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대전기의 미군 기갑장비 | ||
전차 | 경전차 | M2, M3/M5 스튜어트, M22 로커스트, M24 채피 |
중형전차 | M2, M3 리/그랜트, M4 셔먼 | |
중전차 | M6, M26 퍼싱 | |
장갑차 | 장륜 장갑차 | M8 그레이하운드, M3 스카웃 카, M6 스태그하운드, T18 보어하운드 |
반궤도 장갑차 | M2 하프트랙, M3 하프트랙, M16 미트쵸퍼 | |
상륙장갑차 | LVT | |
대전차 자주포 | M10 울버린, M18 헬캣, M36 잭슨 | |
차량 | CCKW, 윌리스 MB, 포드 GPA, DUKW | |
자주포 | M7 프리스트, M12 GMC, M40/M43 | |
프로토타입 | T1, T1 경전차, T2, T7, T7 / M7, T14, T20, T21, T22, T23, T25, T28, T29, T30, T32, T34, T40, T49, T71, T92, M38 울프하운드 |
1 제원
- 중량 : 29.6t
- 전장 : 6.83m (돌출된 포신 포함)
- 전폭 : 3.05m
- 전고 : 2.57m
- 승무원 : 5명 (전차장, 조종수, 포조작원 3명)
- 장갑 : 9mm ~ 57.2mm
- 주무장 : 76.2mm M7 전차포 1문 (54발)
- 부무장 : M2 중기관총 1정 (300발)
- 엔진 : 제너럴모터스 6046 트윈 디젤 6-71 (375hp)
- 출력비 : 12.5hp/t
- 현가장치 : 수직 벌류트 스프링식 현가장치 (VVSS)
- 항속거리 : 300km
- 속도 : 51km/h
- 생산량 : 약 6,700대
2 개요
1942년에 미국이 개발한 대전차 자주포. 북아프리카 전역에 처음 투입되어 제2차 세계대전 종전때까지 쓰였다.
울버린이란 이름은 M4 셔먼과 마찬가지로 영국군에서 붙인 별칭이고, 미군에서는 제식명 그대로 M10 또는 Tank Destroyer 라고 불렀다. 1980년대에 아카데미에서 나온 프라모델[1]은 M-10 습격포 전차라는 이름이 붙어 나왔었다.
3 장/단점
기동성에서는 셔먼보다 가벼웠기 때문에 훨씬 빨랐지만, VVSS의 문제점인 벽 넘기가 있었다. 그라우저를 추가한다면 91.44cm의 벽도 넘을 수 있지만, 보통은 안달았기 때문에 45.7cm 밖에 넘질 못했다. 또한 차체 기관총이 없어서 대보병이 취약했다.
근본적으로 이 전차는 독일군의 중전차들을 상대할 목적으로 만들어져 76.2mm 포가 탑재되었다. 차체는 M4A2의 것을 경사장갑으로 개수하여 가용하였고, 포탑은 오픈탑 형식이며 회전이 가능하였다. 덕분에 M10 구축전차는 1000m 정도의 중거리에서 5호 전차 판터나 6호 전차 티거에게 유효한 타격을 가할 수 있었으며, 비록 포탑 회전을 수동 핸들에 의존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으나 사격각을 확보하기 위해 이리저리 차체를 틀어야했던 고정식 전투실을 장비한 타국의 대전차자주포보다는 훨씬 유리했다.
그런데 문제는 나스호른처럼 오픈탑에 장갑이 얇은 관계로 전차처럼 돌격했다가는 적의 대전차포나 보병에게 취약했다는 것이다. 게다가 본질적으로 매복에 더 적합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유사시 신속한 대전차화력을 지원하고 싶어도 빈약한 방어력으로 인해 이동하다가 당하는 등 어려움이 있었으며, 적 전차를 먼저 발견하고 빠르게 사격하기 위해 장비한 오픈탑 형식의 주포탑은 적 보병의 수류탄 투척 및 박격포 화력에 매우 취약했다. 비가 내린다거나 숲 같이 나뭇가지 같은 것이 떨어질 수 있는 곳에서는 차량 내부가 엉망이 돼버리므로 이걸 막으려고 캔버스 같은 것을 포탑 위에 씌워야 했다. 후기형 중에는 장갑판으로 오픈된 상부를 막는 시도도 있었으나 장갑판 자체가 얇은데다가 큐폴라가 설치되지 않은 관계로 시야확보에는 그 만큼 어려움을 겪었다.
