전이 출시되었고, 이후에 매킨토시, 리눅스 버전이 출시되었다. 5달러 이상의 기부를 하고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 할 수 있으며, 무료로 옛날 버전을 다운로드 할 수도 있다. 매킨토시와 리눅스는 1.1.1이 첫 버전이므로, 무료 버전이 아직 없다.
  • NeMul - 메가 드라이브용(!). 구동 영상[5]. 신기하게 보고 넘길만한 것.
  • RxNES
  • 안드로이드
    • Nesoid
    • John NES
    • Nostalgia NES
    • MultiNES - 기존의 로컬 네트워크 멀티 플레이는 물론, 인터넷 멀티 플레이까지 지원한다!
3.2 슈퍼 패미컴
  • ZSNES - 오픈소스. DOS, 윈도우, 리눅스용. 1990년대 중반의 슈퍼 패미컴 에뮬레이션 초창기에 등장한 에뮬레이터. X86 어셈블리어를 사용하여 개발한 덕분에 펜티엄 MMX 급의 CPU에서도 쾌적하게 돌아가는게 특징이다. 90년대 당시에는 가장 흔히 사용하는 것이었지만, 많은 버그가 잡히지 않은 상태에서 개발이 중단됐기 때문에 이제와서 사용할 이유가 없다. 그런데도 쓰는 사람들은 쓴다. 특히 TAS 계열 유저들. 블리자드의 배틀넷에서 배포중인 락앤롤 레이싱에 사용되었다. 사용된 버전은 1.51. 또한 레이어 기능이 있어 캡처해서 스프라이트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다른 슈퍼 패미컴 에뮬레이터에는 이 기능이 없기 때문.
  • Snes9x - 오픈소스. 윈도우용이며, 비공식적으로 수많은 플랫폼으로 이식되었다. 이식된 플랫폼들 사이에는 다른 PC OS와 안드로이드, iOS, 윈도우폰, Wii, PSP, 3DS 등이 있다.
    • PSP 버전은 여러 개의 브랜치로 나뉘어 있고, Snes9x tyl과 Snes9x Euphoria가 속도와 호환성이 가장 우수하다. 그러나 슈퍼 마리오 RPG와 같이 강력한 보조 연산칩을 사용하는 게임들은 어느 버전에서도 완벽하게 구동되지 않기도 한다.
    • 3DS 버전은 New 3DS에서 완벽하게 구동 할 수 있지만, O3DS는 느려서 구동이 되지 않았다. 결국 단순 이식이 아닌, PSP 버전과 같은 최적화를 거친 버전이 나와야 O3DS에서 사용 할 수 있는 상황이었고, 2016년 7월에 O3DS의 환경에 최적화된 'Snes9x for O3DS'가 출시되었다. 발매 초기 호환성은 분명히 낮다. 보조 연산칩을 사용하는 게임들은 BlargSNES에 비해 낫지만 음성 에뮬레이션에 오류가 많고 타일이 깨지기도 하며, 속도도 다소 불안정해 쾌적한 환경이라고 할 수는 없다.공식 GBATemp 스레드호환성 목록
  • higan ☆★(슈퍼 패미컴 한정)
  • SNEmulDS - NDS용. 호환성이 처참하다. 몇 개 돌아가는 게 있으니 알아서 사용하자. 특이한 기능으로 HUD sqeezing이라는 걸 지원하는데, NDS의 해상도가 슈퍼 패미컴에 비해 가로 해상도는 같고, 세로 해상도가 낮으므로 화면 안에 들어오도록 HUD의 위치를 조정해주는 것. HUD를 제외한 그래픽은 조금 잘려도 대부분 지장이 없으므로 화면을 찌그러뜨리지 않고 슈퍼 패미컴 게임을 할 수 있다.
  • CATSFC - NDS Supercard DSTWO용 에뮬레이터. 3DS로도 이식되었다.
  • Snes8x - Snes9x의 윈도우폰 8용. 순정으로 구동 할 수 있다.
  • BlargSNES - 3DS용. 호환성은 보조연산칩을 사용하지 않는 게임 한정으로 양호하다. 상태 세이브를 지원하지 않는다.
  • 안드로이드용
    • SNesoid - 호환성이 나쁘다.
    • Snes9x EX - iOS도 지원. Snes9x 1.53 기반.
    • SuperRetro16
