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수별 한자 | |||||||||||||||||||||
초급 | 중급 | ||||||||||||||||||||
8급 | 7급II | 7급 | 6급II | 6급 | 5급II | 5급 | 4급II | 4급 | 3급II | 3급 | |||||||||||
고급 | 특급 | ||||||||||||||||||||
2급 | 1급 | 특급II | 특급 | ||||||||||||||||||
부록 | |||||||||||||||||||||
약자 | 전의어 | ||||||||||||||||||||
상대자 | 유의자 | ||||||||||||||||||||
상대어 | 유의어 | ||||||||||||||||||||
8급~5급 | 준4급~3급 | 2급~특급 | |||||||||||||||||||
팁 |
1 개요
한국어문회 배정 한자를 기준으로 2급에 추가되는 한자 목록이다.
쓰기한자는 3급까지이다.
- 2급 한자 중에는 인명/지명에 쓰이는 한자들이 대거 포함된 것이 특징으로[1], 그래서 2급인데도 1급 한자보다 실생활에서 더 덜 쓰이는 한자가 나오기도 한다.
- 인명/지명용 한자 중 2급에 없는 것은 준특급에 배정되어있다.
- 독음 뒤에 ':'이 붙으면 무조건 장음, '-'이 붙으면 장단음[2]이다. 1급 이상의 한자가 포함된 경우 볼드처리, 굳이 외울필요가 없는 경우 취소선 처리 하였다.
2 목록
분홍색 칸은 인명/지명용으로 수록된 한자. 근데 인명에 안 쓰이는데도 이쪽으로 분류되었거나, 인명용으로만 쓰이는데도 이쪽으로 분류되지 않은 것도 있다.
2.1 ㄱ
迦 부처이름 가 | 柯 가지 가 | 賈 성(姓) 가,장사 고 | 軻 수레 가 | 伽 절 가 |
珏 쌍옥 각 | 杆 몽둥이 간 | 艮 괘이름 간 | 鞨 오랑캐이름 갈[3] | 葛 칡 갈 |
憾 섭섭할 감: | 邯 땅이름 감, 조나라서울 한 | 岬 곶 갑 | 鉀 갑옷 갑 | 疆 지경 강 |
彊 굳셀 강 | 岡 산등성이 강 | 崗 산등성이 강 | 姜 성씨 강 | 塏 높은 땅 개: |
价 클 개: | 坑 구덩이 갱 | 鍵 열쇠/자물쇠 건: | 桀 홰/하왕이름 걸 | 杰 뛰어날 걸[4] |
揭 높이 들 게: | 憩 쉴 게: | 甄 질그릇 견 | 瓊 구슬 경 | 璟 옥빛 경: |
炅 빛날 경[5] | 儆 경계할 경: | 雇 품팔 고 | 皐 못/언덕 고 | 串 땅이름 곶, 꿸 관 |
戈 창 과 | 瓜 오이 과 | 菓 과자 과 | 款 항목/정성 관: | 琯 옥피리 관 |
槐 회화나무 괴 | 傀 허수아비 괴: | 僑 더부살이 교 | 膠 아교 교 | 絞 목맬 교 |
邱 땅이름 구 | 購 살 구 | 鷗 갈매기 구 | 玖 옥돌 구 | 歐 유럽/칠 구 |
鞠 공/국문할 국 | 窟 굴 굴[6] | 掘 팔 굴 | 圈 우리 권[7] | 闕 대궐 궐 |
閨 안방 규 | 珪 홀 규[8] | 揆 헤아릴 규 | 圭 서옥/홀 규[9] | 奎 별 규 |
瑾 아름다운 옥 근: | 槿 무궁화 근: | 兢 떨릴 긍: | 驥 천리마 기 | 麒 기린 기 |
箕 키 기 | 耆 늙을 기 | 琪 아름다운 옥 기 | 璣 별이름 기 | 騏 준마 기 |
