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 공화국 Republik Österreich | ||
국기 | 국장 | |
1919년 ~ 1934년 | ||
위치 | 오스트리아 | |
수도 | 빈 | |
정치체제 | 공화제 | |
국가원수 | 대통령[1] | |
언어 | 독일어 | |
민족 | 오스트리아인, 독일인 | |
종교 | 가톨릭 | |
주요사건 | 1919년 독일계 오스트리아 해체 동년 제1공화국 수립 1934년 오스트리아 연방국 결성 | |
통화 | 오스트리아 크로네 오스트리아 실링 | |
성립 이전 | 독일계 오스트리아 공화국 라지타반샤그 | |
멸망 이후 | 오스트리아 연방국 |
1 개요
제1차 세계대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패배하고 독일계 지역이 따로 구분되어 세워진 공화국.
2 역사
2.1 설립
1919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제1차 세계대전에서 패배한 이후 수립된 독일계 오스트리아 공화국은 전승국들과 생제르망 조약이라는 이름의 강화협정을 체결한다. 미국의 대통령 우드로 윌슨이 내세운 민족자결주의를 앞세우며 전승국들은 패전국인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만 제국을 해체시켰다.
이미 제국 내 영토였던 주데텐란트를 신생국 체코슬로바키아에게 넘겨주어야 했으며, 쥐트티롤 역시 이탈리아에게 넘어갔으며 이외에도 남부 영토의 상당 부분을 유고슬라비아에게 할양해야만 했다. 여기에 오스트리아 인들이 사는 영토 중에서도 두 지역을 뺏길 뻔 했으나 가까스로 지켜냈다.[2][3]
그리고 결정타로, 전승국들은 국제 연합의 승인 없이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합방을 금지시켜버린다. 민족자결주의를 내세우면서 자신들의 화려했던 제국을 해체시켜놓은 주제에, 정작 독일인들의 민족자결주의는 제한하는 전승국들의 행태는 오스트리아인들의 불만을 점점 커가게 만들었고, 이렇게 뒤숭숭한 상황속에서 1920년 새 헌법이 제정되고 독일계 오스트리아 공화국은 신생 오스트리아 공화국으로 계승된다.
2.2 혼란
종전 직후 우파와 좌파가 제각기 반란을 일으키며 사실상 내란 상태로 하루가 멀다하고 거리에서 총격전이 일어났던 독일과 달리 그래도 오스트리아는 좌익과 우익이 연정을 이루어서 상대적으로 안정된 상황이기는 했다. 하지만 이것도 어디까지나 '상대적'인것인지 신생 오스트리아 공화국 역시 혼란스럽기는 매한가지였다. 이중제국 시기 제국을 먹여살리던 공업지역의 대부분은 체코슬로바키아의 영토로 넘어갔기 때문에 경제난이 심각했으며[4], 역사상 단 한번도 '독일민족으로만 이루어진 오스트리아'라는 국가가 존재한 적도 없었기 때문에 국민들의 정체성에마저 의문부호가 붙는 현실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정국을 주도한 것은 기독교 민주주의를 제창하는 기독사회당이었다. 기독사회당은 산업 자본가들과 가톨릭 교회와 협력하여 정국을 주도해나갔지만, 여전히 좌익과 우익 사이의 격렬한 대립[5]으로 정국은 혼란스러웠다.
2.3 나치즘의 대두
이런 상황에서 파시즘 성향의 엥겔베르트 돌푸스가 1932년 집권하고, 집권 직후인 1933년 의회를 해산하고 독재정치를 펼치기 시작한다. 한편 1933년 무렵이 되면 오스트리아 내에서도 나치즘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기 시작하는데, 비슷한 파시즘 계열임에도 돌푸스 내각은 오스트리아 나치당을 탄압하는데 몰두한다. 가톨릭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던 돌푸스 정권은 반 기독교적이었던 나치당에게 의구심을 품고 있었던 데다가, 오스트리아 나치당을 가만히 내버려두었다가는 오스트리아가 결국 독일에게 흡수당할 것이라는 생각예언을 떨칠 수가 없었기 때문. 덕분에 오스트리아의 거리는 기존의 좌파 vs 우파 대결에서 좌파 vs 우파 vs 나치당 지지자 사이의 삼파전으로 한층 더 개판 혼란스러워졌다.
나치당을 제압하기 위해 1934년 5월 돌푸스는 새로운 헌법을 발표한다. 돌푸스와 기독사회당의 독재 체제를 강화한 소위 '1934년 5월 헌법'을 통하여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은 오스트리아 연방국으로 명칭이 변경되고 이렇게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만다.
2.4 역대 대통령
대수 | 이름 | 재임기간 |
1대 | 카를 자이츠 | 1919~1920 |
2대 | 미하엘 하이니슈 | 1920~1928 |
3대 | 빌헬름 미클라스 | 1928~1934 |
3 관련 문서
- ↑ 실권자는 총리
- ↑ 하나는 케른텐 주의 남동부지역으로, 당시 슬로베니아 인들이 주로 거주하는 지역이었다. 이 곳을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이 차지하려고 했으나 1920년 10월 20일 실시된 주민투표로 계속 오스트리아의 영토로 남게 되었다.
- ↑ 다른 하나는 부르겐란트 주인데, 이 지역은 1647년부터 쭉 헝가리의 영토였고, 헝가리 인들은 이 곳을 '서헝가리'라고 불렀다. 이 지역은 대다수가 독일어 사용자들이었으나 소수의 크로아티아어와 헝가리어를 사용하는 주민도 있었다. 1921년 생제르맹 조약에 의해 오스트리아의 영토가 되었으나 또다른 주민투표로 이 곳의 한 도시인 쇼프론은 헝가리의 영토로 남았다. 오스트리아는 이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었으나 여전히 헝가리의 영토로 남아있다.
민주주의의 표본. - ↑ 근데 역으로 신생 체코슬로바키아나 유고슬라비아 역시 금융자본은 전적으로 빈에게 의지해야했기 때문에 힘들었던건 양측이 똑같다.
- ↑ 1927년 좌익과 우익 세력 간의 노상충돌 상황에서 1차 대전 참전용사와 어린 아이가 우익 세력에게 살해당하자 좌익 주도하에 전국인 총파업과 시위 등의 소요사태가 1930년까지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