차체가 매우 얇아서 미국 초기라고는 믿을 수 없게도 측면까지 경사장갑으로 이루어졌는데, 약간의 방어력 향상은 이론적으로 가능했지만, 이 경사장갑이 궤도까지 가려버리는 바람에 승하차를 하기가 매우 불편했고, 오를 수 있는 손잡이도 없기 때문에 아주 기를 쓰고 올라가야했다. 의외의 장점이라면 적보병이 전차 위로 올라가기가 불편하다는 정도다.
이외에도 조금 이해가 안가는 요소로 무전수와 조종수는 포탑을 뒤로 돌리지 않는 이상 그들 자리 위의 해치로 들어갈 수 없다. 왜냐하면 포방패가 해치를 여는 길에 있기 때문에 막혀버리기 때문이다. 이러면 승하차 때의 불편함은 둘째치더라도 포탑이 앞으로 향할 때 전차가 격파될 시 이들은 빠르게 탈출 할 수 없다.
또한 대전차자주포답게 적 전차와 교전하기 위한 전용 차량으로 설계되었으나 변수가 많은 전장의 특성상 전차의 역할을 강요받기도 했다. 하지만 M10 울버린은 태생이 셔먼을 개수하면서 방어력을 떨어뜨리고 기동성을 늘린 차량이다. 그래서 장갑은 정면 40mm, 측면 15mm로 아주 얇은 수준, 적 37mm포에도 방호력을 보장받지 못했다. 그리고 오픈탑식의 울버린 포탑이 생각보다 커서 차체측면을 경사진 각도로 연장해야 했으므로 전차 대용품으로 쓰기엔 무리가 컸으며 셔먼과 달리 동축기총이나 차체기총도 없어 보병 제압도 제대로 못 했다.
M10 울버린에 장착된 76.2mm 주포의 성능에도 문제가 있었다. 아프리카 전역에서 첫 등장 당시에는 충분히 강력한 물건이었으나 셔먼 항목에도 볼 수 있듯이 미군은 적 전차들을 과소평가해서 자국 기갑장비들을 업그레이드하지 않았고 노르망디 이후에 이 문제는 현실로 드러나게 된다. 물론 독일의 중전차인 티거나 판터와 정면승부는 가능했다. 울버린은 서부 전선의 표준교전거리인 800야드가 넘는 1200야드에서도 티거 전면을 관통할 수는 있었다. 다만 티거는 2천 미터가 넘는 거리에서도[2] 울버린을 고철로 만들 수 있으며, 상기한 얇은 장갑과 상부 오픈형 포탑때문에 그 이상의 거리에서 철갑탄이 명중해도 박살날수 있었다.
그래서 생산량에 비해 전선에서의 요청량이 적었다. 위력은 그저 그런데 장갑까지 얇은 데다가 보병한테도 쉽게 깨지니 이걸 많이 요청할 일이 없는 건 당연한 일이었지만, 덕분에 패튼이나 브래들리 같은 많은 미국 장성들이 해당 방식의 대전차 자주포는 실패작이라고 평했으며, 이는 레슬리 맥네어가 해당 대전차 자주포 부대를 견인식 대전차포 부대로 개악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덕분에 상당량의 잉여 차량이 남게 되었는데, 오히려 대전차 자주포를 반대하던 미국 병기국장 글래디언.M.반즈 중장의 손에 의해 만들어진 90mm 대전차포 무장형 구축전차 M36 잭슨이 등장하면서 M10과 M10A1의 차체는 대부분 M36으로 개수되는 운명을 맞았으며 전선에서 후송된 M10까지 마구잡이로 개조된다. 그래서 미국의 차량답지 않게 생산량이 제대로 집계되지 않았다. 그나마 대전차 자주포라는 이름을 가지고 화력이 부족했던 울버린과 달리 잭슨은 독일군을 확실하게 제압할 수 있는 빠따를 가져 전공을 여럿 세운 것은 다행일지도 모른다.
4 파생형 - 아킬레스
영국군은 셔먼을 개조해서 셔먼 파이어플라이를 만든 것을 참고해서 셔먼보다 포탑이 더 넓은 M10에 17파운더를 쉽게 장착해서 아킬레스라고 명명하고 사용했다. 아킬레스 mk.1은 트윈 디젤 엔진을 장착한 모델이고, 아킬레스 mk.2는 포드 V8 엔진을 장착한 모델이다.영국군 중에서 76mm. 정확히는 3인치 포를 사용하는 차량이 거의 없었고 17파운더는 탄환이 달랐기 때문에 탄약 조달에 문제가 생겼기에 17파운더로 바꾼 것은 현명한 선택이었다. 당장에 이 분들은 미군보다 더 6호 전차 티거를 많이 만났기 때문에 강력한 포를 가진 전차가 더 필요했으니까. 파이어플라이보다 장갑에선 약할지라도 기동성과 시야에선 뛰어났는데, 그 중 17파운더 사격에 의해 만들어진 엄청난 매연과 먼지 속에서 오픈탑이라는 이점을 통해 시야 확보가 파이어플라이보다 좀 더 원활해 차탄 발사를 하기 위한 조준 또는 상황 판단 속도가 더 빠르다는 장점이 더 컸다.
