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중의원 총선거 | ||||
2009년 8월 30일 | ← | 2012년 12월 16일 | → | 2014년 12월 14일[1] |
제45회 일본 중의원 총선거 |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총선거 |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총선거 |
정권교대 총선 | ← | 가미카제 총선 | → | 제2차 소비세 총선 |
1 개요
2012년 12월 16일 일본에서 치러진 중의원 총선거. 선거 결과 야당이었던 자민당이 압승하여 자민당 정권이 복귀하고 아베 신조 2차 내각이 성립하였다. 통칭 가미카제 총선이라고 불리는데, 민주당 노다 총리가 선거에서 전혀 이길 가능성이 없는(...) 중의원 해산을 했기 때문이다. 예상대로 선거 결과는 처참하기 이를 데 없는 폭망. 3년 전의 자민당보다도 망한건 물론이고 심지어 1993년 총선에서의 사회당(70석/512석)보다도 망해버렸다. 그나마 위안이라면 압승한 자민당이 2009년 압승한 민주당보단 의석을 덜 차지했다는 것 정도.(...) 리즈시절을 떠올리며 추억팔이나 할뿐입죠
2 상세
2.1 배경
2009년 8월 30일 제45회 일본 중의원 총선거를 통해 성립한 민주당 내각은 집권 초기부터 선거자금 스캔들로 지지율이 급격히 떨어졌고, 이후 동일본 대지진 당시 보여준 부실함과 소비세(한국의 부가가치세에 해당) 인상(5% → 10%) 결행, 2차 대전 이후 유례없는 살인적인 엔고 방치 등으로 인하여 지지율이 바닥을 치고 있었다.
이에 노다 요시히코 내각은 여러가지 무리수를 써가면서 중의원 해산을 연기하려고 시간을 끌었지만, 여당인 민주당에서 오자와 이치로를 포함한 유력인사들이 미래당으로 분당하면서 중의원 과반수가 힘겹게 된 데다 여론에 밀려 결국 2012년 11월 중의원 해산을 선언하고 만다. 그리고 이에 따라 선거가 발생하게 되었다.
2.2 선거결과
선거일 | 2012년 12월 16일 |
선거내용 | 지역구(소선거구제) 300명 + 권역별 비례대표 180명(석패율제 시행) |
선출인원 | 480명 |
투표율 | 59.32% |
파일:Attachment/dfadfasdfasdf.png
선거결과 | ||||||||||||||||
정당 | 지역구(소선거구제) | 비례대표 | 획득 의석 | 선거이전의석 | 증감 | |||||||||||
여당 | 민주당 | 13,598,773 | 22.8% | 27 | 9,628,653 | 15.9% | 30 | 57 | 231 | -174 | ||||||
국민신당 | 117,185 | 0.1% | 1 | 70,847 | 0.1% | 0 | 1 | 2 | -1 | |||||||
야당 | 자유민주당 | 25,643,309 | 43.0% | 237 | 16,624,457 | 27.6% | 57 | 294 | 118 | +176 | ||||||
공명당 | 885,881 | 1.4% | 9 | 7,116,474 | 11.8% | 22 | 31 | 21 | +10 | |||||||
일본 유신회 | 6,942,353 | 11.6% | 14 | 12,262,228 | 20.3% | 40 | 54 | 11 | +43 | |||||||
다함께당 | 2,807,244 | 4.7% | 4 | 5,245,586 | 8.7% | 14 | 18 | 8 | +10 | |||||||
일본 미래당 | 2,992,365 | 5.0% | 2 | 3,423,915 | 5.6% | 7 | 9 | 61 | -52 | |||||||
일본 공산당 | 4,700,289 | 7.8% | 0 | 3,689,159 | 6.1% | 8 | 8 | 9 | -1 | |||||||
일본 사회민주당 | 451,762 | 0.7% | 1 | 1,420,790 | 2.3% | 1 | 2 | 5 | -3 | |||||||
신당대지 | 315,604 | 0.5% | 0 | 346,848 | 0.5% | 1 | 1 | 3 | -2 | |||||||
신당일본 | 62,697 | 0.1% | 0 | 불출마 | 불출마 | 0 | 1 | -1 | ||||||||
신당 개혁 | 불출마 | 불출마 | 0 | 134,781 | 0.3% | 0 | 0 | 0 | 0 | |||||||
행복실현당 | 102,634 | 0.1% | 0 | 216,150 | 0.3% | 0 | 0 | 0 | 0 | |||||||
무소속 | 1,006,468 | 1.6% | 5 | 불출마 | 불출마 | 0 | 5 | 7 | -2 |
2.3 해석
민주당과 미래당은 뭉쳐도 모자랄 판에 분당까지 해가지고 같이 망했다. 물론 민주당 정권에서 소비세를 5%에서 10%로 인상했을 때 이미 결정된 선거였기 때문에 분당한다고 뭘 어떻게 해볼 수 있는 단계는 아니었다. 괜히 이코노미스트에서 가미카제 선거라며 비아냥댄 게 아니라니까
민주당과 미래당 대표인 노다 요시히코와 오자와 이치로는 자기 지역구를 수성했지만, 간 나오토나 가이에다 반리 등 민주당의 주요 인사들이 줄줄이 지역구에서 낙선하고 석패율제 비례대표로 간신히 살아남는 굴욕을 당했다. 미래당은 현역 의원 대부분이 낙선하고 오자와 이치로와 가메이 시즈카만 지역구에서 살아남았다.
자민당은 비례대표에서 27%의 득표를 얻는데 그쳐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선거구에서 40% 초반의 득표를 기록해 지역구에서 20%대의 득표를 그친 민주당을 완전히 떡실신시켜서, 자민당 + 공명당 연립정권은 중의원 2/3를 장악하는 엄청난 선거 결과를 거뒀다.
극우 성향의 정당인 일본 유신회는 칸사이 지역의 선전을 기반으로 54석을 얻었지만 목표치인 100석에는 한참 미달하였으며, 칸토 지역구에서 전멸하는 등 별로 좋은 결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다함께당은 18석을 얻어 나름대로 입지를 구축했다.
일본 공산당은 1석만 줄어드는 등 나름 선방했지만, 일본 사회민주당은 대참패했고, 기타 정당과 무소속은 위의 표대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