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참

고조공신후자연표(高祖功臣侯者年表第六) 후제(侯第)
1위 찬후(酇侯) 소하2위 평양후(平陽侯) 조참3위 선평후(宣平侯) 장오

1 개요

20110103021952578_3105.gif
생몰년도? ~ BC 190
이름조참(曹參)
작위평양후(平陽侯)
시호평양정후(平陽靜侯)
고향패군(沛郡)

소하,장량,한신 등에 가려진, 유방의 천하통일의 일등공신 중 한명.

중국 초한쟁패기, 전한(前漢) 한고조(漢高祖) 시대의 군인이자 정치가. (秦) 시대에도 관직에 있었으며, 이후 유방(劉邦)의 막료(幕僚)로 그의 천하통일에 공헌했다. 전한의 개국 공신. 한자 때문에 간혹 조삼이라고 읽는 사람들이 있는데 조참이 맞다.

2 진나라의 관리

아직 진나라의 힘이 천하에 건재할 당시, 조참은 패현에서 죄수들을 관리하는 옥리(獄吏) 였다. 일단 조상국세가에서는 '소하(蕭何)와 조참은 아전들 중 호걸이었다.' 라고 말하고 있긴 한데, 관열전(樊酈縢灌列傳)에서 사마천(司馬遷)은 "내가 소하, 조참, 번쾌 등이 살던 곳을 가 봤는데, 그들이 여기에 살때 누가 훗날 그렇게 귀해질지 상상이나 했겠는가?" 라는 식으로 말을 했다. 여하간 그 당시엔 별 달리 특색은 없었던 모양.

그러나 시대가 그들을 본의 아니게 영웅호걸의 길로 들이밀었다. 당시 진나라의 상황은 말이 아니었다. 진시황(秦始皇)의 시대부터 이어진 폭정으로 백성들은 신음했고, 이세황제(二世皇帝)는 환관 조고(趙高)에게 일을 맡긴채 사치와 방종에 빠졌다.

결국 폭탄은 터져버려 BC 209년, 진승(陳勝) 등이 처음으로 저항을 시작하여 진승 · 오광의 난을 일으켰고, 이윽고 장초(張楚)를 건국하는데 이르렀다. 이에 여러 군현의 백성들도 모두 진나라 관리를 때려 죽이고 봉기에 동참했다.

조참이 있던 현의 현령 역시 그런 분위기는 느끼고 있었고, 자기가 죽지 않으려면 먼저 반란에 동참해야 하겠다고 여겨, 마침 함양으로의 노역 이동을 때려 치우고 망탕산(茫荡山)에서 숨어 지내던 유방번쾌(樊噲)를 불러 돌아오게 하였다.

그런데 정작 유방이 돌아올 때가 되자, 마음이 또 바뀐 현령은 성문을 걸어 잠그고 유방이 들어오는것을 막으면서, 유방과 친해보이던 소하와 조참을 죽여버리려고 했다. 느닷없이 죽을 지경에 놓이게 된 소하와 조참은 부리나케 성벽을 넘어 도망쳐서 유방에게 붙어버렸다. 유방이 "현령 그 놈을 잡아 죽여야 패현이 무사하다." 는 내용의 글을 적어 성 내로 화살을 쏘아 보내자, 성 내에서 반응이 일어나 현령을 때려 죽이고 성문을 열게 된다.

일단 반란이 일어나고 나자, 이제 사람들을 이끌 주모자가 필요하게 되었다. 물론 사람들은 유방에게 이 일을 부탁했지만, 유방은 짐짓 거부하는 제스처를 취했다. 하지만 소하나 조참은 무슨 숭고한 뜻 같은 것보다는, 만약 일이 실패하면 자기 친척들이 모조리 도륙 당할까봐 두려워서 유방에게 모든 일을 양보했다. 반란의 우두머리가 되면 가족은 물론이고 다른 친척들까지 모조리 엮어들어가는건 피할 수 없지만, 유방이 얼굴마담으로 나서 준다면 설사 일이 실패해서 자기들이 죽더라도 연좌제는 최소한으로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 내린 판단. 유방이 이에 시원스레 응하면서 소하와 조참은 유방을 추대하게 되었다.

