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대·부경대역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장산 방면
남 천

0.8 km
경성대·부경대
(212)

0.9 km
양산 방면
대 연

慶星大·釜慶大驛 / Kyungsung Univ.ㆍPukyong Nat'l Univ. Station [1][2]

경성대·부경대역
(동명대학교)

다국어 표기
영어Kyungsung Univ.·
Pukyong Nat'l Univ.
한자慶星大·釜慶大
일본어慶星大学·釜慶大学
중국어庆星大学·釜庆大学
역번
부산 도시철도 2호선212
300px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크게보기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주소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지하 324
(대연동)
부산 도시철도
운영기관 " />?width=100
2호선 개업일2001년 8월 8일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1호선부산진서 면동 래
2호선장 산경성대·부경대냉 정
3호선수 영사 직
  • 승강장 위치 : 지하 3층
  • 승강장 형태 : 2면2선(상대식 승강장)
  • 승강장 횡단여부 : 가능(가운데 계단 이용)

1 개요

500px
안전문 설치 전 승강장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12번.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지하 324(대연동) 소재.

2 역명 논란

경성대학교부경대학교[3]대학역명 붙이기 신공으로 인해 지금의 병맛스런 역명이 되었다. 그로 인해 까이는 정도가 신창(순천향대)(한국폴리텍4대학)역와 비슷하다. 역과 대학교 간 거리 자체의 문제는 둘 다 없으나 워낙 치열한 병림픽의 결과물인지라 까이는 것이다. 경성대든 부경대든, 어디든 둘 중 한 대학 있었더라면 충분히 개념역명에 등재될 만한 거리를 갖고 있다.

500px

부산교통공단 측에서 경성대학교 부지에 지하철이 통과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보상으로 경성대역으로 취급을 할 예정이었다. 그런데 부경대에서 태클을 걸었고 첨예한 갈등 속에서 법정 공방까지 이어졌다. 그 와중에 대연동 주민들은 그러느니 차라리 옛 지명인 '용소역'으로 지정해달라고 요구했는데, 정작 그 옆동네인 문현동용호동에서는 용소? 그 동네 어디있어요?라고 깔 정도로 생소한 지명이었다.[4] 어쨌든 이렇게 갈등이 지속되자 결국 부산교통공단(지금의 부산교통공사) 역명위원회는 토론 끝에 두 대학의 이름을 딴 경성대·부경대역으로 역 이름을 결정하였다. 석계역[5], 천안아산역, 학동·증심사입구역, 평내호평역, 가평(자라섬·남이섬)역, 김천(구미)역, 매탄권선역,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등의 두 지명 역명 중에서도 가장 병맛이 심한 케이스다.그래도 총신대입구보다는 몇천 배는 낫다. 경성대, 부경대는 둘 다 거리라도 가깝지...

파일:Attachment/make 1296307406767.jpg
게다가 부역명마저도 동명대학교한 역에 대학교 이름이 3개가 붙은 초 막장상황이 발생.[6] 아, 이건 아니네.(...) 덕분에 분쟁지역이란 이름으로 이 역의 짤방이 돌아다녔다.[7] 하지만 이 대학교 바로 앞에는 부산 최대 랜드마크 중 하나인 UN기념공원(속칭 UN묘지)이 있다. 대연역이 미묘하게 가깝긴 하지만 동명대학교보다는 아주 미묘하게 이 역과도 가깝다. 한마디로 동명대학교가 비집고 들어갈 만한 자리는 아니라는 것.

여담으로 부산 도시철도 용호선 계획에 따르면 부경대 정문 앞에도 역 하나가 생길 예정으로 다른 중요시설이 마땅히 없는 여기에 역이 생긴다면 위치상 부경대 관련된 역명이 유력한데 부경대역이 따로 있게 된다면 이 역에서는 부경대 이름을 빼야 할 수도 있다. 아니면 총신대입구역처럼 부경대 정문 앞 역이 용소역이 될지도 다만 용호선이 처음 계획된 후 10년이 넘도록 지지부진한 상태라 언제 그렇게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서울에 사는 친구가 올해 안에 생길 수도...
무슨 소리! 내가 더 절친이다!