岐 갈림길 기 | 琦 옥이름 기 | 淇 물이름 기 | 沂 물이름 기 | 棋 바둑 기 |
冀 바랄 기[10] |
ㄱ :
일반 : 23字 인명용 : 53字
2.2 ㄴ
濃 짙을 농: | 尿 오줌 뇨 | 尼 여승 니 | 溺 빠질 닉 |
ㄴ :
일반 : 4字 인명용 : 0字
2.3 ㄷ
鍛 쇠불릴 단 | 湍 여울 단[11] | 潭 못 담 | 膽 쓸개 담: | 塘 못 당 |
戴 일 대:[12] | 垈 터 대 | 悳 덕 덕 | 燾 비칠 도 | 悼 슬퍼할 도 |
頓 조아릴 돈: | 燉 불빛 돈 | 惇 도타울 돈 | 乭 사람이름 돌[13] | 董 바를 동: |
棟 마룻대 동 | 桐 오동나무 동 | 杜 막을 두 | 鄧 나라 이름 등 | 謄 베낄 등 |
藤 등나무 등 |
ㄷ :
일반 : 10字 인명용 : 11字
2.4 ㄹ
裸 벗을 라: | 洛 물이름 락 | 爛 빛날 란: | 藍 쪽 람 | 拉 끌 랍 |
萊 명아주 래 | 輛 수레 량 | 樑 들보 량 | 亮 밝을 량 | 驪 검은말 려/리 |
廬 농막집 려[14] | 呂 성씨/음률 려 | 礪 숫돌 려 | 煉 달일 련 | 漣 잔물결 련 |
濂 물이름 렴 | 玲 옥소리 령 | 醴 단술 례 | 魯 노나라 로 | 鷺 해오라기 로 |
盧 성씨 로 | 蘆 갈대 로 | 籠 대바구니 롱[15] | 療 병 고칠 료 | 遼 멀 료 |
劉 죽일 류 | 硫 유황 류 | 謬 그릇될 류 | 崙 산이름 륜 | 楞 네모질 릉 |
麟 기린 린 |
ㄹ :
일반 : 11字 인명용 : 20字
2.5 ㅁ
摩 문지를 마 | 魔 마귀 마 | 痲 저릴 마[16] | 膜 꺼풀 막 | 蠻 오랑캐 만 |
灣 물굽이 만 | 娩 낳을 만: | 靺 오랑캐이름/버선 말 | 網 그물 망 | 魅 매혹할 매 |
枚 낱 매 | 貊 맥나라 맥 | 覓 찾을 멱 | 沔 물이름 면 | 俛 힘쓸 면: |
冕 면류관 면[17] | 蔑 업신여길 멸 | 謨 꾀 모 | 矛 창 모 | 茅 띠 모 |
帽 모자 모 | 牟 소 우는 소리/성씨 모 | 穆 화목할 목 | 沐 씻을 목 | 昴 별이름 묘: |
汶 물이름 문 | 紊 어지러울 문 | 彌 미륵 미 | 閔 성씨 민 | 珉 옥돌 민 |
玟 아름다운 돌 민 | 旻 하늘 민 | 旼 화할 민 |
ㅁ :
일반 : 15字 인명용 : 18字
2.6 ㅂ
舶 배 박 | 磻 반계[潘溪] 반/번[18] | 潘 성씨/뜨물 반 | 搬 옮길 반 | 鉢 바리때 발[19] |
渤 바다이름 발 | 紡 길쌈 방[20] | 龐 높은집 방 | 旁 곁 방: | 賠 물어줄 배: |
裵 성씨/옷 치렁치렁할 배 | 俳 배우 배 | 柏 측백나무 백 | 閥 문벌 벌 | 筏 뗏목 벌 |
汎 넘칠 범: | 范 성씨 범 | 僻 궁벽할 벽[21] | 卞 성씨 변: | 弁 고깔 변: |
秉 잡을 병: | 柄 자루 병: | 「 昞 밝을/불꽃 병 | 昺 밝을/불꽃 병 | 炳 밝을/불꽃 병: 」[22] |
倂 아우를 병: | 甫 클 보: | 輔 도울 보: | 潽 물이름 보 | 馥 향기 복 |
縫 꿰맬 봉 | 俸 녹 봉:[23] | 蓬 쑥 봉 | 膚 살갗 부 | 敷 펼 부 |
釜 가마 부[24] | 阜 언덕 부 | 傅 스승 부: | 芬 향기 분 | 弗 아닐 불 |
鵬 붕새 붕 | 泌 분비할 비/스며흐를 필 | 匪 비적/나눌 비:[25] | 毘 도울 비 | 毖 삼갈 비 |
