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파운더

Ordnance QF 17 pounder

제2차 세계대전기의 영국군 화포
곡사포25파운더, 3.7인치 산악포
대전차포2파운더, 6파운더, 17파운더
대공포폼폼 포, Q.F 3.7인치 대공포

{{틀:화포 둘러보기}}

화포 둘러보기
2차 세계대전
연합군추축군
미국 나치 독일
영국 일본 제국
소련 이탈리아 왕국
프랑스-
냉전 미국 소련

1 제원

파일:Attachment/Ordnance QF 17 Pounder 001.jpg

  • 중량 : 3,048kg
  • 포탄 : 76.2×583 mm. R
  • 구경 : 3 inches (76.2 mm)
  • 포신 : 4.191 m (55 구경장)
  • 상하각도 : -6° 에서 +16.5°
  • 좌우각도 : 60°
  • 포구초속 : 884 m/s (고폭탄, 대전차고폭탄), 1,204 m/s (분리철갑탄)

2 개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군이 보유한 최강의 대전차포.

3 개발

제2차 세계대전에서 영국 육군은 2파운더6파운더로는 계속 발전해가는 독일군의 전차에 대항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깨닫고는 1940년 말부터 고성능의 대전차포 개발에 착수했다. 이에 신형의 17파운더가 1941년 말에 완성되어 1942년 봄에 양산이 시작되었다.

포 본체는 개발이 쉬웠지만 포가의 개발은 진척이 지지부진했는데 그 이유는 대전차포의 특성상 포가 자체가 낮고 가벼우며, 신속한 선회가 가능해야 하지만, 76.2mm 라는 구경은 이미 제1차 세계대전 시의 경야포의 구경과 같을 정도로 커서 쉽사리 포가를 축소하기 어렵다는 점이 문제였다.

이러다가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독일군이 6호 전차 티거를 투입하자 황급해진 영국군은 이를 격파가능한 17파운더를 빨리 전선으로 보내기 위해 25파운더 견인포의 포가를 이용하여 조립해서 25/17파운더로 제식화해 급조 후 1943년 2월에 실전에 투입했다. 이럴 경우 야포의 포가를 이용했기 때문에 크고 무거우며 은엄폐가 불가능해서 이걸 사용하는 사람의 애로사항을 꽃피게 만들어주는데, 그런 것을 모두 감수하고도 당장 쓸만한 대전차포가 필요한 것이 당시의 상황이었다. 이 때 얼마나 급했는지 완성되는대로 보내는 바람에 최초 실전 투입인 튀니지 전선의 마레트 방어선 공략에서는 단 1문의 17파운더만 투입되었다.

4 완성

후에 17파운더의 전용포가가 완성되어 이를 조합한 완성형 17파운더는 이탈리아 전선 및 노르망디 상륙작전 이후 서부전선의 유럽부대에 우선적으로 배치되어 실전에 투입되었다. 버마전선 등 아시아에서는 정글이나 늪지대가 많아 중량이 큰 화포의 이동은 불리한 점과, 일본군의 전차는 97식 전차처럼 너무 장갑이 부실하여, 2파운더로도 손쉽게 잡히기 때문에 굳이 무겁고 커서 기동이 용이하지 않은 17파운더를 동원해서 박살낼 필요가 없었기에 배치되지 않았다.

종전후 17파운더는 한국전쟁에서도 사용되었는데 대전차포 뿐만 아니라 적의 토치카나 벙커를 포격하는 직접화력지원에도 사용되었다.

그리고 강력한 위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전차나 장갑차량에 탑재하려는 노력도 계속되었다. 대강 몇가지 예시만 들어도, 발렌타인 보병전차의 차체 위에 17파운더를 장착한 아처 대전차 자주포 및 미국에서 원조받은 M10 울버린의 3인치 주포를 철거하고 이를 탑재한 아킬레스 구축전차, M4 셔먼 전차를 개조한 셔먼 파이어플라이, 크롬웰 전차을 개조한 챌린저, 처칠 전차를 개조한 블랙 프린스, 전설의 초중전차 TOG, 17파운더를 약화시킨 포를 단 코멧, 심지어는 전후 1세대 전차로 평가받는 센추리온 전차에도 초기형은 17파운더가 장착되었다.

하지만 이 중 2차대전 중에 제대로 완성돼서 활약한 것은 미국제 전차와 차체를 이용한 파이어플라이와 아킬레스밖에 없었다는 것이 아이러니다.
이런 일이 발생한 이유는 위력이 강한 만큼 반동도 심하고 중량도 상당해서 전차를 아예 신규개발하지 않으면 장착하기 힘든데, 유보트 퇴치 때문에 이미 많은 빚을 진 당시 영국에겐 그런 건 사치였다. 센추리온과 코멧을 제외한 다른 전차들은 한두가지씩 단점들이 있었고[1] 코멧과 센추리온은 완성하고 보니 전쟁이 거의 끝난데다 그나마 센추리온은 막상 배치될 당시 17파운더도 구식 취급이 되는게 뻔히 보여서 곧 20파운드 화포로 교체했다.

