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

파일:Attachment/hnm.jpg

ZARA 보고 놀란 가슴 달래러 가는 곳
항앤문
흐앤므
Hennes & Mauritz, H&M
홈페이지

1 개요

스웨덴에서 시작 된, 세계적인 SPA 브랜드. 유럽 각지에 없는 도시가 없고, 미국 등에도 진출해 있다가 한국에는 2010년 2월 최초로 명동에 진출. 스웨덴 상장기업 중 시가총액 1위의 대기업이다.

한국에서는 영어식으로 '에이치앤(드)엠'이라고 부르지만 원래 스웨덴어로는 호오엠(...)이다.

2 특징

세계적인 SPA 브랜드라는 명성에 걸맞게, 괜찮은 가격의, 괜찮은 디자인의, 괜찮은 원단의 옷을, 디자인이 단순한 주류품목[1] 몇가지를 제외하면 거의 한달에 한차례씩의 매우 빠른 회전율로 교체해가며 공급하고 있다. 교체가 빠른 만큼 할인 행사도 잦은 편. 노골적으로 들이대지 않는 그런지&빈티지가 주 컨셉으로써, 잘 감이 안온다면 회색과 갈색과 멜란지로 점철된 유니클로를 떠올려봐도 좋겠다. 한국에서는 생각보다 가격이 많이 나가는 편으로써, 일대일로 비교해보면 외국의 H&M에 비해 비싸긴 비싸다. 하지만 경쟁 브랜드들이 원체 바가지[2]를 씌우다 보니, 외국과의 가격차가 그나마 가장 덜한 편이다. 그리고 할인행사 및 땡처리도 한번 하면 거창하게 하는지라 운때 맞게 잘 찾으면[3] 큰 돈 들이지 않고 넉넉하게 구비할 수 있다.그러나 그 많은 옷들이 두달쯤 지나서 동시다발로 걸레처럼 헤짐

미국 대도시나 유럽으로 여행가는 위키러는 한번쯤 들러보자. 몇몇 품목을 제외하고는 세일중이 아닐때도 미친 가격을 자랑해서인지 주말에 충공깽으로 북적거린다. 게다가 유럽의 h&m 매장에서는 면세 쇼핑[4]도 가능하다. 앞서 ZARA 하고는 달리 상당히 캐쥬얼한 노숙자 룩일상복을 취급하는 노선이므로 부담없이 둘러볼 수 있다. 물론 미국에서는 추수감사절에 미친 세일을 함으로 그때 가서 2년치 옷을 구매하는 한국인 유학생들도 심심치 않게 존재한다.

디자인만큼은 확실해서, 유니클로나 스파오등에 비해 좀 더 무심하고 쉬크하고성숙한 스타일을 갖출 수 있는 상품이 많은 편이다. 무엇을 집어들건 촌스럽거나 철없어보일 일은 절대로 없다! 단 옷의 사이즈가 해외 기준에 맞추는 일이 많으니 꼭 입어보고 사야한다. 특히 여름 캐주얼의 경우 아열대기후에 납품되는 옷들인지 펑퍼짐하고 가슴이 지나치게 파여있는 경우도 많다. 한편 비용절감한국은 최소 1만원이상 비싸게 들어오는게 함정을 위해서인지 원단 질은 좀 많이 떨어지는데, 같은 종류의 가격대가 비슷한 제품끼리 비교해보면 다른 브랜드에 비해 원단이 얇고 약해서 오래오래 입기는 힘든 편이다. 말 그대로 한철 입고 마는 패스트 패션.[5]

3 대한민국에서


여의도 IFC 서울

2010년 2월 개점한 명동 눈스퀘어를 시작으로 신도림 디큐브시티, 김포국제공항 롯데몰, 여의도 IFC몰, 용산 아이파크몰, 인천광역시, 신세계 충청점, 신세계 센텀시티, 대구 동성로에도 입점해 있다

참고로, 한국 H&M에서는 2011년 5월부터 신한카드를 받지 않았었지만 # 2012년 3월 기준으로 한국 H&M에서도 신한카드를 받기 시작했다. 신용카드사에 클레임이 많았나 보다 너거들이 코코냐?

