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글 자모의 여덟 번째
현대 한글 기본 자모 | |
자음 |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ㅅ · ㅇ · ㅈ · ㅊ · ㅋ · ㅌ · ㅍ · ㅎ |
모음 | ㅏ · ㅑ · ㅓ · ㅕ · ㅗ · ㅛ · ㅜ · ㅠ · ㅡ · ㅣ |
현대 한글 겹자모 | |
자음 | ㄲ · ㄳ · ㄵ · ㄶ · ㄸ · ㄺ · ㄻ · ㄼ · ㄽ · ㄾ · ㄿ · ㅀ · ㅃ · ㅄ · ㅆ · ㅉ |
모음 | ㅐ · ㅒ · ㅔ · ㅖ · ㅘ · ㅙ · ㅚ · ㅝ · ㅞ · ㅟ · ㅢ |
오늘날 쓰이는 자음 명칭은 훈몽자회에서 유래했는데, '이응'이라는 명칭은 본래 '옛이응'이라 불리는 ㆁ(/ŋ/)이 초성과 종성에 왔을 때의 예시였다. 정확히는 'ᅌᅵ으ᇰ'(異凝, [ŋi.ɯŋ]). 음가가 없을 때 쓰이는 ㅇ(/∅/)은 초성에만 왔기 때문에 그냥 '이'(伊, [i]). 나중에 옛이응이 소멸하면서 ㅇ이 초성에 올 때는 무음으로, 종성에 올 때는 연구개 비음으로 발음되게끔 변하면서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할 때 옛이응에 쓰이던 'ᅌᅵ으ᇰ'을 ㅇ으로 옮겨 '이응'이라는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
일부의 단어에서는 성문 파열음([ʔ])을 내기도 하는데, 1, E, O 등이 있다.[1]
현행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보면 ㅇ을 ng로 표기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초성의 ㅇ도 ng로 적는 것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여럿 있다(안 ngan, 양 ngyang, 연 ngyeon, 열 ngyeol & 이 ngi, 원 ngwon, 유 ngyu, 유 ngyu & 이 ngi, 윤 ngyun, 이 ngi, 이 ngi, 임 ngim, 임 ngim). 베트남어? 물론 로마자 표기법의 ㅇ = ng는 종성[2] ㅇ을 말하며[3], 초성[4] ㅇ은 음가가 없으므로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여담으로 한국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자모이다.
2 동의를 나타내는 초성체
본래는 '응'에서 모음을 뺀 것으로 보이는 ㅇㅇ이 한 글자로 줄어든 것. SMS를 보냈는데 답문으로 이것만 찍 오면 참 아햏햏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한편 귀여워 보이기 위해서인지, 'ㅇㅇ'만 치면 성의가 없어 보일까봐 그러는 건지, 이 의미로 아예 풀네임(?)인 '이응'을 치는 괴상한 통신체도 존재한다.
일부 집단에선 허탈한 기분이 들 때, 헛소리를 했을 때, 어이가 없을 때 'ㅇ' 하나만 치기도 한다. 특히 라테일 유저들 사이에서 ㅇ을 이렇게 이용하는 사례가 잦다. 사실 제대로 쓰는 사람은 말끝마다 ㅇ을 붙인다
ex: 1. A: 나는 캔커피다: B: ㅇ..
2. A: 시발 ㅇ
3. A: 방금 템 터졌다 ㅇ B: ㅇ ㅊ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