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속

無所属 / Independent

즉 어디에도 속하지 아니하다는 뜻.

1 사전적 의미

1.1 일반적인 의미

문자 그대로 그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지만, 엄밀히 말해 사람이 살아가는 이상 가져다 붙일 만한 것은 많다. 당장 자기 자신만 해도 가족이라는 집단에 속하며, 가족이 없어도 학교직장, 국가, 더 나아가 지구라는 테두리 안에 속한다. 따라서 실제로 완벽히 무소속인 사람은 그 어디에도 없다. 설사 무소속에 완벽히 포함되는 사람이 있더라도 그 사람은 무소속에 소속되기 때문이며, 애초에 그럴 수도 없고 살아있는 사람은 생존자, 사망한 사람은 사망자에 소속된다.

그러나 무소속에 소속되는 존재자가 무소속에 소속되기 때문에 그럴 수가 없다는 주장은 러셀의 역설과 다름없다. 또한 이런 방법의 접근은 범주를 구분하는 인식적 행위에 의해 덧씌워지는 것이므로, 인간 의식과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자연적 속성이라고 볼수는 없다. 즉 애초부터 소속/무소속의 구분이 주관적인 셈.

1.2 선거에서의 의미

다만 선거에서 말하는 무소속이라면 그 어느 정당에도 가입하지 않은 정치인[1][2]을 가리킨다. 소속 정당이 없기에 무소속인 셈. 말하자면 정치계의 프리랜서다.

공직선거법에 의하면, 정당의 공천장으로 등록하는 정당추천후보자와는 달리 무소속후보자는 선관위로부터 추천장을 교부받아 선거구민으로부터 일정 수 이상의[3] 추천을 받아야 등록할 수 있다.
정당의 당원은 후보자 등록 전날까지 소속정당을 탈당하여야 하며, 이를 위반할 경우 후보등록이 무효 처리된다.

무소속 정치인도 그 입지가 천차만별이다. 국가의전서열 2위인 국회의장부터, 군소후보로 분류되는 듣보잡까지... 이러한 무소속 정치인이 발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국회의장은 원내 다수당 의원 중에서 선출하는 것이 관행이나, 현행법상 국회의장은 공정성, 중립성을 위하여 당적을 가질 수 없으므로 취임 직전에 탈당하여 무소속이 된다. 물론 이때는 법에 그렇게 되어있으니 형식상 탈당할 뿐이고 임기가 종료되면 원래 소속되었던 정당으로 복귀하는 게 일반적.
  • 탈당자
어떤 당에 있다가 탈당한 무소속 의원들도 많다. (다만 지역구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 의원 선거에서 후보자를 내지 않은 정당은 무소속 후보자가 그 정당에서 지지받고 있음을 표명할 수 있다). 인지도가 높은데도, 당 내부의 경선에서 밀려서 공천받지 못했을 때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도전하는데 이때 무소속 출마자는 당선되면 자신을 내친 그 당으로 바로 복귀할 것을 선언하고 당은 설사 당선돼도 받아주지 않겠다고 선언한다. 낙선하면 정치 생명은 끝이지만, 당선하면 바로 복귀하여 앙금을 씻고 활발히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 20대 총선새누리당 탈당 후 무소속 당선자 7명은 당에 일괄 복귀했으나[4], 더불어민주당 탈당 후 무소속 당선자 2명(이해찬, 홍의락)은 복당 여부가 불분명하다.[5]
  • 기타
정치 신인 등 정당 공천을 받지도 못하고 그렇다고 정당을 만들 능력도 없는 사람들. 이렇게만 보면 정당에도 못 들어간 듣보잡들이 혼자 나대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무소속이라 함은 어느 정도 입지를 갖추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나갈만 한 능력이 되니까 나오는 것.

보통 선거에 나서면 결과는 처참하기 그지없다. 정당에 소속하여 출마한 다른 후보에 비해 지명도도 적을 뿐더러 당의 지원을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당적을 가졌다 탈퇴한 경우를 빼면 "그런 사람 있었나?" 할 정도로 안습한 지명도를 가진 경우도 많다.

그러나 무소속으로 성공한 사람이 없는 것도 아니고. 그래서인지 각 정당은 의외로 무소속 출신 인물을 포섭하는 데에 애를 쓰고 있다. 타 정당에서 포섭해 오는것도 가능하긴 하지만 그런 철새 같은 인물에 대한 시선이 좋을 리도 없고. 신뢰감이 약간 떨어지는지라...