5 특징

컨셉은 '운동에너지는 질량과 속력의 제곱에 비례하니까 장약을 많이 넣어서 탄속을 끌어올리면 관통력이 엄청 올라가겠지?' 정도로 요약이 가능하다. 그리고 그 덕분에 관통력만큼은 엄청난 수준이어서 실험에서 비교적 관통력이 떨어지는 APCBC가 500m에서 163mm, 1000m에서 150mm, 1500m에서 137mm를 관통할 수 있으며 3000m에서도 107mm를 관통할 수 있는 수준이다. 그리고 APDS를 사용하면 관통력이 더 증가해서 500m에서 256mm, 1000m에서 233mm의 관통력을 가지며 3000m에서도 162mm의 관통력을 가진다.[2]

그러나 1944년 독일군 병기국 6과의 보고서에 의하면 17파운더 APCBC탄은 5호 전차 판터의 차체 전면 장갑을 상대로 400야드(365.8m)에서나 효과를 볼수 있다고 기록할 정도였다. 물론 그렇다고 17파운더의 위력이 부족하다고 보기는 어려운것이 미국의 76mm 전차포의 경우에는 아니면 사실상 판터의 전면장갑은 관통이 불가능한거나 다름없었고, 판터는 전면 한정으로 장갑이 티거보다 더 두껍다.[3] 다만 좀더 먼거리에서 17파운더가 관통한 경우가 있는데 독일이나 영국쪽에서 거짓말을 한게 아니라 판터에서 가장 강력한 차체 전면상단부가 아닌 포탑이나 차체 전면하단, 몇몇 장갑이 얇은 부위는 최대 2km에서도 관통 가능하다. 게다가 17파운더의 관통력은 티거나 판터의 주포와 비교해도 크게 밀리지 않는데 티거의 주포(88mm KwK 36)가 500m에서 151mm, 1000m에서 138mm, 1500m에서 126mm의 관통력을 가지며 판터의 경우(75mm Kwk 42) 500m에서 168mm, 1000m에서 149mm, 1500m에서 132mm의 관통력을 가진다. 둘 다 APCBC를 사용한 결과이며 동일하게 APCBC를 사용한 17파운더의 관통력은 판터에게는 열세이나 티거에게는 오히려 약간 우세한걸 볼 수 있다. APDS를 사용할 경우에는 비슷하게 고관통 특수탄환인 APCR을 사용하는 두 주포보다 관통력이 훨씬 높아진다. 저 두 전차의 전차포의 관통력이 2차대전에서 최상급이라는것을 고려하면 17 파운더의 관통력 또한 최상급이라고 볼 수 있다. 문제는 17파운더의 관통력이 아니라 상대해야할 적들은 티거나 판터의 주포가 상대해야 할 적들보다 훨씬 강력한 장갑을 갖추고 있었다는 것이다.

만약 APCBC로 상대하기 힘든 적을 마주치면 APDS를 쏴버리면 되지 않겠냐는 의문이 들겠지만, 안타깝게도 APDS의 명중률은 절망적인 수준이었다. 사격장에서 최상의 조건으로 세팅된 시험 사격에서 APDS의 명중률은 800야드에서 겨우 20% 수준에 불과했고 노획한 판터 전차를 상대로 한 실험에서는 200~600야드에서 숙련병들이 수십발을 사격했지만 겨우 절반 정도만이 명중했다. 이는 티거나 판터는 물론이고 IS-2[4] 명중률도 17파운더 APDS에 비하면 2배 이상은 정확하다. 이 형편없는 명중률의 원인에는 높은 불량률(...)이 포함되는데 APDS의 경우 장탄통이 동시에 분리되지 않으면 명중률에 형편없게 나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당시의 기술력과 생산능력으로는 그렇게 포탄을 정교하게 만들지 못하므로, 자연스럽게 원거리의 명중률은 낮은 정도가 아니라 그냥 운에 맡겨야할 지경이었다. 그나마 APCBC탄은 장거리 사격시 어떻게던 써먹을 명중률은 나오므로[5] 대부분은 APCBC를 지급하였으며 APDS는 6%만 지급돼서 근거리에서 적 전차를 확실하게 처리로또긁기하는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파일:Ogwsauf.gif
그리고 엄청난 장약을 넣는다는 구상으로 인해 한번 발포하면 장약을 많이 때려박은 만큼 크고 아름다운 포구 화염이 발생하여 위장과 은엄폐 정도에 상관 없이 위치가 100% 폭로되는 약점이 있었다. 영국군이 테스트용으로 제공한 17파운더가 천조국의 높으신 분들이 참관한 시험에서 이 문제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면서 미군이 자국의 3인치를 선택하는 한 원인이 되었다. 심지어 포미부에서조차 위험할 정도의 섬광이 비쳤다라는 증언도 있다.