    • Animaonline SNES
3.3 닌텐도 64
  • UltraHLE - 하이 레벨 에뮬레이션이라는 기능을 처음으로 제시한 에뮬레이터. 1999년 1월 28일에 출시 되었다. 5세대 이후의 콘솔 게임들은 기본적으로 고급 언어를 시용한다는 점을 이용해 CPU 명령어 수준이 아닌 소스 코드 수준에서의 에뮬레이션을 제공한다. 최소 사양이 300MHz로 매우 낮고, 호환성은 더 낮다(...). 출시 이후에 업데이트도 없기에 사용할 필요가 전혀 없다.
  • Project64 - 아직까지도 개발되고 있는 N64 에뮬레이터. 상당히 널리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N64 에뮬레이션을 진작부터 구현하는 데에 큰 역할을 했지만, 에뮬레이션의 정확성이 주목을 받기 시작한 2010년대 이후로는 정확도가 매우 낮은 에뮬레이터라며 까이고 있다. 버전 2.0에서부터는 공식 설치파일에 별다른 경고없이 애드웨어를 포함시킨 행위로 큰 비난을 받았다. (무설치 압축 파일엔 없었음) 수많은 논란 끝에 해당 업데이트로부터 3년이나 지난 2016년 7월에 애드웨어를 다시 제거했다.
  • Nemu64
  • 1964
  • Mupen64 - 2005년을 마지막으로 개발이 종료된 에뮬레이터. 이후에 Mupen64Plus에서 개발을 이어받아 현재도 업데이트가 진행 중이다. Project64와 함께 가장 안정적이고, 널리 쓰이는 에뮬레이터. 다만 PJ64나 이쪽이나 호환성이 완벽과는 거리가 있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양 쪽을 모두 써야 하는 경우가 많다. 안드로이드, Wii 등의 다른 OS로도 이식되었지만 호환성은 더 나쁘다.
  • SixtyForce - macOS용 상용 에뮬레이터[6]이다.
  • CEN64 ★ - N64 에뮬레이션이 같은 세대의 기기인 플레이스테이션 1은 고사하고 돌핀의 게임큐브, Wii 에뮬레이션보다도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점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2012년에 개발을 시작한 에뮬레이터이다. 멀티코어 연산을 지원하는 등 최신 컴퓨터의 성능을 다방면으로 이용해 정확한 에뮬레이션을 구현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2016년 현재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계열의 에뮬레이터가 으레 그렇듯 요구 사양이 꽤 높기 때문에[7] 아직 실제로 사용하기는 힘들다.
  • 안드로이드용
    • N64oid - Mupen64Plus 기반. 개발 중단.
    • Mupen64+AE FREE, Mupen64Plus AE - Mupen64Plus 기반.
    • Mupen64 Plus, FZ - Mupen64Plus, GLideN64 기반.
3.4 게임큐브, Wii
  • Dolphin - 처음에는 게임큐브용 에뮬이었으나 Wii 에뮬레이트도 지원하면서 오픈소스로 전환되었다. 모든 종류의 게임기 에뮬레이터 사이에서 가장 먼저 DirectX 12 렌더링을 지원하는 등 매우 발빠르게 최신 기술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에뮬레이션의 정확성을 추구하고 작동하지 않는 게임의 수를 꾸준히 줄이고 있다. 위의 CEN64와 아래의 CEMU와 함께 현재 가장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 에뮬레이터이다.
3.5 Wii U
  • Cemu - 클로즈드 소스. GBATemp. 해당 문서 참조.