적어도 한국 매장을 기준으로 봤을땐 사이즈가 꽤 넉넉한 편으로, 북유럽인의 체격을 기준으로 만들었는지 다른 브랜드의 동일 사이즈와 비교했을때 기장과 팔이 긴 편이다. 그리고 M까지는 국내 기준보다 한치수 클 것으로 예측하면 대강 맞는데, S와 XS는 느닷없이 아동복급으로 몸둘레가 작아지는 제품이 간혹 있으므로 체구가 작은 사람들은 참조 하도록. 또한 다른 브랜드의 매장에선 볼 수 없는 115 이상의 사이즈[6]도 항상 비치해 둔다. 다만 들어오고 몇시만에 다 나가버려서 문제

사족이지만 한국에는 H&T라는 로고 폰트를 똑같이 쓴 짝퉁 브랜드가 존재했었다.[7]

한국에서는 큰 사이즈 옷이 없다고 투덜대던 국내거주 서양인들이 모두 다 여기에 몰리고 있다고 한다. 대표적으로 운동하러 모였는데 모두 똑같은 반바지를 색만 바꾸어서 입고 나오게 되서 ..오해를 사는 경우도 많다고.커플 반바지가 아닙니다

2014년 MAMA 시상식에서 배우 강소라가 입은 드레스가 H&M의 드레스로 밝혀져 화제가 됐다. 연예인들이 응당 그렇듯이 비싼 드레스를 입을 것이라는 편견을 깨고 정가 39,000원의 옷을 입고 시상식에 참가했다.3만9천원이라고 말 안해주면 절대 모를 듯, 역시 패완얼#

4 컬래버레이션

HM-and-Lanvin.jpg
▲2010년 11월에 진행한 랑방과의 컬래버레이션 로고

특이한 점으로는 2004년 칼 라거펠트를 시작으로 매년 연말에 명품,패션 하우스 브랜드나 디자이너 브랜드 또는 초대형 팝스타들과 함께 컬래버레이션을 하여 몇 백만원쯤 하는 명품의 디자인을 H&M의 가격(몇만~몇십만)과 품질으로 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이런 마케팅은 전 세계적인 관심과 함께 큰 효과를 거두면서 옷 좀 입는다는 사람들은 누구나 H&M의 이 컬래버레이션 프로젝트를 기대하게 만들었다. 한국에는 2010년 2월 소니아 리키엘부터 이 컬래버레이션 옷들을 구입할 수 있게 되었다.

컬래버레이션 라인이 발매될때마다 한보따리 사가서 인터넷에 외국에서 사왔다며 몇배로 팔아먹는 몰염치한 인간들이 꽤나 있다. 이 때부터 대한민국에서도 리셀러들이 등장한 시기이다.

2012년 11월 15일 마르니와의 컬래버레이션이 공개되는 날에는 H&M매장 앞에서 밤샘 줄서기를 하는 추태를 보여준 사람들이 있어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다 관련 기사 줄서기를 하던 사람들과의 인터뷰에서 위에서 언급된 "몇 배로 팔아먹을 수 있다"는 이야기까지 가감없이 나오고 있다.

결국, 2015년 11월 5일 진행된 발망과의 컬래바레이션에서는 30명씩 1팀 이뤄 들어가며 10분 쇼핑 시간 제한과 품목당 1개씩 구입제한을 두긴했는데, 이렇게 되면 앞에 선 사람들이 싹쓰리 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차라리 품목당 1개 제한이 아니라 컬래버레이션 전 품목 중에 1개로 제한하는 것이 가장 옳다고 본다.

이제까지 H&M과 함께한 컬래버레이션 프로젝트 일람

사실 이런 컬래버레이션 작업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도 존재한다. 왜냐하면 H&M 옷의 디자인은 이미 수많은 명품 브랜드를 카피한 것이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말하면 눈 가리고 아웅인 셈. 컬래버레이션 제품이나 일반 제품이나 디자인은 똑같이 명품 카피인데, 어떻게 보면 마케팅에 놀아나는것과 다름 없다.

또한 아무리 패션 하우스, 디자이너 브랜드와의 컬래버레션이라고 해도 지나치게 비싼 가격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2014년 알렉산더 왕 컬래버레이션의 일부 제품은 40만원 대 중반의 가격이 책정되어 논란이 되었다.
  1. 티셔츠, 후드티, 치노, 속옷 등.
  2. 자라가 대표적.
  3. 사실 할인행사는 연중 상설로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브랜드가 이월상품을 아울렛으로 보내는 반면 H&M등의 SPA는 해당매장 안에서 땡처리까지 다 해결하기 때문.
  4. 면세 가능한 최저한도를 넘겨서 구매하면 영수증을 끊어주고, 이 영수증에 세관에서 확인 도장을 받은 뒤 유럽연합을 완전히 떠나기 전 공항 내 환급 카운터에서 세금을 돌려받는다.
  5. 셔츠는 성경책 종이처럼 얇고, 후디와 스웨터도 들어보면 옷걸이 무게만 느껴질 정도. 심지어는 벨트가죽 마저도 상식적인 두께(3.5~4mm)의 절반정도밖에 안된다.
  6. XL이 한국기준 110~120정도. 보통 XL까지 나오며, 120보다 큰 사이즈는 거의 없다.
  7. 범인은 행텐(...). 한동안 개기다가 H:CONNECT로 다시 이름을 바꿨다. 그래 뵈도 제품력은 삼성의 에잇세컨즈보다 낫다는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