3 반(反) 진 전쟁

그리하여 유방이 처음 거병 할 때, 조참은 중연(中涓)[1]으로 종군을 시작했다. 그 후 전투에도 나서 유방이 호릉(胡陵)[2]과 방여(方輿)[3]를 공격할 때 진나라 감공(監公)의 부대를 물리치는 공을 세우고, 유방이 설(薛)을 함락시키고 사수군(泗水郡)의 태수 장(壯)을 물리칠 때도 활약 했다.

그 후 (魏)에 항복한 풍(豊)을 공격하여 칠대부(七大夫)의 작위를 받았다. 그 후로도 계속 유방과 보조를 같이 하며 움직이면서 싸웠는데, 원척(爰戚)과 항보(亢父)를 점령할 때는 병사들보다 먼저 성벽에 오르는 화끈한 면모를 보여주기도 했다.[4]

이후에 초회왕(楚懷王)이 유방을 탕군(碭郡)의 수장에 임명하자 건성군(建成君)이라는 봉호를 받았으며 집백(執帛)[5]이 되었다.

이후 유방이 함양에 입성할때까지 계속 함께 움직이며 전투에 참여했다.

4 초한전쟁

홍문연의 일이 있은 후 유방이 한왕에 봉해지자 조참은 건성후(建成侯)가 되었다. 그 후 유방이 삼진을 평정할때 계속 종군하다가, 경릉(景陵)이라는 곳을 20일 정도 지키고 있을때 장평(章平)[6] 등이 공격해 왔지만 대패를 안겨주었다.

유방이 동쪽으로 진군 할때도 마찬가지로 따라가면서 용저(龍且)와 항타(項他)을 물리치면서 순조롭게 팽성까지 장악했지만, 아주 가루가 되도록 박살이 나고는, 서쪽으로 물러나면서 한군이 박살난 틈에 배반을 하거나 분탕질를 치는 왕무(王武), 정처(程處), 주천후(柱天侯) 등을 모두 물리쳐서 대패 이후에 있을 동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데 성공했다.

그 이후 BC 205년에는 잠시 좌승상 대리로 후방인 관중(關中) 지역에 머물다가, 위표(魏豹)가 배반하자 한신(韓信)의 군대에 속해 보조를 함께 했다. 이후 한신과 조참은 눈부신 공을 세우게 된다.

위나라와의 안읍 전투에서는 별도의 부대를 이끌고 위나라 장수 손속(孫遫)을 동장(東張)[7]에서 격파하고 내친김에 위나라의 수도 안읍(安邑)까지 공격해서 위나라 장수 왕양(王襄)을 사로잡았다. 당시 위표는 임진(臨晉)쪽으로 오는 한신의 부대를 경계하고 있던 참이라, 이에 크게 당하고 말았다.

그리고 하열(夏說)을 물리친 후에 한신, 장이(張耳)와 함께 (趙) 공략에 나섰고, 정형 전투 이전 한신의 명령으로 따로 군대를 이끌고 오성(鄔城)에 주둔하던 조나라의 별장 척(戚)을 참살하는 공을 세웠다.

이후엔 잠시 유방의 본대에 합류해 있다가, 한신이 (齊)를 공략 할때 한 몫을 거들었다. 해하전투 때는 한신이 유방의 요청으로 항우를 물리치기 위해 이동했지만, 조참은 제나라 지역에 머물며 항복하지 않은 지역을 평정하느라 참전하진 못했다.