4 세가 계열

4.1 SG-1000
  • blueMSX ☆
  • MSX.emu ☆
  • Kega Fusion ☆
4.2 세가 마스터 시스템
  • Kega Fusion ☆
  • 안드로이드용
    • Gearoid ☆
    • MasterGear ☆
    • MasterEmu ☆
4.3 메가 드라이브
  • Genecyst - MS-DOS용.
  • KGen, KGen98 - MS-DOS 시절에 Genecyst와 쌍벽을 이룬 메가 드라이브 에뮬. 이후에 Kega Fusion으로 이어졌다. 국내에는 옛날에 KGen98과 롬 파일이 담긴 CD가 'PC 게임방'이란 이름으로 팔린 적이 있다.
  • Kega Fusion ☆
  • Genesis Plus - 멀티플랫폼용.
    • Genesis Plus GX ☆ - Genesis Plus 1.2a 기반.
  • Gens - 오픈소스. 2006년에 2.14 버전이 나온 뒤로 업데이트가 없다. Kmod라는 레이어를 켜고 끌 수 있는 버전도 있다.
  • Gensoid - 안드로이드용.
  • MD.emu ☆ - 안드로이드용, iOS용. 세가 마스터 시스템과 메가 드라이브, 그리고 메가 CD를 지원. Genesis Plus/Gens/PicoDrive/Mednafen의 부분 기반.
  • JenesisDS - NDS용. NDS치고는 잘 돌아간다. 이후에 개발자 Lordus가 DraStic에 참여하면서 같은 개발자의 에뮬레이터 두 개가 겹쳐서 돌아가는 기행을 볼 수 있게 되었다. 메가드라이브용 패미컴 에뮬레이터를 돌리면 세겹, 윈도우용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까지 돌린다면 네겹, vm웨어까지 쓰면 다섯겹까지 가능하다. 아니 그러면 어차피 이론적인데 vm웨어를 무한으로 쓰면 되잖아.
  • Exodus ★
  • PicoDrive ☆
4.4 피코#s-9
  • PicoDrive ☆
  • Genesis Plus GX ☆
4.5 세가 새턴
  • Girigiri Project
  • SSF
세가 새턴 에뮬레이터 가운데 가장 안정적인 구동력을 보여주는 에뮬레이터. 호환 기판인 ST-V도 지원. 또한 몇 없는 일본제 에뮬레이터이다. 대신 별도 가상 이미지 프로그램을 굴려야하는 것을 비롯해 불편한 인터페이스가 단점. Windows 8.1에서는 구동은 가능하나 키가 입력되지 않는다!! DirectInput 관련 문제인 모양. Windows 10에서는 문제없이 돌아간다.
  • Yabause
인터페이스가 확실히 직관적이고 쉬운데, 게임 구동, 특히 소리에 있어 안정성이 좀 뒤처진다. 자체적으로 이미지 파일을 구동시킬 수 있지만 ISO 포맷 한정이며, 이 밖의 가상 이미지는 SSF처럼 별도 프로그램으로 마운트를 해야 한다.
  • Saturn.emu - 안드로이드용, iOS용. Yabause 기반.
실행을 못할 수준이라 언제인가 플레이 스토어에서 내려졌다. 여기에서 받을 수는 있으나, 업데이트가 없으며, 권장하지 않는다.
  • uoYabause - 안드로이드용.
2015년 7월에 플레이 스토어에 등장한 에뮬레이터로, 이전까지의 에뮬들에 비해 놀라울 정도로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비유하면 답답한 nds4droid, Dsoid만 이용하다가 갑자기 DraStic이 강림한 것처럼.
4.6 드림캐스트
  • Chankast
본격적인 드림캐스트 에뮬레이션의 시대를 열어제꼈지만, nullDC의 입지에 밀리면서 사실상 중단.
  • nullDC - 오픈소스.
사실상 개발 중단이라는 이야기가 있고, 에뮬레이션의 완성도 자체는 처음 나왔을 때와 크게 달라진게 없다. 현재 오픈소스팀에서 나오미 지원 버전도 내놓고 있지만 demul에 비해 구동이 엄청나게 까다롭기 때문에 쓰는 이는 몇 없다.
  • Makaron
타 에뮬레이터에서는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 WinCE 기반의 게임이 잘 구동된다는 이야기가 있다. 하지만 다른 에뮬레이터들과는 달리 설치식이고, 이전 버전을 제대로 언인스톨하지 않고 덮어씌우면 아무 게임도 구동할 수 없게 되는 등 이래저래 까탈스럽다.
  • demul
호환 기판인 나오미는 물론이고 아토미스웨이브까지 지원하는데다가 넷플 기능까지 지원. 일단 사양만 되면 나오미 게임은 원활하게 넷플되는 경지에 와있다. 업뎃이 엄청나게 느리다는 것이 단점.
  • reicast - 안드로이드용.
안드로이드 버전 치고는 매우 잘 돌아가는 편이다. 듀얼 코어 정도의 기기에서도 60프레임을 뽑는 놀라움을 보인다. 그러나 롤리팝 이후 버전은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고 있다. 다만 개발자 SNS에 롤리팝 유저를 위해 디버그 버전을 업로드해 두었는데 일부 기기에서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v7 버전을 설치하면 불안정하지만 구동은 된다. 소닉 어드벤처는 잘 돌아가지만, 소닉 어드벤처 2는 비정상적으로 빠른 속도 때문에 플레이가 불가능.