丕 클 비[26] | 彬 빛날 빈 |
ㅂ :
일반 : 16字 인명용 : 31字
2.7 ㅅ
飼 기를 사 | 泗 물이름 사: | 唆 부추길 사 | 赦 용서할 사: | 酸 실 산[27] |
傘 우산 산 | 蔘 삼 삼 | 揷 꽂을 삽 | 箱 상자 상 | 庠 학교 상 |
瑞 상서 서: | 舒 펼 서: | 錫 주석 석 | 碩 클 석 | 晳 밝을 석 |
奭 클 석 | 瑄 도리옥 선 | 繕 기울 선: | 璇 옥 선 | 璿 구슬 선 |
薛 성씨 설 | 卨 사람이름 설[28] | 纖 가늘 섬 | 蟾 두꺼비 섬 | 陝 땅이름 섬 |
暹 햇살 치밀 섬 | 燮 불꽃 섭 | 晟 밝을 성 | 貰 세낼 세: | 邵 땅이름 소 |
沼 못 소 | 紹 이을 소 | 巢 새집 소 | 宋 성씨/송나라 송: | 隋 수나라 수 |
銖 저울눈 수 | 洙 물가 수 | 舜 순임금 순 | 盾 방패 순 | 荀 풀이름 순 |
淳 순박할 순 | 洵 참으로 순 | 珣 옥이름 순 | 瑟 큰 거문고 슬 | 繩 노끈 승 |
升 되/오를 승 | 柴 섶 시: | 屍 주검 시: | 軾 수레 앞턱 가로 댄 나무 식 | 湜 물 맑을 식 |
殖 번성할 식 | 腎 콩팥 신: | 紳 큰띠 신: | 瀋 즙 심: |
ㅅ :
일반 : 20字 인명용 : 34字
2.8 ㅇ
握 쥘 악 | 閼 가로막을 알 | 癌 암 암: | 鴨 오리 압 | 礙 거리낄 애: |
艾 쑥 애 | 埃 티끌 애 | 惹 이끌 야: | 倻 가야 야 | 襄 도울 양-[29] |
孃 아가씨 양 | 彦 선비 언: | 衍 넘칠 연: | 硯 벼루 연: | 淵 못 연 |
姸 고울 연: | 厭 싫어할 염: | 閻 마을 염 | 燁 빛날 엽 | 暎 비칠 영: |
瑩 옥돌/밝을 영, 의혹할 형 | 盈 찰 영 | 瑛 옥빛 영 | 預 맡길/미리 예:[30] | 芮 성씨 예 |
睿 슬기 예: | 濊 종족이름 예: | 吳 나라이름/성씨 오 | 梧 오동나무 오 | 墺 물가 오/욱 |
鈺 보배 옥 | 沃 기름질 옥 | 穩 평온할 온 | 邕 막힐 옹 | 雍 화할 옹 |
甕 독 옹: | 莞 빙그레할 완[31] | 汪 넓을 왕-[32] | 旺 왕성할 왕: | 歪 비뚤어질 왜 |
倭 왜나라 왜 | 堯 요임금 요 | 妖 요사할 요 | 耀 빛날 요 | 姚 예쁠 요 |
溶 녹을 용 | 鎔 쇠녹일 용 | 瑢 패옥소리 용[33] | 鏞 쇠북 용 | 熔 쇠녹일 용 |
傭 품팔 용 | 禹 성씨 우[34] | 佑 도울 우: | 祐 복 우 | 頊 삼갈 욱 |
郁 성할 욱[35] | 旭 아침해 욱 | 昱 빛날 욱 | 煜 빛날 욱 | 芸 평지 운[36] |
蔚 고을이름 울 | 鬱 답답할 울[37] | 熊 곰 웅 | 苑 나라동산 원: | 袁 성씨 원 |
瑗 구슬 원 | 媛 여자 원 | 渭 물이름 위 | 尉 벼슬 위 | 魏 나라이름 위 |
韋 가죽 위 | 兪 대답할 유 | 庾 곳집 유 | 楡 느릅나무 유 | 踰 넘을 유 |
尹 성씨 윤 | 允 맏 윤: | 胤 자손 윤 | 鈗 병기 윤 | 融 녹을 융 |
誾 온화할 은 | 殷 성할/은나라 은 | 垠 지경 은 | 鷹 매 응-[38] | 怡 기쁠 이 |
伊 저 이 | 貳 두 이:[39] | 珥 귀고리 이 | 翊 도울 익 | 刃 칼날 인: |