그러나 기존의 2파운더가 진짜 쇳덩어리 철갑탄만 있고, 6파운더는 철갑탄은 여전히 쇳덩어리 그 자체인데다가 긴급개발의 문제점으로 인해 구경에 비해 위력은 수류탄 수준의 고폭탄밖에 없어서 전차를 제외한 나머지 목표에 대해 사실상 제대로 된 공격을 할 수 없어서 보병 지원용 포격이 안되며, 소수의 적 보병이나 적의 경장갑차에게 쉽게 당했던 전훈에 대한 반성으로 76.2mm 급에 맞는 고폭탄도 처음부터 사용할 수 있었다. 다만 해당 고폭탄도 초기형은 강력한 장약과 장약 폭발시의 충격을 견디기 위한 튼튼한 탄두 덕분에 안에 들어가는 작약량이 떨어져서 성능이 떨어지므로 신형 고폭탄을 추가로 개발해야 했다.

17파운더는 성능은 좋았지만 중량이 3,048kg로 꽤나 무거운 편이라서, 브렌건 캐리어같은 일반적인 견인차량으로는 견인이 안되며, 험지나 연약지반에서는 제대로 된 견인차량이 아니면 견인 자체가 불가능했기에 보병부대용으로는 배치되지 않았고, 포병대의 대전차 부대에만 배치되었다. 이 3,048kg의 중량은동급의 대전차포인 독일의 PaK 42(1,000 kg)와[6] 비교하면 3배정도 무거운지라 견인포로의 운용에 여러모로 곤란함이 많았고 이를 자주포화하려는 노력이 계속 되었지만 영국제 차량에서 성공적으로 설치된것은 센추리온이 전부인데 그마저도 나오니까 전쟁이 끝나버린 안습한 이야기가 있다.[7] 대신 천조국남아도는 차량올리면서 진가를 발휘 하게 되는데........

6 평가

버나드 로 몽고메리 장군의 경우, 새로 부대에 M10 울버린이 배치되고, 해당 구축전차가 가진 3인치 포가 강력하다는 소개를 받자, 한마디로 일축해버렸다.

"반딧불이 내놔 이새퀴들아!!!!!" 드... 드리겠습니다..

결국 원거리 명중률이 쓰레기네 뭐네 하더라도 영국군은 적 전차의 장갑을 뚫을 수 있는 대전차포가 필요했던 것이고 17파운더는 그 임무목표에 절륜한 화력에서 나오는 훌륭한 실적과 셔먼 파이어플라이라는 걸출한 결전병기로 보답했다.

7 관련 항목

셔먼 파이어플라이
M10 아킬레스
아처
TOG
챌린저, 어벤저

센추리온[8]
  1. 아처는 화포가 뒤를 향하도록 탑재해야 해서 운용이 비효율적이었고 챌린저는 얇은 장갑에다 지나치게 큰 포탑으로 인해 불균형이 심했다. 블랙 프린스는 안 그래도 느린 처칠에 17파운더까지 올려놓고 보니 기동성이 형편없었고 TOG는 초중전차의 전형적인 약점이 잔뜩 있었다.
  2. 물론 관통이 가능하다와 맞출 수 있다는 전혀 같은 의미가 아니다. 그나마 명중률이 양호한 APCBC는 1000m 이내에서는 그래도 써먹을 만한 명중률이 나오지만 1500m를 넘어가면 명중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특히 명중률이 안좋기로 유명한 APDS는 500m 이내에서도 명중을 장담하기 힘든 수준.
  3. 정확히 말하면 장갑 두께는 티거보다 얇은 80mm지만 T-34처럼 경사 장갑을 채용한 덕분에 실질적인 방어력은 티거보다 우수했다. 항목 참조.
  4. 단, IS-2의 주포 명중률 자체는 티거의 명중률과 동급이다.
  5. 물론 어디까지나 납득할만한 명중률이 나온다는거지 발사시 반동이 워낙 엄청났던 탓에 이 쪽도 명중률이 그리 좋다고는 할 수 없는 물건이기는 하다.
  6. 판터의 주포(KwK 42)의 대전차포 버전이다.
  7. 물론 크롬웰에 성공적으로 얹은 코멧이 있지만 이건 위력을 약화시킨 물건이니만큼 논외로 한다.
  8. Mk.1과 Mk.2는 17파운더를 탑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