5 통일 이후

5.1 소하에 밀린 콩라인

통일 이후에는 10630호라는 어마어마한 식읍을 받게 되었다. 워낙 여기저기서 싸우면서 챙긴 공이 막대했던 것. 그야말로 전쟁터에서 살았던 정도이기에 전쟁이 끝난 후 조참은 온 몸에 상처가 70여개 가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탓에 전쟁이 끝난 후 유방이 소하를 최고 공신으로 삼으려고 하자, 여러 장수들은 모두 반발하기까지 했다. 소하는 걍 뒤에서 숫자 셈이나 했고, 조참은 직접 전쟁터에서 죽을 고비를 수차례 넘기면서 엄청난 공훈을 세웠는데 당연히 조참이 최고 공신이여야 한다는 것. 일단 소하를 최고 공신으로 하려는 마당에, 장수들의 반발 때문에 이를 물린다면 자신의 권위에도 문제가 생길 유방은 영 기분이 나쁜 상황이었다.

이때, 유방의 심기를 알아차린 관내후(關內侯) 악천추(鄂千秋)가 발언하였다.

“ 여러 대신들의 생각은 옳지 않습니다. 조참이 비록 전쟁터를 누비고 다니며 적군의 성과 땅을 점령한 공이 비록 크다고 하나, 그것은 일시적인 공로에 불과한 것입니다. 항왕(項王)과 5년 동안에 걸쳐 서로 대치하고 전투를 벌인 폐하께서는 여러 번에 걸쳐 싸움에 지고 그때마다 그 군사들은 모두 달아나 뿔뿔이 흩어져 버리자 홀홀 단신으로 도망치기를 몇 번이나 했는지 모릅니다. 그러나 소하는 그럴 때마다 관중의 자제들을 모아 폐하가 계시는 전선으로 보내 그 잃어버린 병력을 보충시켰습니다. 그러한 일들은 모두 폐하의 지시를 받고 한 것이 아니라 스스로 알아서 한 일입니다."

"또한 관중에서 수만의 군사들을 전선으로 보낼 때는 언제나 폐하께서는 싸움에서 패한 직후의 가장 위급한 때였습니다. 한군과 초군이 형양에서 몇 년간에 걸쳐 대치할 때, 군중에는 양식이 하나도 남아있지 않게 되었습니다. 이에 소하가 관중에서 수레나 선박을 이용하여 양식을 보내주어 한군은 굶지 않을 수 있었습니다. 폐하께서는 비록 여러 번에 걸쳐 효산(崤山) 이동 지역의 싸움에서 패하는 동안 소하는 오로지 관중 지방을 굳건히 보전하여 만세에 길이 빛날 공훈을 세웠다고 하겠습니다."

"지금 비록 조참과 같은 사람 100명이 없다한들 한왕실에 무슨 영향이 있겠습니까? 한왕실은 조참과 같은 사람들을 얻음으로 해서 세워진 것이 아닙니다. 어찌하여 일시적인 공로를 세운 사람을 만세에 길이 빛날 공적을 세운 사람 위에 놓으려고 하시는 것입니까? 마땅히 소하의 공을 맨 위에 올리고 조참을 그 다음으로 하시옵소서."

즉, 조참 같은 사람은 100명이 없어도 무방하지만 소하의 공은 맨 위로 올려야 한다는것. 지못미 조참 이에 유방은 소하를 최고 공신으로 정했고, 소하에게는 신발을 신고 전당에 오를 수 있고, 칼을 찬 상태로 황제를 볼 수 있고, 황제를 배알할때도 작은 걸음이 아니라 큰 걸음으로 걸을 수 있게 하는 등 최고의 대우를 해주었다. 눈치빠르게 소하의 편을 든 악천추도 역시 보상을 받았다.[8]

5.2 제나라의 상국

소하와의 비교에서는 굴욕을 당하긴 했지만(……) 조참은 그 후에도 활약을 멈추지 않았다. 진희(秦稀)가 반란을 일으킬 때는 진희의 장수 장춘(張春)을 격파했고, 경포(黥布)가 반란을 일으켰을 당시에는 제나라 상국의 신분으로 제도혜왕(齊悼惠王) 유비(劉肥)의 12만의 원정군을 이끌고 유방과 합류하여 경포를 박살내었다.

