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S

(Mms에서 넘어옴)

1 Multimedia Messaging System

이동통신 메시지 전송 방식
네트워크 종속1세대2세대3세대
문자메시지MMSjoyn
플랫폼 종속통합메시지함모바일 메신저

기존의 문자메시지가 이름 그대로 문자만 보낼 수 있는 반면, MMS는 문자 외에 그림동영상을 함께 보낼 수 있다. 요금은 문자메시지보다 비싼 편이다. SK텔레콤에서는 컬러메일[1], kt에서는 멀티메일, LG유플러스에서는 샷메일이란 이름으로 서비스하고 있다. 통화 연결음컬러링/링투유/필링, 발신자통보서비스는 콜키퍼/캐치콜/매너콜

유럽에서는 자주 쓰이지만 한국에서는 자리를 잡지 못한 서비스. 특히 MMS를 대체할 수 있는 카카오톡의 등장 이후 가격이 비싼 MMS는 거의 쓰지 않게 되었다. 국제 표준 SMS규격은 140Byte, 국내에선 80Byte(즉, 완성형한글 40자)로 제한 되는 까닭에, 커뮤니케이션의 스타일과 언어 습관 또한 많이 바뀌었다. '밥 먹었어?' '뭐해?' 등. 트위터 같은 요소가 이미 자리잡고 있었던 것이다.
국제표준 SMS의 경우, 7bit를 1글자로 치환하는 꼼수를 써서 알파벳,숫자 등 아스키 코드 문자으로는 140자가 아닌 160자까지 써진다. 하지만 한글 등 아스키 코드 이외 문자가 한 자라도 있으면 해당 메시지 전체가 유니코드로 전환되기 때문에 70자까지만 써진다. 즉, 한글 1자+알파벳 138자(2+138=140)가 아니라, 한글 1자+영어 69자(1+69=70)라는 뜻이다.
국내에선 국제표준은 생까고 80Byte였는데, 문자메시지 수요가 현저이 줄어들고 나서야 KT는 2011년역시 선구자 아이폰 덕을 톡톡히 본다 11월부터, SKT는 2013년 8월부터, LG U+는 2013년 10월 17일 부터 70자(140byte)까지 쓸 수 있게 하였다. 이 사항은 기존 단말기도 똑같이 적용되어, 기존 단말기에서 40자가 넘어 MMS로 변환되어도 140byte까지는 MMS요금(보통 30원)이 아닌 SMS요금(보통 20원)이 부과된다.

한편 이 MMS를 구현하기 위해 만들어졌던 것이 있으니... 공공의 적 통합메시지함 참조.
하지만 지금은 망했어요. 2012년 5월부터 말 뿐인단말기 자급제가 실시된 이후, 각 통신사 고유 MMS가 사라지고, 이후 출시되는 휴대폰에선 모두 국제표준인 OMA-MMS가 탑재된다. 물론 해외 출시 폰들은 옛날옛적부터 OMA-MMS였다.
그런 고로 2012년 5월 이후에 출시되는 국산 폰들은 타사 유심 기변을 해도 MMS가 정상적으로 되며, 만약 안 되더라도 그건 버그일 뿐이니 APN 설정을 적절히 한다면 MMS를 문제없이 쓸 수 있다. 이전에도 OMA-MMS가 탑재된 국산 폰이 있는데, 참고하라.

kt의 경우, OMA-MMS가 아닌 SK 통합메세지함을 탑재한 구형 스마트폰에서 MMS를 구현하기 위해 올레 메시지통이란 앱을 배포한 적이 있다. 본인이 2012년 5월 이전에 출시한 SKT용 단말기[2]인데 kt 유심이라서 MMS가 불가능하다면 이 앱으로 임시변통을 할 수 있다. 당연한 말이지만, 2012년 5월 이후에 출시한 SKT/U+용 단말기는 OMA-MMS이므로 이 앱이 전혀 필요없으며, 설치할 이유가 없다. 물론 외산 스마트폰 또한 이 앱을 설치할 이유가 전혀 없다. 오직 구형 SKT용 스마트폰을 위한 앱이다.

참고로, 카카오톡·텔레그램같은 인스턴트메신저나 joyn(RCS) 뿐만 아니라 MMS도 무료로 '상대방 수신확인·읽음확인'이 가능하다. KT의 경우, '등기문자'라고 해서 SMS까지도 수신확인을 지원하는데, 문제는 이게 SMS일 땐 20원이 추가되는 유료서비스라는 점. 즉 SMS로 등기문자를 보내면 20원+20원=40원이 청구된다. 문자 기본제공량에서 100개를 제공하든 200개를 제공하든 등기 20원은 별도다(...)
하지만 위에 서술한 대로 3사 모두 MMS로 보내더라도 140byte까지는 SMS요금이 나오기 때문에(즉, MMS로 140Byte까지는 수신·읽음확인을 요청하든 안하든 30원이 아니라 20원만 나온다는 뜻이다. 당연히 기본제공량이 있으면 그냥 거기서 차감) 이를 적절히 이용하면 수신확인·읽음확인을 활용할 수 있다. 그럼 어떻게 70자 이하일 때 MMS로 보내냐고? 제목을 추가하면 70자 이내라도 SMS가 아닌 MMS로 발송되며, 혹은 글자색을 한 자라도 바꾸면 MMS로 발송된다. 그러니 써먹자.

