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광주 버스 1550-3

수지 - 서울 광역급행·직행좌석버스
서울 도심행55005500-2
M4101M5115[1]
잠실역 삼성역6900
건대입구역1002
강남1251[2]1550
15708201
[1] 상현역 출발
[2] 기점은 기흥구지만, 죽전역 및 동천역을 경유
용인시 진입 관외 버스 목록으로

900px
옆에 있는 차세대 트럭은 신경쓰지 말자. 위 차량은 속도등으로 보아 1997~9년식으로 보인다.

1 노선 정보

광주시 직행좌석버스 1550-3A번
기점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하동(광교차고지)종점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양2동(인덕원역)
종점행첫차06:40기점행첫차편도운행
막차07:50막차
평일배차일 3회주말배차운행안함
운수사명대원고속인가대수0대(모두 전세버스)
노선광교차고지 - 상현지구 - 수지지역난방공사 - 수지구청역 - 수지중학교 - 머내 - 궁내동 - 낙생고교 - 운중동 - 청계 - 인덕원역

2 개요

대원고속에서 운행했던 직행좌석버스 노선. 현재는 전세버스로만 운행한다.

3 역사

상현지구가 개발되면서, 2000년대 초반에 신설되었다. 당시에는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를 경유해 사당역으로 갔다.

2004년 경에 판교와 청계를 경유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수요가 부족해 2016년 8월 13일에 폐선,[1] 대신 기존 승객들을 위하여 2016년 8월 16일부터 출근형 전세버스를 평일에만 3번(광교차고지에서 06:40, 07:20, 07:50) 인덕원역까지만 운행한다.

4 특징

강남으로 가는 다른 노선들에 비해선 수요가 떨어지지만 출퇴근시간대 고정수요로 유지됐던 노선이다. 배차간격도 2015년까지는 준수했지만 2016년에 들어서면서 평일기준 40~60분까지 벌어졌다.

고속도로를 경유하지 않고, 판교신도시가 개발되어 운중동에서 제법 시간을 잡아먹어 소요시간은 제법 긴 편이다. 사당역까지 운행할 때는 풍덕천동에서 사당역까지만 1시간을 훌쩍 넘기기도 했다. 때문에 수지에서 사당까지 간다면 지하철을 타는 게 훨씬 빠르다. 판교도 마찬가지로 신분당선이 훨씬 빨랐고, 과천이나 안양은 지하철로 가려면 사당에서 다시 내려와야 하기 때문에 이 노선이 그나마 유리했다. 그런 탓에 현재도 인덕원역까지 가는 전세버스가 3회 운행중이다.

판교와 인덕원을 오가는 노선 중에서 303번과 이 노선만 운중동먹거리촌에 정차한다. 103번이나 1303번 등은 운중초교까지 무정차로 통과한다.

9006번을 형간전환하게 만든 1등공신이기도 하다. 배차간격에서 엄청나게 밀렸기 때문. 그러나 지금은 오히려 서판교에서 103번에게 탈탈 털리고 망했다.

제부여객에서도 똑같은 번호를 쓰는 노선(동탄신도시 - 강남역)을 운행했는데, 이 노선과는 무관하지만 똑같이 운행이 중단되었다.

대체 노선은 '광교차고지 - 판교신도시' 구간이 신분당선이나 1002번, '판교신도시 - 인덕원 - 과천 - 사당' 구간은 103번을 타면 된다. 물론 배차간격이 매우 좋지 않지만 서수지IC에서 7002번을 타거나, 미금역에서 1303번이나 7007-1번을 타도 된다.

5 연계 철도역

  1. 관련 게시물 (디시인사이드)
  2. 노선 이설관계로 현대아이파크10단지 정류장에서 내려 5분 정도 걸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