그리하여 평생동안 2개의 제후국을 무너뜨리고, 122개 현을 평정하거나 점령했으며, 제후왕 2명[9], 제후국의 상국 3명, 장군 6명, 대막오(大莫敖), 군수(郡守), 사마(司馬), 후(侯), 어사(御使) 각 1명씩을 포로로 잡거나 죽였다고 한다.

혜제 시절인 BC 192년에는 제후국에 상국을 두는 법이 폐지되어 제나라의 승상이 되었다. 이때 제나라 관할의 성읍은 70여개가 넘었는데, 전쟁이 막 끝난 뒤인데다 제도혜왕 유비는 나이가 어려 여러가지로 나라 분위기가 어수선했다. 이에 조참은 사람들의 조언을 들으려고 학자들을 불러모았지만, 말하는 학자들마다 서로 "이거해라, 저거해라." 는 등 중구난방이라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었다.

이때, 교서(膠西)의 개공(蓋公)이라는 인물이 학식이 깊다는 이야기를 듣고 많은 예물을 두고 초청했다. 개공은 이런 의견을 내었다.

"치도(治道)의 가장 좋은 방법은 청정무위(淸淨無爲)로써, 그렇게 하면 백성들은 스스로를 안정시킬 것 입니다."

이 이야기를 들은 조참은 그러한 황로학파(黃老學派)의 학술로 제나라를 다스렸고, 이에 효과를 보았고 사람들은 조참이 현명한 재상이라고 칭찬하였다. 이후 조참은 이러한 무위지치의 정치를 계속 유지하였다.

5.3 아무것도 안하는 재상

소하는 본래 조참과 사이가 나쁘지 않다가, 어떤 일을 계기로 해서 그와 몹시 사이가 나빠지게 되었다. 너같은 놈 100명이 있어봤자 소하 하나보다 못하다는 소리를 듣고도 친하게 지낸다면 그건 그냥 보살이긴 하겠지만.(...) 혜제 2년, 소하는 병에 걸려 죽을 날이 다가왔다. 이에 혜제가 소하를 찾아와, 차기 재상에 "조참이 어떤가?" 라고 묻자, 소하는 이렇게 대답하였다.

"황제께서 좋은 재상을 얻었으니, 소하는 죽어도 한이 없습니다."

소하가 죽었다는 소식을 들은 조참은 "내가 상국이 되겠지." 하고 사정도 알아보지 않고 짐을 꾸렸는데, 진짜로 황제의 사자가 곧 조참을 부르러 왔다. 조참은 제나라를 떠나기 전, 후임 승상에게 이러한 충고를 해주었다.

"나라의 감옥과 시장은 간사한 사람들이 모여드는 장소이니, 그러한 곳에 대해서는 마땅히 신중해야 하며 혼란이 있어서는 안 될 것이오."

이에 후임 승상이 "국가를 다스리는 일에, 말씀하신 부분이 가장 중요한 일인가" 하고 묻자, 조참은 다시 이러한 말을 해주었다.

"그렇지는 않소! 그러나 감옥과 시장이라는 곳은 선과 악이 공존하는 곳이오. 만약 그대가 그곳을 엄중히 관리하지 않는다면 간악한 사람들이 몰려와 그곳에 가득 찰 것이오. 나는 이 때문에 이 일을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이오."

이후 한나라의 상국이 된 조참은 갑자기 괴이한 짓을 하기 시작했다. 글을 잘 쓰거나 출세하려고 애를 쓰는 사람은 되려 쫓아 보내고, 별 생각도 없거나 문서도 현란한 표현을 못 쓰고 질박하게 쓰는 사람들을 느닷없이 데려와 승상부(丞相府)의 관리로 임명했다. 또한 소하가 정한 법률에서 바꾼 것도 없었고, 정확히 말하면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아무것도 하지 않은게 문제가 아니라, 그냥 술만 디립다 퍼 마시고 살았다.