그 유명한 2008년 재보궐선거고성군(강원도) 군수 1표차 당선자와 낙선자도 모두 무소속이었고,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무소속으로 7선에 성공한 기초 의원들이 주목받고 있다.기사

2016년 미국 대선 주자인 버니 샌더스는 무소속임에도 힐러리 클린턴, 젭 부시, 도널드 트럼프, 벤 카슨과 같은 유력 주자에 뒤지지 않는 지지율을 얻었다. 정치 세력이 공화당민주당으로 양분되어있고 무소속 후보는 (로스 페로의 예 처럼) 이 두개 당 중 한 쪽으로부터 표를 빼앗아서 다른 쪽 당을 유리하게 하는 들러리 수준으로 취급되던 것에 비하면 심상치 않은 흐름이라 예의 주시되고 있다. 현재는 민주당에 합류한 상태.

여담으로 선거 개표방송 등에서 무소속 후보의 정당 표시 부분은 대개 흰 배경에 검은색 글자로 무소속이라고만 쓰는데, 일부 사람은 이것을 잘못 알아서 "정말 무소속이란 정당이 존재하나보다." 하는 때도 있다(...). 아닌게 아니라, 1996년 제15대 총선때는 누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무소속전국연합이라는 이름의 정당 등록을 신청했으나 혼동될 우려가 있음을 이유로 거절당한 적이 있다.[6]

1.3 대한민국 20대 국회 무소속 국회의원

1.4 그 외

스포츠 분야에서는 보통 "자유계약선수(Free Agent)"라고 한다. 보통 특정 구단과의 계약이 만료되거나 강제로 계약이 해지되는 경우 발생하며, 이전 소속팀의 간섭 없이 다른 구단으로 자유롭게 이적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축구, 야구, 농구, 배구 등의 단체 스포츠에서는 개인만으로 경기를 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은퇴하지 않는 이상 당연히 새로운 구단에 입단하는 것이 원칙이다. 또한 무소속으로 장기간 있을 경우 선수의 상태나 경기 감각 등에 이상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라도 가급적이면 빠른 시일 내에 새로운 구단에 들어가게 된다.

참고로 스타판이 원숙한 이후 케스파 소속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케스파등신같은 규정상 무소속이 존재할 수 없으며 반드시 게임단에 들어가야 한다. 그러나 2011 ~ 2012년 경 몇몇 게임단이 해체되어 졸지에 무소속이 된 선수들이 몇 명 있긴 했다. 방송 경기에 나온 사례로는 아마도 구성훈지난 시즌시드를 받아 듀얼 토너먼트에 출전한 것이 유일.

스타크래프트 2 리그의 경우에는 오픈 대회로 펼쳐지기 때문에 특정 조건만 갖춰진다면 무소속으로 출전 가능하다. 프로게이머 변현우는 이 사례에서 결승무대를 밟은 엄청난 일을 해내기도 했다. 그리고 끝내 우승을 차지했다.

2 소드걸스의 5번째 소속

항목참조
  1. 대통령, 장관, 국회의원 및 후보 등등.
  2. 교육감의 경우 당적을 가질 수 없기에 모든 후보가 무소속이다.
  3. 300명 이상 500명 이하
  4. 새누리당이 원내 1당이 되고, 유승민을 통해 친박을 견제하기 위한 비박계의 전격적인 제스처.
  5. 이해찬 의원은 복당했다
  6. 그렇다고 해서 정당 결성을 못한 것은 아니고 무당파 국민연합무정파 전국연합이라는 이름으로 등록해서 활동했다! 물론 총선 결과는 시망...
  7. 20대 총선 결과 무소속 국회의원 11명이 당선되었고 이중 7명의 의원들은 탈당 전 원래 소속의 새누리당으로 복당하였다.(유승민, 주호영, 윤상현, 안상수, 장제원, 강길부, 이철규) 그리고 정세균, 서영교의원이 더민주를 탈당하였다.
  8. 8.0 8.1 과거 울산연합(NL(정파)) 출신의 진보계열 출신, 정치활동을 민주노동당으로 시작하여 통합진보당을 거쳐 20대 총선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