하지만 수신확인·읽음확인을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것은 3사 중 kt 뿐이며, SKT, LG유플러스는 이를 공식 지원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SKT, 유플러스용 단말기에는 수신·읽음확인 기능을 못 쓰게 통신사 커스텀되어 있어서 SKT, 유플러스용 단말기에는 메시지 설정에 수신확인·읽음확인 설정 메뉴가 없다.
고로 실제적으로 국내용 단말기로는 MMS 수신·읽음확인을 kt만 쓸 수 있는 상황이다. 수신확인은 받는 상대 상관없이 작동하고, 읽음확인은 상대가 'kt 가입자+kt용 단말기'일 때만 작동한다. 카톡쓰자 그래도 SKT, LG유플러스용 단말기가 아닌, 자급제용 해외 단말기에는 통신사 커스텀이 없으니 수신확인 기능이 멀쩡히 잘 살아있고, 이를 딱히 막은 건 아니라서 자급제용 해외 단말기를 쓰면 SKT, LG유플러스 가입자도 수신확인이 가능하다.

  1. 초창기에는 메시지 발신은 물론 수신 시에도 WAP(모바일 인터넷)에 접속하여 요금을 내야 하는 흠좀무한 서비스였다.
  2. 올레메시지통 앱 설명에 해당 단말기 목록이 나열되어 있다.

2 Microsoft Media Server

마이크로소프트가 만든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프로토콜이다. 이를 통해 전송하는 멀티미디어의 주소는 MMS:// 로 시작한다.

3 Multi Mode Service

600px

기존 디지털 TV의 대역을 여러 개로 나누어 2개 이상의 채널을 동시에 송출하는 방식이다.

3.1 사례

3.1.1 해외

3.1.1.1 ATSC

미국의 경우 2000년대부터 일부 방송사들이 MMS를 시행하고 있다.

3.1.1.2 DVB-T

DVB-T를 디지털 공중파 방송 방식으로 채택한 나라에서는 ATSC처럼 한 채널에 여러 방송을 우겨넣는(?) 일이 없는 대신에 멀티플렉스라는 개념이 있다. 이들 나라에서는 유료방송의 대체재로 작용하면서 지상파 직접 수신 가구수가 유료 방송 가입 가구수보다 많은 기현상이 나타났다#.

3.1.1.3 ISDB-T

일본의 경우 NHK의 교육채널인 E텔레(Eテレ)에서 2004년 9월부터 부분적인 다채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 채널에 정규편성을 하고 다른 채널에 다른 편성을 하는 형식. 원세그 채널도 마찬가지여서 NHK의 원세그 2채널은 원세그의 특징을 살린 프로그램을 일부 시간대에 편성한다.

민영방송의 경우 도쿄 MX가 2008년 6월에 원세그 멀티채널, 2014년 4월에 지상파 멀티채널(091ch, 092ch)을 시작했다. 하지만 화질 열화가 발생하면서 주변에서 욕을 먹고 있다.관련 포스팅

3.1.2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경우 2006년에 지상파 MMS 시험방송을 실시한 적이 있었으나, 화질 저하[4] 등으로 인한 시청자들의 항의가 빗발치면서 20여 일 만에 중단해야만 했던 흑역사가 있었다#. 당시에 지상파 MMS 채널에서는 독일 월드컵 관련 프로그램들과 몇몇 교양 프로그램들을 방영하였다고 한다. 당시의 지상파 디지털 TV 화질이 어땠는지는 여기를 참조하자.

600px
이후 2010년KBS가 코리아뷰(Koreaview, 약칭 K-View) 사업을 계획하게 된다. 그런데, 지난 번의 MMS 시험방송에서 화질 저하로 인하여 문제가 되었는지 이번에는 HD 채널만 기존 TV 수상기와의 호환성 유지를 위해 MPEG 2 코덱으로 압축하고, SD 채널은 종전과 달리 화질저하 문제를 줄이기 위해 H.264 코덱으로 압축하여 송출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결국 기존 TV로는 SD 채널을 시청할 수 없기 때문에 별개의 수신기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5].