이에 경(卿)과 대부(大夫) 이하의 관리들이나 조참의 빈객들이 어처구니가 없어 하며 조참을 찾아와 "자네, 이러면 안되지!" 하고 따지려고 했는데, 그럴 때마다 조참은 손님들에게 억지로 술을 퍼 먹여서 아무 말도 못하게 했다. 어떻게 입을 좀 떼보려고 하면 계속 술을 권해서 결국 따지려고 찾아온 사람들은 인사불성이 되어 나가기 일쑤였다.(……)

별 생각도 없었는데 어거지로 끌려온데다 그 당사자는 술만 퍼마시고 있으니(……) 승상부 관리들은 조참을 매우 미워했지만 따지기만 하면 술을 먹여대니 뒤에서 씹어대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었다. 생각한 끝에 승상부 관리들은 조참을 아예 후원으로 나와서 놀게 하고, 이웃에 있는 관사에서 다른 관리들이 모두 술을 진탕 먹고 고성방가를 하며 놀게 했다. 이 모습을 보면 조참도 화가 날테니, 따지면서 자기도 술을 안 먹을 것이라 여긴 것이다. 그런데 조참은 오히려 술을 가져와서 그런 관리들과 고성방가를 하며 같이 놀았다.
게다가 승상부 관리들이 실수라도 하면, 이를 따지기는 커녕 오히려 "됐어, 됐어." 라는 식으로 숨겨주고 덮어주었다.

황제혜제는 조참의 그런 괴이한 모습을 보고 도저히 이해를 할 수 없어서 조참의 아들 조줄(曹窋)을 불러 이렇게 지시를 내렸다.

"그대가 집에 돌아가거든 아무도 모르게 조용히 부친께 다음과 같이 한 번 물어 보기 바라오 '고제(高帝)가 돌아가시어 신하들과 이별한 지 얼마 되지 않았고, 또 황제의 나이도 아직 젊은데, 부친께서는 상국이 되어 날마다 술만 마시고 황제께 소청하거나 보고하는 일도 없으니 무엇으로써 천하대사를 걱정하십니까?' 라고 묻고, 결코 내가 시켰다고는 말하지 마시오."

조즐은 황제가 시키는 대로 집에 가서 아버지에게 "아버지, 왜 일을 안하세요?" 하고 물어보았다. 그러자 조참은 갑자기 버럭 화를 내며 아들을 두들겨 팼다.

"넌 빨리 궁으로 들어가 황제를 모시기나 잘해라! 천하의 일은 네 까짓게 말할 바가 아니다!"

이후 조참이 조회에 나가자, 혜제는 그 이야기를 하며 조참을 나무랐다. 이에 조참은 이렇게 대답했다.

"폐하께서 보실 때, 폐하와 돌아가신 선제이신 고제(高帝)와 비교하여 누가 더 영용(英勇)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내가 어찌 감히 선제(先帝)와 비교를 할 수 있겠소?"

"그렇다면 폐하께서 보실 때 저와 소하 중 누가 더 능력이 낫다고 생각하십니까?"

"네놈 하는 꼬라지를 보니 조상국이 소상국보다 못한 듯싶소!"

"폐하께서 말씀하신 것이 옳습니다. 또 고제와 소하가 천하를 평정하였고, 법령도 이미 밝게 정하셨습니다. 폐하께서는 팔짱만 끼고 계시고 저희들은 직분을 지키면서 옛 법도를 따르기만 하고 잃지 않는 것이 또한 좋지 않겠습니까?"

이에 혜제도 말문이 막혔고, "알겠소. 이제 상국은 쉬도록 하시오." 하고 돌려보냈다. 이는 황로술의 영향이 강한 전한 초기의 정치 풍토에 대한 대표적인 사례로 손꼽힌다. 조참이 딱히 하는건 없었지만(……) 아무 생각 없이 노는게 아니라 정책에 대한 분명한 생각이 있었던 것.