물론 셔먼보다 더욱 더 허약한 울버린의 차체에 포만 개수해버렸으니 파이어플라이같은 전차같이 공세적으로 운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17파운더의 특성상 중거리 이상의 목표에 대한 명중률은 처량했기 때문에 안그래도 종이장갑을 가진 물건을 위험하게 적의 코 앞에 근접시켜서 써야 하는 진땀빼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하지만 영국군은 미군과 달리 아킬레스를 철저하게 방어 및 지원용으로만 사용했기 때문에 별로 문제되지 않았고, 포탑 내부 용적이 상대적으로 넓고 시야가 많이 확보되므로 장전속도나 주변관찰능력이 파이어플라이보다 우세했기 때문에 방어전이나 긴급화력지원시에는 상당히 유용했다. 그리고 같은 17파운더를 보유하더라도 견인포의 경우 무거운 대전차포를 직접 인력으로 운용해야 하고, 아처의 경우 전진하기에 매우 불편하고 오히려 더 느린지라 회전식 포탑 및 넓은 시야를 가진 아킬레스가 더 전투에서 유리하고, 원판 M10 울버린은 화력이 빈약해서 존재가치가 엄청나게 떨어져 아킬레스는 전선에서 적극적으로 환영받았다. 그리고 M36 잭슨은 미군만 사용했으므로 영국군의 입장에서는 아킬레스를 대체할 다른 차량이 없다시피했기에 종전시까지 밥값은 다 했다.
한국전쟁 당시 캐나다군 C중대가 처음 부산에 도착했을 때 이것을 들고 왔지만 보병전에는 적합하지 않아[3] 미국으로부터 M4A3E8을 받아 대체했다. 동시기에 영국군이 그 당시 자국 최신 전차인 센츄리온 MK.III를 빌려주는 대신에 자국의 지휘 아래로 오라고 권했지만 이를 거부했다.
5 매체 속에서의 M10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의 미군 기갑 유닛이기도 한데, 공격력은 좋지만 관통력이 부족하며 대보병이 깔아뭉개는것 말고는 기대할 수 없고[4] 고증에 부합하게 물장갑이라 티거나 8,8cm FlaK엔 때리기도 전에 박살난다는 점이 문제. 하지만 셔먼보다 싸고 공격력이 괜찮다는 점 때문에 개때로 운용하면서 깔아뭉개고, 순간 수적 우위를 점해서 전차전에서도 우위를 가져갈 수 있다. 대전차포, 지뢰, 88mm만 조심하자.
결국 몇번의 패치를 거치고 유저들이 여러 활용방법을 개발하면서 미국의 주력 기갑 유닛이 됐다. 포탑 선회 속도와 이동속도가 빨라서 '둥글게 둥글게' 만 익혔다면 2대 정도로 쾨니히스 티거도 발라먹을수 있다. 게다가 보병은 미칠듯한 속도로 밟는다! 후반가면 보병에 섞여서 추축(특히 판엘)을 짜증나게 만든다. 다만 물장갑 + 물맷집인지라 상대가 대전차 준비가 잘 되어 있으면 힘들다. 주로 도망가는 적 전차에 추격타를 먹이는 용도로 쓰인다. 수가 좀 모이면 떼로 적전차의 후방을 공격하는 경우도 자주있다. 다만 팀전에서는 후반에 갈수록 맷집이 딸려서 주포업한 셔먼이 더 낫다. (영국이 동맹에 있다면 파이어플라이가 섞인다.)
가끔 유저들 사이에서 담배라고 불리는 치명적인 버그가 있는데, 포를 쏴도 연기만 나고 포탄이 발사가 안된다. 패치로 조금 좋아졌다지만, 아직도 울버린을 후반에 주력으로 선뜻 쓰기가 꺼려지는 큰 이유 중 하나이다. 근데 위쪽 문단에서 주포관련 내용을 보면 오히려 이게 현실고증에 충실하다는 말도 나온다.
