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버스 7002

수원 - 사당역간 직행좌석버스
7000700170027770778077907800
600px

위 차량은 대차되었다. 그와 동시에 7002번이 터미널에 있는 모습은 동사 3002번과 같이 2015년 7월 11일부터 볼 수 없게 되었다.

600px

1 노선 정보

수원시 직행좌석버스 7002번
기점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곡반정동(수원남부공영차고지)종점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2동(사당역)
종점행첫차05:20기점행첫차06:20
막차21:40막차22:40
평일배차출퇴근 35분/평시 60분주말배차60분
운수사명용남고속인가대수5대
노선수원남부공영차고지 - 수원버스터미널 - 세권사거리 - 권선시장 - 수원시청역 - 청소년문화센터 - 수원월드컵경기장 - 광교테크노밸리 - 광교웰빙타운. LH해모로A - 서수지IC입구 - 서수지IC - 용서고속도로 - 서판교IC - 운중농원 - 원터마을 - 청계동주민센터 - 인덕원역 - 정부과천청사 - 도립과천도서관 - 과천성당 - 관문사거리 - 남태령역 - 사당역

2 개요

용남고속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동탄신도시 입주가 시작되면서 2007년 4월 30일에 신설되었다. 당시 노선은 '동탄 - 영통지구 - 벽적골 - 이후 7000번과 동일'이었다.
  • 하지만 긴 수원시 구간[1]과 긴 배차간격으로 인해 점점 수요는 줄어들었다.[2]
  • 그 결과 점점 인가대수가 줄어드는가 하면 노선도 수원 내 이동구간이 점점 바뀌며 매탄지구를 경유하는 7001번의 보조노선으로 전락. 게다가 오후 7시쯤 동탄에서 막차가 출발했다.
  • 보다 못했는지 수원시내 노선도를 바꾸어 인계동에서 바로 월드컵경기장으로 직행하도록 해버렸다. 수원시청 근방에서 서울로 올라갈 수 있는 유이한 광역버스 노선이 되어버린 것. 그 동안 아주대까지 나가야 했던 사람들에게는 희소식이었지만 배차 간격이 여전히 길었던 것이 문제.
  • 이후 한동안 파행운행을 하다 2011년 1월부로 동탄구간이 잘렸다.[3] 출발지점도 수원터미널로 바뀌었고, 막차는 오후 9시에 출발했다. 이 당시 7002번은 상황이 열악하였는데, 용남고속에서 유일하게 남은 전비형 에어로 스페이스를 2012년까지 굴릴 정도였고, 차량 대부분이 임시차일 정도였다. 실제로도 대부분 차량에는 각종 경유지가 적힌 스티커들을 뗀 흔적들이 창문에 많았는데, 흔적을 통해 다양한 출신 노선들을 유추해보면 5100번과 7000번, 7001번 등이 있었다. 차량관리 역시 타 노선 차량에 비해 허술한 상태였다.
  • 2012년 4월 11일부로 영동고속도로 - 309번 지방도 대신 광교웰빙타운 - 용서고속도로 - 서판교 - 청계지구 - 인덕원 - 과천을 경유해 사당역으로 가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2013년부터는 중간수요가 서서히 생겨나기 시작했다. 특히 '정부과천청사역, 인덕원역 - 서수지IC, 광교웰빙타운' 수요가 제법 늘어나면서 서서히 배차간격도 줄기 시작했다. 그러나 역시 출퇴근시간 외에는 공기수송의 악명이 그대로
  • 2014년 7월 1일부터 신동지구를 경유하여 광교를 거친 뒤 바로 사당역으로 가는 노선으로 변경하려 했으나, 수많은 승객들에게 항의를 먹고 2014년 6월 26일에 변경을 철회하였다. 용남고속 안내문 용남고속 측에선 교통대책과 홍보 부족을 원인으로 제시하였고, 안양시 및 과천시랑 함께 대체노선을 계획하기로 하였다.
  • 2015년 7월 11일부터 동사 3002번과 같이 수원터미널에 들어오지 않고, 터미널 앞 시내버스 정류소로 기점이 변경되었다. 남부차고지의 영향인 듯.
  • 2015년 9월 7일부로 감차되어 1일 13회(주말, 공휴일), 18회 운행(평일)으로 감회되었다. 관련 게시물 신분당선이 개통할 때까지만 한시적으로 운행한다고 입장을 밝힌 것으로 보아 안양시 및 과천시와의 협의는 무산된 듯하다.

4 특징

  • 다른 7000번대 시리즈처럼 사람이 많이 탑승하는 경기대학교나 우만4단지, 아주대 등을 경유하지 않기 때문에 어디서든 앉아서 갈 가능성이 높다. 개이득! 하지만 환상적인 배차간격 덕분에 로또버스라는 이명으로 불리기도. 뭐라고?
  • 시내부인 용남고속(주)에서 관리하는 다른 7000번 시리즈와 달리 이 노선은 시외부인 (주)용남고속버스라인에서 관리한다. 따라서 수원터미널에서 운행을 종료한 다음 오목천동 본사가 아닌 하갈차고지로 공차회송한다.

5 연계 철도역

수원시 버스
굿모닝G5100
간선급행8800
직행좌석200730003002300330074000
510053005300-1700070017002
77707780779078007900
일반좌석300909
일반시내12-12-234-15
5-15-25-477-17-2
99-19-21111-113
13-113-413-515-11616-1
16-2182020-12222-2
2525-125-225-52627
27-13030-13232-132-2
32-332-53434-13536
373942454650-2
50-350-450-550-65152
546162-16363-163-3
64808182-182-283-1
858888-1909292-1
989999-199-2112123
300-1301310400400-4400-5
777900990999999-1
마을122-12-32-53
567212525-2
2727-127-227-327-5
수원시 미경유 노선은 음영 처리
  1. 병점, 수원, 신갈을 경유한다고 동탄 - 강남을 바로 잇는 1550-2번만 타기 운동 등을 펼친 동탄주민들을 생각해보자.
  2. 평일 오후에는 2시간이라는 극악의 배차 간격을 자랑했다.
  3. 공지사항에 '이용수요가 없는 동탄지역과 신영통지역의 노선을 단축'이라고 적혀있었다.
  4. 간접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