그러한 방책은 헛되지 않았고, 조참이 사망하자 백성들은 모두 노래를 지어 부르며 조참의 덕을 추모했다.

蕭何爲法 若畵一
소하가 제정한 법, 한 글자도 밝고 옳지 않은 것이 없었네
曹參代之守而勿失
조참이 그 뒤를 이어 그 법을 지켜가며 잃지 않았네
載其淸淨 民以寧一
맑고 공정하게 정사를 돌보니 온 백성들 한결같이 편안하네

사마천은 이렇게 조참을 평론하였다.

"상국 조참이 야전(野戰)의 공로가 많음은 회음후(淮陰侯) 한신(韓信)과 같다. 그런데 한신이 멸망한 후에 열후에 봉해진 공신 중에서 유독 조참만이 그 이름을 빛냈다. 조참이 한나라의 상국이 되자 시행했던 그의 정치사상 청정무위(淸淨無爲)는 도가의 원칙과 가장 부합된다고 하겠다. 더욱이 백성들이 진나라의 잔혹한 통치를 받은 후, 조참이 그들에게 무위이치(無爲而治)로 휴식하게 하자, 천하 사람들이 모두 조참의 공덕을 칭송하였다."
사기(史記) 조상국세가(曹相國世家)

6 기타

삼국지조조 가문이 이 조참의 후손이라고 하는데 삼국지집해에서는 불확실하다고 여기는 주가 달려 있다. [10] 정작 조조 쪽은 하후씨에서 조씨 환관에게 양자로 간 케이스. 뱀발로 하후돈은 같은 개국 공신 하후영의 후손. 조조도 원래는 하후씨였으므로 같은 집안이다.

7 기타 매체에서의 조참

20090414215045bf3s.png
모토미야 히로시적룡왕에서는 유방을 도망치게 하기 위해 자신이 유방으로 위장하고 항우를 속이는 역을 하기도 한다. 원래 이것은 유방과 생김새가 비슷했던 부하 기신이 했던 일인데 본 작품에서 기신이 등장하지 않아 조참이 하는 것으로 각색되었다. 여기서 기신은 항우의 손에 죽지만 조참은 혼전 중에 번쾌가 구해줘서 목숨을 건졌다.

sousin.jpg
(항유기의 조참)

코에이의 초한지 기반 게임 항유기에서는 전 능력치가 7, 80대를 찍는 올라운드 장수로 등장한다. 그런데 어째 온몸에 상처가 나 있었다고 하는데 일러스트에서는 그걸 묘사하지 않았다.

  1. 알자(謁者)나 사인(舍人) 등으로 군주의 측근에서 수발을 드는 비서에 해당한다.
  2. 산동성 위타이현
  3. 위타이현 서남
  4. 이때의 일 때문에 오대부(五大夫)가 되었다.
  5. 전국 때 초나라가 제정한 군공에 의해 수여한 작위 중의 하나. 진한교체기에 초나라 세력이 주축이 된 기의군이 사용했다. 오대부(五大夫) 다음 작위이며 일설에는 초나라의 관명으로 대부에 해당한다고 한다.
  6. 장한의 동생이라고 한다.
  7. 섬서성 임진현(臨晉縣)
  8. 제후의 후제(侯第)가 61위로, 무려 62위인 장량보다 높다! 물론 장량은 마음만 먹었다면 3만 호의 엄청난 식읍을 가질 수도 있었지만, 여하간 윗사람 눈치는 잘 보고 볼일.
  9. 조헐과 경포
  10. 이와는 별개로 2013년 중국 상하이 푸단 대학교 연구진이 조참의 후손들과 조조의 후손들, 하후돈의 후손들의 DNA를 비교한 결과 세 가문은 서로 혈연관계가 아니다라는 것이 확인되었다고 한다.상하이저널:조조 DNA 확정..다른 인물 연구에 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