600px
KBS는 2010년 9월 3일부터 2주 동안 수도권 내 500가구를 대상으로 코리아뷰 시험방송을 실시할 예정이었으나,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허가를 받지 못해 실시하지 못했다#. 시험방송 대상이었던 가구들 지못미. 이는 나중에 국회의 국정감사에서도 지적되었다#. 이후 국회의사당 등에서 시연회를 실시하다 2011년 12월 27일제주특별자치도 북부 지역에서 기상재난 시험방송을 송출하는 것으로 코리아뷰 시험방송을 시작하였다#.

600px
코리아뷰의 주 목적은 유료방송 미가입자들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서라고#. 실제로 설문조사 결과 코리아뷰 도입에 찬성한 사람의 비율이 90%를 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화질이 개판이 된다는 것을 알고도 찬성할 사람은 얼마나 될까?

파일:Attachment/Koreaview 1 1.jpg [6]
2014년 1월 2일부터 3월 31일까지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지상파 다채널 실험방송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관악산에 송신 시설을 설치하였으며, 4대 방송사가 3주씩 번갈아가며 방송을 운영하였다(관련 기사).
실험방송 이후 정식으로 개국하게 되면 지상파 방송 4사가 자사 계열 유료방송 채널을 지상파로 송출하게 되어 채널 수가 20개[7]로 늘어날 것이다.

방송통신위원회2014년 8월 4일에 발표한 간담회에서 7대 정책 과제를 발표하면서 2015년부터 EBS를 시작으로 다채널 서비스를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은 “유료방송에 있는 교육방송을 MMS로 내보내면 사교육비 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며 “나머지 지상파 방송에 대해서는 기술적으로 큰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지만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 시행 계획을 세워갈 것”이라고 했다.#
김유열 EBS 정책기획부장은 12월 10일 한국방송협회가 주최한 ‘지상파 다채널 방송(MMS) 정책 토론회’에서 “사교육 경감을 위해 EBS 플러스 1, EBS 플러스 2, EBS 잉글리쉬 등 3개의 PP 채널을 운영하고 있지만 SO에서 EBS 학습채널 론칭을 기피해 시청자 도달률이 매우 낮고 영어채널의 경우 10%도 론칭되지 않고 있다”면서 “MMS가 허용돼 PP 채널에서 만든 콘텐츠를 재송신하면 시청자복지와 정보격차 해소에 도움될 것”이라고 말했다.#

2015년 2월 11일에 최초의 다채널 방송인 EBS 2TV가 개국하였다.# EBS 화질 떨어지는 소리가 벌써부터 들린다

그러나 EBS2가 개국하고, 12Mbps+6Mbps MMS 다채널 방송 결과, EBS1의 화질이 기존 19Mbps 시절 EBS의 화질과 별반 다를 게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EBS의 방송기술의 워낙 뛰어나서 그렇다.[8][9] 실제로 Bitrate Viewer를 이용해서 원본의 I프레임과 B프레임의 크기를 비교해보면 다른 지상파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압축비가 좋은데, 압축비가 좋다는건 Motion estimation 작업을 좀더 충실하게 수행해 줬다는 뜻이고 비트레이트의 배분이 잘 되고 있다는 뜻이다. 비트레이트 배분이 잘 되지 않으면 소위 말하는 깍두기가 생기게 된다. 한정된 비트레이트를 앞부분에서 한꺼번에 다 써버리게되면 뒷부분은 비트레이트가 압도적으로 부족하게되고 그래서 DCT변환후에 q값을 엄청 높게 잡아서 대부분의 주파수를 처내려버릴수 밖에 없고 8x8블록이 1x1블록처럼 보이게된다. KBS, MBC, SBS가 시청자들을 길들이기 위해 일부러 비트레이트를 뻥튀기 했다는 주장이 있는데 얘네들은 그냥 방송화질에 대한 개념이 없어서 제대로 장비투자나 장비설정[10]을 하지 않기때문에 후진 화질을 내보내는 것일뿐 일부러 비트레이트를 낮춰서 송출하는게 아니다.그게 더 문제아냐? 차라리 제대로 낮춰으면 항의라도 하지 방송국 직원들도 잘 몰랐으면....

