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 박씨

咸陽 朴氏

1 개요

한국의 성씨. 경상남도 함양군을 본관으로 한다.

2 내용

신라 경명왕의 셋째 아들인 속함대군(速咸大君) 박언신(朴彦信)의 후손이다. 이후 전해져 내려오는 계보가 정확하지 않아 박선(朴善)을 중시조(中始祖)로 삼았다. 비록 밀양 박씨반남 박씨보다는 수가 적지만, 순천 박씨와 죽산 박씨, 고령 박씨보다는 수가 많은 편이다. 주로 광주광역시와 대구광역시 부근에 많이 거주하며영호남의 화합 경남 함양군이 관향이기 때문에 경상남도 쪽에도 여전히 수가 많다. 그러나 정작 대구광역시에 비하면 부산광역시에서는 새발의 피 수준. 경상북도 의성(군위, 청송, 칠곡 근처에도 많이 분포)과 전남 영암군 강진군과 경상도 지방에서는 경남 하동군 쪽에서도 많이 볼 수 있다. 이처럼 전남, 경북 등 여러 지역에 흩어져 있는 것이 특징인 성씨이다. 전국에 123,688명(2000년도대의 기준)이 살고 있다.

함양박씨는 6개로 파가 나뉜다. 소감공파(少監公派), 문원공파(文元公派), 함양군파(咸陽君派)이고, 밀직공파(密直公派), 어사공파(御史公派), 중랑장공파(中郞將公派)이다. 인구 숫자로 보면 소감공파, 문원공파, 함양군파가 제일 많으며, 밀직부사공파, 어사공파, 중랑장공파는 숫자가 적은 편이다.

먼저 소감공파는 광주광역시와 전남 지방, 문원공파는 그 수가 많아서인지 전남에 압도적이고, 밀직공파와는 달리 충청도에서는 적고, 경북경기도에서도 밀직공파와 더불어 많다. 함양군파는 경북 의성지방과 군위, 경산 등 경북지방에 압도적이고, 경남엔 집성촌이 몇 군데 있다. 밀직공파는 충남 지방과, 충북등들이 골고루 나뉘어져 있다. 강원도에서도 집성촌이 있다. 어사공파부터는 너무 범위가 넓어지고, 강원도, 경기도 등 지역에 사는 경우가 많으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3 항렬표

  • 오한공파
    • 22세: ◯진 (鎭), ◯현 (鉉)
    • 23세: 한 (漢), 태 (泰)
    • 24세: ◯상 (相), ◯주 (柱)
    • 25세: 찬 (燦), 형 (炯)
    • 26세: ◯배 (培), ◯재 (在)
    • 27세: 석 (錫), 철 (鐵)
    • 28세: ◯철 (澈)
    • 29세: 채 (采)
    • 30세: ◯혁 (爀)
    • 31세: ◯균 (均)

문원에서 갈라진 이 오한공파는 십중팔구 이상으로 전남 강진군영암군에 있으니, 함양 박씨들 중에 항렬자로 '상'자가 들어간다면 거의 오한공파이다.

  • 문원공파
    • 27세: 주 (周), 균 (均)
    • 28세: ◯진 (鎭), ◯의 (義)
    • 29세: 수 (洙), 원 (源)
    • 30세: ◯식 (植), ◯영 (榮)
    • 31세: 노 (魯), 희 (熙)
    • 32세: ◯상 (祥), ◯재 (載)
    • 33세: 호 (鎬), 종 (鍾)

문원공파는 경북 예천군과,전북 장수군,전남 일부분 지방에 많다. 거의 충청도경상와 맞아서, 전라남도 일부분 지방에 많이 분포하는 다른 파들과는 달리, 전국 골고루 분포한다.

  • 밀직공파
    • 29세: ◯희 (熙)
    • 30세: 용 (用)
    • 31세: ◯호 (鎬)
    • 32세: 영 (永)
    • 33세: ◯래 (來)
    • 34세: 환 (煥)
    • 35세: ◯규 (珪)
    • 36세: 옥 (鈺), ◯옥 (鈺)
    • 37세: ◯윤 (潤)

충남 부여군에 굉장히 많이 분포해서 주로, 대전광역시에 많이 산다.

  • 함양군파
    • 25세: ◯순 (淳)
    • 26세: 상 (相), 정 (楨)
    • 27세: ◯환 (煥), ◯섭 (燮), ◯병 (炳)
    • 28세: 재 (在), 중 (重), 규 (圭)
    • 29세: ◯호 (鎬), ◯석 (錫), ◯현 (鉉)
    • 30세: 태 (泰)[1], 연 (淵), 련 (連)
    • 31세: ◯식 (植), ◯동 (東)

거의 의성군이나 군위군에 많이 분포한다.

4 인물들

  • 박성호 : 물뚝심송의 본명
  • 박경모 : 양궁 선수. 박경모는 문원공파가 맞다.
  • 박노식(1971) : 고향이 문원공파의 구림 공파나 어사공파의 집성촌인 영암군이므로 문원공파. '노'자 돌림 혹은 '식'자 돌림인데 아들과 아버지의 항렬 관계다.
  • 박민호
  • 박병호(배우):1938년생 배우.
  • 박보희: 통일교 한국문화재단 총재.
  • 박상익 : 프로게이머.
  • 박시후 : 배우[2]
  • 박세경 : 변호사. 임실 출신. 임실군에 집성촌이 있다.
  • 박영훈(바둑 선수) : 함양군파. 아버지가 '호'자 돌림이다.
  • 박열 : 독립 운동가. 문원공파이다
  • 박일환 : 대법관
  • 박원재 : 축구 선수,문원공파. 항렬자 (載). 문원공파이자, 포항이 고향이다.
  • 박정
  • 박정상 : 문원공파. 항렬자 '상'자 돌림
  • 박정훈[3]
  • 박지계(朴知誡) : 조선 시대 문인, 유학자
  • 박재승 변호사. 언론인.
  • 박재홍 : 야구 선수. 소감공파라고 한다
  • 박찬(1925):국회의원.
  • 박철(정치인) : 문원공파의 구림공파. 28세손.
  • 박태호 : KBS PD. 충남 천안이 고향이므로 당연히 밀직공파일 수 밖에 없다.
  • 박현범 : 축구 선수. 소감공파.
  • 문훈숙:통일교 총재인 박보희의 딸.
  1. 태자 돌림을 쓰는 집안이 많다.
  2. 박시후는 밀직공파. 충남 공주시 출신이자 부여가 집성촌 고향.
  3. 박세경의 아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