5 NEC 계열

5.1 PC 엔진
  • Turbo Engine - 7z로 압축된 롬 파일도 바로 읽을 수 있다. 2010년도에 v0.32가 나온 뒤로 잠잠한 상태다.
  • YAME
  • Magic-Engine - 몇 없는 유료 에뮬레이터. 다만 이쪽은 PC-FX 버전인 Magic-Engine FX도 개발하고 있다.(무료인 mednafen에 비해 처참하지만...) Ootake보다는 못하지만 높은 완성도를 보인다. 사양은 Ootake보다 낮다.
  • Ootake - 일본산이고, PC 엔진 에뮬레이터 가운데 최고의 구동 능력을 갖고 있다. 마우스나 메모리128 기능을 지원하며, 아케이드 전용 게임도 잘 돌아간다. 인터페이스 편의성은 매직 엔진에 비해 좋지 않은 편.
  • PCEjin - mednafen 기반.
  • PCE.emu - 안드로이드용, iOS용. mednafen의 소스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 mednafen ☆
5.2 PC-FX
  • Magic-Engine FX
  • mednafen ☆
  • Xe ☆

6 SNK 계열

6.1 네오지오

아케이드 기판 에뮬레이터 항목 참조.

6.2 네오지오 CD

7 SCE 계열(플레이스테이션 시리즈)

7.1 플레이스테이션
  • Pops
PS3, PS2와 PSP에 탑재된 소니의 공식 에뮬레이터. 다운로드로 판매되는 PS 어카이브즈 게임이나, PS2의 하위호환 기능은 이 에뮬레이터로 돌아간다. 기기 내부에 탑재된 만큼 개인이 이용할 수 없었지만, PSP와 PS2가 해커들에게서 뚫린 결과 현재는 임의의 롬파일도 실행 할 수 있게 되었다.
  • PSEmu Pro
초창기에 등장한 PS 에뮬레이터, 이후에 ePSXe나 SSSPSX, FPse 같은 에뮬레이터의 기반이 되었다.
이쪽은 콘솔용 에뮬레이터로 상당히 유명했다. 소니의 소송으로 망했어요가 되어버렸지만...
7.2 플레이스테이션 2
  • PCSX2 - 오픈소스.
  • Play!
  • 플레이스테이션 3 용 PS2 에뮬레이터. 초기형 PS3에서는 기본적으로 지원되어 (호환되는) 모든 PS2 디스크를 실행할 수 있었다. 후기 모델에서는 제거되었지만 커스텀 펌웨어를 설치하면 모든 기종의 PS3에서 PS2 디스크(혹은 디스크 이미지 파일)를 실행할 수 있다.(커스텀 펌웨어 자체는 모든 기종에 설치 가능하지 않다.)
7.3 플레이스테이션 3

8 MS 계열(엑스박스 시리즈)

8.1 엑스박스(XBOX)
  • cxbx - 오픈소스.
  • dxbx - 2011년 4월에 갑자기 업데이트 중단을 선언했다. 아마도 마소측과 모종의 무언가가 있었을 것으로 추측.
  • XQEMU - 오픈소스. QMEU 기반. 현재 개발 단계에 있다. 개발 초기단계라 더 기다려야 할듯. 여기 참조.
8.2 엑스박스 360(XBOX 360)

9 기타

9.1 페어차일드 채널 F
9.2 인텔리비전
  • MAME
  • Nostalgia
  • jzintv
    • jzintv4droid - 안드로이드용.
9.3 콜레코비전
  • ColEm - 오픈소스, 안드로이드 버전 있음. fMSX의 제작자가 제작했다.
  • blueMSX ☆
9.4 벡트렉스(Vectrex)
  • ParaJVE
  • MAME ☆
9.5 슈퍼 카세트 비전
9.6 FM TOWNS 마티
9.7 3DO
  • 3DOplay
  • 4DO
  • Real3DOPlayer - 안드로이드용.
  • FreeDo
  • Phoenix
  1. 에뮬레이터#s-5
  2. 이 이름은 패미컴의 북미판/유럽판 명칭인 NES와 testicle의 합성으로 보인다. testicle은 고환이라는 뜻이다(...).
  3. 가령 MOTHER의 영문판 베타 버전을 기반으로 공개된 Earthbound Zero는 이 Nesticle에서 구동되지 않아 해킹팀에서 수정을 해야 했다.
  4. 패미컴은 256x224(일부 유럽 게임들은 256x240)이지만 NDS는 256x192로 세로 해상도가 모자란다.
  5. 구동 영상에 깜빡임이 많은데, 업로더의 말에 따르면, 유튜브 영상은 30 프레임이기 때문에 원래의 60 프레임 영상에 비해 깜빡임이 적게 느껴지는 것이라고 한다.(...)
  6. 무료 버전이 있지만 기간이 지나면 상단에 개발팀의 로고가 뜨고 일부 설정이 비활성화된다.
  7. higan과 마찬가지로 64비트 전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