鎰 무게이름 일 | 壹 한 일[40] | 佾 춤 일 | 妊 아이밸 임: |
ㅇ :
일반 : 22字 인명용 : 72字
2.9 ㅈ
滋 불을 자 | 磁 자석 자 | 雌 암컷 자 | 諮 물을 자: | 蠶 누에 잠 |
璋 홀 장 | 蔣 성씨 장 | 獐 노루 장 | 庄 농막/씩씩할 장 | 沮 막을 저: |
甸 경기 전 | 鼎 솥 정 | 汀 물가 정 | 楨 광나무 정 | 珽 옥이름 정 |
晶 맑을 정 | 偵 염탐할 정 | 呈 드릴 정 | 鄭 나라이름 정: | 旌 기 정[41] |
艇 배 정 | 禎 상서 정 | 劑 약제 제 | 趙 나라 조 | 釣 낚시 조: |
措 둘 조 | 曺 성씨 조 | 祚 복 조 | 彫 새길 조 | 綜 모을 종 |
琮 옥홀 종 | 駐 머무를 주: | 疇 이랑 주 | 駿 준마 준: | 濬 깊을 준: |
埈 높을 준[42] | 浚 깊게할 준: | 晙 밝을 준 | 准 준할 준:[43] | 峻 높을 준: |
脂 기름 지 | 旨 뜻 지 | 芝 지초 지 | 址 터 지 | 稷 피 직 |
稙 올벼 직[44] | 津 나루/진액 진 | 秦 성씨/나라이름 진 | 晋 나아갈/진나라 진:[45] | 診 진찰할 진 |
塵 티끌 진 | 窒 막힐 질 | 輯 모을 집 |
ㅈ :
일반 : 22字 인명용 : 31字
2.10 ㅊ
遮 가릴 차-[46] | 餐 밥 찬 | 燦 빛날 찬: | 璨 옥빛 찬 | 鑽 뚫을 찬 |
瓚 옥잔 찬 | 札 편지/뽑을 찰 | 刹 절 찰 | 斬 벨 참 | 昶 해 길 창 |
滄 큰바다 창 | 彰 밝을 창 | 敞 시원할 창 | 采 풍채 채: | 蔡 성씨 채 |
埰 사패지 채[47] | 悽 슬퍼할 처: | 隻 외짝 척 | 陟 오를 척 | 釧 팔찌 천 |
澈 맑을 철 | 撤 거둘 철 | 喆 밝을 철 | 瞻 볼 첨 | 諜 염탐할 첩 |
締 맺을 체 | 焦 그을릴 초 | 楚 초나라/회초리 초 | 哨 망볼 초 | 蜀 나라이름 촉 |
崔 성씨/높을 최 | 趨 달아날 추 | 楸 가래나무 추 | 鄒 나라이름 추 | 軸 굴대 축 |
蹴 찰 축 | 椿 참죽나무 춘 | 沖 화할/빌 충 | 衷 속마음 충 | 聚 모을 취: |
炊 불땔 취: | 峙 언덕 치 | 雉 꿩 치 |
ㅊ :
일반 : 19字 인명용 : 24字
2.11 ㅌ
託 부탁할 탁 | 琢 다듬을 탁 | 灘 여울 탄 | 耽 즐길 탐 | 胎 아이밸 태 |
兌 바꿀 태 | 台 별 태[48] | 颱 태풍 태 |
ㅌ :
일반 : 4字 인명용 : 4字
2.12 ㅍ
坡 언덕 파 | 阪 언덕 판 | 霸 으뜸 패:[49] | 彭 성씨 팽 | 扁 작을 편 |
坪 들 평 | 鋪 펼/가게 포 | 鮑 절인 물고기 포 | 葡 포도 포 | 抛 던질 포: |
怖 두려워할 포 | 杓 북두자루 표[50] | 馮 성씨 풍 | 弼 도울 필 |
ㅍ :
일반 : 5字 인명용 : 9字
2.13 ㅎ
虐 모질 학 | 翰 편지 한: | 艦 싸움배 함: | 陜 땅이름 합[51] | 沆 넓을 항 |
亢 높을 항 | 杏 살구나무 행: | 赫 빛날 혁 | 爀 불빛 혁[52] | 鉉 솥귀 현[53] |
弦 시위 현 | 炫 빛날 현 | 峴 고개 현 | 峽 골짜기 협 | 馨 꽃다울 형 |
邢 성씨 형 | 炯 빛날 형 | 瀅 물맑을 형 | 型 모형 형[54][55] | 鎬 호경 호[56] |