방송통신위원회는 2016년 1월 28일 오전 과천정부청사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EBS MMS 도입방안’을 마련했다. 기존에 없던 개념이기 때문에 정의되지 않았던 MMS 채널의 법적지위는 ‘지상파 부가채널’이 됐으며 재승인 심사는 EBS1과 함께 받는다.#

4 Magnetospheric Multiscale

NASA의 지구 자기장 재접속 연구를 위한 네쌍둥이 편대 위성으로, MMS 미션이라는 약자로 불린다. 궤도상에서 10km 정도의 거리를 유지한채 4대의 인공위성이 편대비행[11]을 한다는 점이 놀랍지 않을 수 없다. 관제센터는 허블 우주 망원경 등의 여러 지구 궤도상 망원경들처럼 NASA 고다드이며, NASA의 여러 미션 중 일반인들에게는 도저히 감이 안 잡히는(...) 개요 덕에 잘 안 알려진 미션이기도 하다. 내용부터가 천체물리학 중에서도 항성천문학, 그리고 태양물리학, 태양권물리학, 전자기학, 핵물리학(...), 플라즈마 물리학(......)에 관련된 내용이라 최소한 일반물리 정도는 알아야 그걸로 되겠어? 감을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어지간한 물포자는 주노(탐사선)이나 카시니-하위헌스 같은 다른 JPL 미션들과 달리 별 보는거 좋아한다는 이유만으로 덕질에 나서기가 부담스럽다.

발사 당일 방송

브리핑 : 여타 행성간 탐사선이나 ISS 보급 미션과 달리 물포자들을 위한 물리학 교습이 벌어진다(...) 맥스웰 개ㅅ...

물포자 위키러너, 나, 그리고 우리라면, 노잉 같은 영화를 알아보면서 접해본 지구 자기장 그림을 떠올리면 그나마(...) 이해하기 편할 것이다. 우리 지구를 포함한 태양계의 모든 행성들은 태양이라는 별의 최외각 대기권을 돌고 있다는 설명이 인상적. 기본적으로는 원래 에너지 전달이란 두 입자간 충돌이나 전자기파(빛)의 형태로 이뤄진다는게 기존의 상식이었으나, 태양풍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태양과 지구의 자기장이 충돌할 때도 태양풍 에너지에 의한 전달이 벌어진다는 또다른 이론을 검증하려는 미션이다. 그런데 사실 이 간단한 설명조차도 선뜻 이해하기가 어렵다(...)

2015년 3월 아틀라스 V 로켓으로 발사되었으며, 근일점 고도 7550km, 원일점 70,080km 내지 152,900km라는 막돼먹은 아름다운 타원형 궤도를 돌며 미션 1년만에 지구 자기장 재결합을 관측하는데 성공하는등 순항하고 있다. YTN 기사. 이런 현상은 자기장의 충돌에 의한 것이므로 꼭 우주에서만 벌어지는 일은 아니기 때문에 MMS의 성과는 지구상에의 핵융합로 개발을 비롯해 여러 분야에 있어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2016년 도쿄의 위성 관측가가 찍은 사진인데, 네쌍둥이 편대위성이라는 보기드문 미션이다보니 잘 찍으면 위와 같은 간지폭풍을 뿜어낸다. NASA 홈페이지에서 소개할 정도.
  1. (Freeview) 이름만 같을 뿐 전혀 다른 서비스다.
  2. (Freeview)
  3. (Freeview)
  4. 기존 1080i 해상도가 720p로 떨어졌다.
  5. 그 이유는 기존의 디지털TV가 MPEG 2 코덱만 지원하기 때문이다.
  6. 참고로, MBC ESPN은 현재의 MBC 스포츠플러스이다. 또한, KTV2014년에 한국정책방송이 국민방송으로 바뀌면서 로고도 함께 바뀐 상태이다. 단, 한국정책방송원이라는 단체명은 바뀌지 않았다. KBS N 스포츠도 같은 해에 로고가 바뀐 상태. KBS 프라임은 2015년 3월에 KBS N 라이프로 이름을 바꾸었다.
  7. 서울과 비수도권 지역 한정이며, 인천경기 지역OBS도 송출하므로 21개까지 수신 가능. 만일, OBS까지 다채널 방송을 실시한다면 해당 지역에서는 최대 24개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8. 일본 지상파도 12Mbps 1440x1080i 방송을 하고 있는데 19Mbps 1920x1080i인 한국의 공중파와 비교해서 화질이 엄청 좋다. EBS의 수준은 일본 지상파 수준이다.
  9. 기술도 기술이지만 방송 원본 화질을 최대한 훼손시키지 않고 압축해서 송출할려면 많은 시간이 필요한데 지상파 3사는 아시다시피.... 하지만 EBS는 시간이 넉넉한 편이라 신경을 많이 쓰는편
  10. 디지탈방송 10년차가 넘은 최근까지도 custom matrix 설정을 제대로 하지 않아서 그냥 평범한 화면에서도 깍두기가 튀어나오는 등 방송 송출 관리감독이 엉망이였다.
  11. 앞서 시작한 THEMIS 미션의 경우 다섯대를 써먹었지만 각각 다른 궤도로 돌렸다는 점에서 MMS에 비할 바는 아니다. 물론 ARTEMIS 미션을 떼어내면서 진행한 무지막지한 비행을 보면 꼭 그렇지만도 않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