월드 오브 탱크에서는 미국 5티어 구축전차로 등장한다. 구축전차 라인에서는 최초로 등장하는 포탑이 달린 구축전차였으나, 동티어의 미군 구축전차인 T67과 비슷하면서 좀 더 느리고 덩치가 큰 대신 애매한 장갑을 준 터라 인기는 별로 없다. 다음 티어인 헬켓까지 자유경험치로 뚫는 경우가 많아 헬켓이 더 많이 보일 정도. 울버린 자체는 76mm 포를 2~3초에 한 발씩 난사할 수 있으므로 이를 살려 기관총 포대와 비슷한 운용을 하게 된다. 이후 M36 슬러거 라인을 타면 다시 포탑이 사라지고 미칠듯한 정면 떡장을 자랑하는 T95 라인을 타게되고, M18 헬캣 라인을 타게 되면 빠르고 강력한 펀치를 가지다가, 고티어로 가면갈수록 점점 느려지지만 T95 라인 못지않은 정면 장갑을 가지게 된다. 헬캣 라인 10티어의 경우엔 동티어 중전차와 동일한 차체를 쓰지만 주포가 우월하기에 중전차에게 박탈감을 안겨주는 사기탱크로 군림한다.
9.5 패치에서는 영국 6티어 구축전차로 '아킬레스' 또한 등장하였으며 4티어 경전차 '발렌타인' 5티어 구축전차 '아처'를 이으며, 그 뒤로는 정규 2차 구축 전차 트리의 시작인 챌린저와 합류한다. 불행하게도 위장, 명중률을 제외하고는 파이어플라이보다 크게 좋지 않다. 부각도 -5도 밖에 안하는데다가 연사력에서 파이어플라이보다 크게 우위에 있지 않은지라. 대신에 포탑 회전을 제외한 기동성 자체는 좋다.
배틀필드 1942에서는 미군과 영국군의 중전차로 등장한다. 다시 말해 티거와 울버린이 정정당당하게 맞서싸우는 모습을 볼 수 있다는 것. [5]천만 다행히도 대공기관총은 안 달려 있다. 원래 중전차는 대공기관총이 안 달려있지만.
워 썬더에서는 미국의 2랭크 구축전차로 등장한다. 셔먼의 76mm 포와 동급인 3인치 포를 BR 1 이상을 앞당겨서 끌어쓰기 때문에 매우 위력적이다. 장갑도 같은 포를 쓰는 4호 전차보다 경사가 잘 져있어서 동랭크급 포를 간간이 도탄낼 수 있기에 상대적으로 우수한 편이다. 포탑 회전은 느리지만 차체를 돌리는 것보다는 백배 낫고 대부분 저격을 할 것이기 때문에 문제는 안된다. 그래서 4월말에 추가된 후 벌써 OP 소리를 듣고 있다.
17파운더를 장착한 M10 아킬레스도 영국트리의 프리미엄과 정규트리 3랭크 구축전차로 등장한다. 포탑 회전은 게임 내에서 가장 느린 초당 2.7도에 불과하지만 다행히도 고증과는 달리 17파운더의 장거리 명중률이 매우 훌륭하기 때문에[6] 장거리 저격전에서 -10도의 우월한 부각을 사용해서 교전을 유도해 나갈 수 있다. 해당 BR에서 100m 거리 168mm 관통력은 다른 전차들이 함부로 노릴 수 없는 부위들을 마음껏 쏴재낄 수 있어서 매우 쾌적하다.
다만 영국 특유의 생철갑탄[7] + 고폭 위력부족때문에 대공전차를 만나면 정말 고생하게 되며 초탄에 포수를 무력화시키지 않는 이상 순식간에 찢겨나간다.
워스토리에서는 포병으로 등장한다. 심지어 M18 헬캣보다 상위 포병이다.
6 모형화
• 아카데미과학 : 울버린과 아킬레스를 내놓았지만 차체상부 장갑판 각도가 실물보다 높아 까였지만 내부 재현이 되어있고 아킬레스를 유일하게 재현한 인젝션 킷이며 2014년에는 노르망디 상륙작전 70주년 기념으로 신금형으로 된 키트를 내놓았고 문제가 되었던 장갑판 각도를 수정하고 M2 중기관총의 디테일이 상당한 편이며[8]에칭이 포함되어 있다.
• AFV 클럽 : 추가바람
• 타미야 : 1/35 스케일로 내놓았지만 크기는 1/30에 가까우며[9] 단종되어서 찾아보기도 힘들다. 2016년 신금형으로 중기형 M10을 출시했다. 사실상 결정판.