皓 흴 호 | 澔 넓을 호 | 濠 해자/호주 호[57][58] | 壕 해자 호 | 昊 하늘 호[59] |
祜 복 호 | 晧 밝을 호 | 扈 따를/파랑새 호: | 酷 심할 혹 | 泓 물깊을 홍 |
靴 신발 화 | 樺 벚나무/자작나무 화 | 嬅 탐스러울 화 | 煥 불꽃/빛날 환 | 幻 헛보일 환: |
桓 굳셀 환 | 滑 미끄러울 활, 익살스러울 골 | 晃 밝을 황[60] | 滉 깊을 황 | 淮 물이름 회 |
檜 전나무 회: | 廻 돌 회[61] | 喉 목구멍 후 | 后 뒤/임금 후: | 勳 공적 훈 |
壎 질나발 훈 | 熏 불길 훈 | 薰 향풀 훈 | 徽 아름다울/표기 휘[62] | 烋 아름다울 휴 |
匈 오랑캐/가슴 흉 | 欽 공경할 흠 | 羲 복희 희 | 熙 빛날 희 | 熹 빛날 희[63] |
禧 복 희 | 憙 기뻐할 희[64] | 姬 아가씨 희 | 嬉 아름다울 희 | 噫 한숨쉴 희, 트림할 애 |
ㅎ :
일반 : 17字 인명용 : 43字
3 총합
538자ㅇ에서 엄청나게 많았다 -
- ↑ 이들 한자는 한국어문회 공인 준특급 교재에 급수가 2급을 뜻하는 '20'이 아닌 '12'로 표시되어 있다.
준1급? - ↑ 어떤 경우에서는 장음 어떤 경우에선 단음이다.
- ↑ 말갈족의 그 갈이다.
- ↑ 傑의 약자다.
- ↑ 耿과 같이 쓰일 수 있다.
- ↑ '동굴'할 때 그 굴이다.
- ↑ 돼지우리의 그 우리다.
- ↑ 여기서 홀의 뜻은 여기를 참고하자.
- ↑ 옥으로 된 홀을 뜻한다.
- ↑ 祈와 같이 쓸 수 있다.
- ↑ 여울은 물살이 센 곳을 말한다.
- ↑ 무엇을 머리에 '이다' 할 때 '이다'란 뜻이다.
- ↑ 대한민국에서만 쓰는 한자.
- ↑ 농막집은 '농사짓는 데 편리하도록 논밭 근처에 간단하게 지은 집'이다.
- ↑ 농구의 그 롱이다. 때문에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는 북한에선 롱구라고 한다.
- ↑ 麻와 헷갈리지 말자.
- ↑ 동아시아에서 임금이 쓰던 왕관의 일종이다. 자세한 내용은 면류관 참고.
- ↑ 반계는 강태공이 낚시를 한 곳이다.
- ↑ 바리때는 스님이 쓰는 밥그릇이다.
- ↑ 주로 가정에서 삼 ·누에 ·모시 ·목화 등의 섬유 원료로 베 ·명주 ·모시 ·무명 등의 피륙을 짜내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말한다.
- ↑ 후미지고 으슥하다는 뜻이다.
- ↑ 이 세 글자 다 서로 같이 쓰일 수 있다.
- ↑ 녹(祿)은 관리가 받는 급여를 말한다. 녹슬다의 녹과는 무관하니 착각하지 말것.
- ↑ '가마솥' 할 때 그 가마다. 참고로 釜는 일본어 훈독도 가마(かま)인데, 이 때문에 일본어 かま가 한국어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냐는 떡밥이 있다(...).
그리고 부산광역시가 저절로 떠오르는 글자다 - ↑ 비적은 떼지어 다니는 도적을 말한다.
- ↑ 한글 '조'처럼 생겼기 때문에 인터넷에서 '丕刀卜乙卜'
비도복을복같이 거짓짝을 이용한 장난에 활용된다. 네이버 웹툰 오성X한음에서도 해당 소재가 사용되었다. - ↑ string이 아니라 맛이 시다는 것이다.