7 둘러보기
제2차 세계대전기의 캐나다군 기갑장비 | |||||||||||||||||||||||||||||||||||||||||||||||||||||||||||||||||||||||||||||||||||||||||||||||||||
장갑차 | 모리스-커머셜 LRC, 다임러 장갑차, 험버 Mk. IV 장갑차, 폭스 장갑차 | ||||||||||||||||||||||||||||||||||||||||||||||||||||||||||||||||||||||||||||||||||||||||||||||||||
정찰차량 | 링크스, 모리스-커머셜 LRC, M3 스카웃 카, M6 스태그하운드, 험버 Mk. I 정찰차, 리눅스 정찰차, 오터 LRC 경정찰차량 | ||||||||||||||||||||||||||||||||||||||||||||||||||||||||||||||||||||||||||||||||||||||||||||||||||
전차 | 경전차 | M3 스튜어트, Mk.6 경전차 | |||||||||||||||||||||||||||||||||||||||||||||||||||||||||||||||||||||||||||||||||||||||||||||||||
중(中)형전차 | 마틸다 II, 발렌타인, M3 리/그랜트, 셔먼 I, III, IV, 셔먼 V DD, 파이어플라이, Ram Badger flame tank, Centaur IV, Grizzly I cruiser | ||||||||||||||||||||||||||||||||||||||||||||||||||||||||||||||||||||||||||||||||||||||||||||||||||
중전차 | 처칠 Mk.I, 처칠 Oke | ||||||||||||||||||||||||||||||||||||||||||||||||||||||||||||||||||||||||||||||||||||||||||||||||||
구축전차 | M10 울버린, 17pdr SP M10 아킬레스, 아처 | ||||||||||||||||||||||||||||||||||||||||||||||||||||||||||||||||||||||||||||||||||||||||||||||||||
자주포 | 섹스턴, M7 프리스트, Crusader III, AA Mk.I, Mk.II/III, Skink anti-aircraft tank |
현대의 중화민국 국군 기갑차량 | ||
MBT | 1세대 | M48A3H |
2세대 | CM-11/12M, M60A3 TTS | |
경전차 | M41DM, M41 | |
장갑차 | 장륜장갑차 | CM-32, V-150S |
궤도장갑차 | CM-21, M113, LVT-5, AAV7A1 | |
차량 | 오토바이 | 야마하 로얄 스타 밴처 헌병 오토바이, KYMCO KTR125 정찰용 오토바이 |
소형 | M151R, 험비 | |
트럭 | M35, M923, 나비스타 디펜스 MV 4×4*, 오시코시 FMTV · HEMTT 벤츠 악트로스 · 아테고 · 우니모크, MAN HET, 볼보 FH 히노 500 , 미쓰비시 델리카, 대우 차세대트럭 | |
자주포 | M110A2, M109(A2/A5), M107R, M108R | |
자주 대공포 / 대공미사일 | M42 더스터, M1097 어벤저, MIM-72/M48 채퍼럴 · 톈첸-1 | |
다연장로켓 | 쿵 펭-IIIR/IV/VI, 뢰정-2000 | |
기타 | M10 울버린R, M18 헬캣R, M36 잭슨R, M4 셔먼R, M7 프리스트R | |
※ 윗첨자R : 퇴역 차량 ※ 윗첨자M : 개조 차량 * : 나비스타 인터내셔널社의 워크스타 트럭을 개수한 군납 모델. |
기갑차량 둘러보기 |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1~) |
- ↑ 정확히는 타미야 카피판
- ↑ 티거의 명중율이 동시대 다른 전차들보다 좋았던 건 사실이지만 2킬로 밖에서 연합군 전차를 손쉽게 잡을 정도는 아니었다. 포 자체의 기계적 정확도는 둘째치고 당시의 원시적 조준장치로 인해 포수가 정확히 표적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정조준하는 것 자체가 상당히 어려운 일이었다.
- ↑ 17파운더용 고폭탄은 탄속이 통상 APCBC와 같았는데, 탄두가 화약의 추진력을 견딜 수 있도록 튼튼하게 만드느라 반대급부로 고폭탄 작약량은 여타 75~76mm 고폭탄의 절반에 불과했다. 2차대전 내내 17파운더 사수는 고폭탄의 위력 부족에 시달려야 했다.
- ↑ 기관총도 전혀 없다.
- ↑ 더 무시무시한건 T-34-76이 중전차다. 그러면 중형 전차는 뭐냐고? T-34-85다!
- ↑ 대신 APDS는 5.3BR인 코멧 이전엔 받지 않는다.
- ↑ 관통 후 파편량이 거의 없다. 모듈제인 워썬더에서는 꽤 치명적인 단점.
- ↑ 모델러들 말로는 플라스틱으로 재현할 수 있는 한계까지 표현했다고 한다.
- ↑ 이점은 70~80년대 금형을 쓴탓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