- ↑ 원래 벌레를 본뜬 글자다. 여담으로 한국어문회 지침서에 따르면 이 글자를 모르는 사람이 이 글자가 탱크 같이 생겼다해서 웃음을 산 일이 있다고한다.
- ↑ 성씨, 人名, 풀이름은 단음이고 나머지는 장음이다.
- ↑ 豫와 통용된다.
- ↑ '왕골 관'으로도 쓰인다.
- ↑ 성씨의 의미 빼고 다 장음이다.
- ↑ 패옥은 왕이나 왕비의 예복에 다는 옥을 말한다.
- ↑ 성씨의 의미만 장음이다.
- ↑ 鬱의 간자체이기도 하다.
- ↑ '평지'는 平地가 아니라 어떤 풀 이름을 뜻한다. 藝의 약자로 쓰이기도 한다.
- ↑ 총 29획으로 2급 내에서 가장 획수가 많다.
- ↑ 地名의 의미만 장음이다.
- ↑ 二의 갖은자
- ↑ 一의 갖은자
- ↑ 기(旗)는 깃발을 말한다.
- ↑ 峻과 같이 쓰일 수 있다
- ↑ 準의 간화자로도 쓰인다.
- ↑ 일찍 익는 벼를 말한다.
- ↑ 보통 晉으로 쓰인다.
- ↑ 遮戒, 遮光, 遮斷, 遮當, 遮道, 遮燈, 遮路, 遮面, 遮壁, 遮水, 遮惡, 遮障, 遮情, 遮罪, 遮止, 遮蔽, 遮遏, 遮詮만 장음이다.
- ↑ 사패지는 임금이 하사한 논밭을 말한다.
- ↑ 臺, 颱의 약자이기도 하다. 단 臺의 약자로 쓸 경우에는 '대'로 읽어야 한다. 대만(臺灣)을 台灣으로 썼다고 하여 '태만'이라 읽지 않듯이.
- ↑ 실생활에서는 覇로 더 많이 쓰나, 어문회에서 覇로 쓰면 틀린다.
- ↑ 북두칠성의 자루 부분을 말한다.
- ↑ 陝과 헷갈리지 않게 주의하자.
- ↑ 赫과 같이 쓰일 수 있다.
- ↑ 솥의 손잡이
- ↑ 대부분의 사람들이 形과 헷갈리므로 주의하자. 근데 주의하고 싶어도 용례상 둘의 차이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그냥 외우는 수밖에 없다. 모형(模型), 유형(類型), 정형(定型), 주형(鑄型), 대형(大型), 중형(中型), 소형(小型), 신형(新型), 구형(舊型), 자유형(自由型)은 확실히 型이다. 形은 '겉모습', 型은 '틀'을 의미한다고 생각하면 될려나?
- ↑ 용법에 따라 形, 型 둘 다 쓰는 경우도 있다. '서술형'의 경우는 '평서형'(平敍形)과 같은 뜻일 때는 形을 쓰고, '서술형 문항'과 같은 용례에서는 '단답형'(單答型), '선다형'(選多型)과 짝을 이뤄야 하므로 型을 쓴다. '형식'은 '자동차, 기구 따위의 구조나 외형의 특징을 이루는 형태'라는 뜻의 型式도 있으나 자주 쓰이지 않고, 흔히 쓰이는 그 형식은 形式이다.
- ↑ 주(周)나라의 수도
- ↑ 오스트레일리아의 그 호주 맞다. 이상하게도 지명용 한자로 분류되지 않았는데 해자라는 다른 뜻 때문인걸로 보인다.
- ↑ 해자는 성 밖을 둘러싼 못(淵)을 말한다.
- ↑ 旻이랑 닮았으니 주의하자.
- ↑ 晄과 서로 같이 쓰일 수 있다
- ↑ 回와 통용되기도 하는데, 回가 제자리에서 빙빙 돌거나 어딘가를 갔다가 돌아온다는 정도의 의미라면 廻는 무언가를 피해 돌아서 간다는 정도의 의미다.
- ↑ 표기(標旗)는 목표로 세우는 깃발을 말한다. 쉽게 말해 산의 정상에서 꽂는 깃발 같은걸 생각하면 된다.
- ↑ 熺와 같이 쓰일 수 있다.
- ↑ 喜와 같이 쓰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