3 역 정보

3.1 구조

주변에 번화가와 대형 주거지역이 있다는 특성이 고려되어서인지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2호선 내에서 완전밀폐형으로 설치된 몇 안되는 역이다.[8]
나머지 역사 내에 설치된 스크린도어는 반밀폐형이다.

3.2 승강장

남천
대연
부산 도시철도 2호선광안·수영·해운대·장산 방면
부산 도시철도 2호선서면·사상·덕천·양산 방면

4 역 주변 지역

기본적인 수요는 역 이름으로 붙은 두 대학의 등교수요, 역 인근의 대연비치, 대연 푸르지오, 대연 롯데캐슬, 대연 힐스테이트푸르지오등 여러 대단지 아파트주민들의 수요와, 역 인근에 위치한 도시철도 비수혜 지역이며 대단지 아파트들이 밀집한 지역인 용호동의 주민들도 주로 이 역을 이용한다. 용호동으로 가는 시내버스 연계도 잘 되어있기에[9] 용호동쪽 도시철도 수요까지 이 역이 붙잡고 있다. 거기에 주변동네는 대학로다 보니 상당한 번화가가 조성되어 있다.[10] 한마디로 수요가 없을래야 없을 수 없는 동네. 다만 최대 수요가 대학 2곳의 등교수요다 보니 개학 때와 방학 때의 차이가 엄청난 편. 개학 때는 승하차 합계로 4만 정도로, 사상역(서부터미널), 센텀시티역 등 2호선 최상위권 역들에게 명함 들이밀 수준은 되는데, 방학 때는 3만 바로 밑으로 떨어진다... 물론, 등교수요가 빠진 숫자도 충분히 많은 수치기는 하다.

5 일평균 승차량[11]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002년2003년2004년2005년
14,177명14,330명14,832명14,314명
2006년2007년2008년2009년
13,699명13,060명15,049명15,899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
16,967명18,009명18,229명18,698명
2014년2015년
19,193명19,140명
  1. 부역명 제외하고 51자, 부역명 포함하면 70자가 된다. 현재까지 대한민국에서 영문명 역명이 가장 긴 철도역이다. 공항, 버스, 지하철(도시철도), 기차역들을 포함하면 광주광역시의 한국생산기술연구원/정부광주지방합동청사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Gwangju Jeonnam Government Complex 75자가 차지한다. 한국어 명칭으로 가장 긴 대중교통 시설인 수원의 '경기도인재개발원.경기연구원.평생교육진흥원.가족여성연구원' 정류장은 영문명이 GHRDC/GDI/GNILE/GFWRI (18자)라서 Fail.
  2. 반대로 가장 짧은 역은 Isu, Ori, Mia의 세 군데이다.
  3. 사실 부경대학교는 이곳(대연동) 말고도 용당동에도 캠퍼스가 있다. 그 이유는 부경대가 기존의 부산수산대와 부산공업대의 통합으로 생긴 대학이기 때문.
  4. 그나마 경성대학교 부근에 위치한 대연혁신지구(대연 힐스테이트푸르지오)가 입주한후 용소초등학교가 2014년에 개교하였다.
  5. 한 글자씩 따긴 했지만 지하철 역 가운데 두 지명 역명과 병림픽의 원조다.
  6. 그런데 동명대 근처에는 상기 서술한 부경대 용당캠퍼스가 있다. 도시철도역 근처 캠퍼스는 부경대 산이 없는 대연캠퍼스.
  7. 이 병맛나는 작명센스는 대전 도시철도 1호선유성온천역 부역명(충남대·목원대)에도 나타났다.
  8. 다른 역은 서면역, 사상역, 센텀시티역 정도 되려나..
  9. 용호동에서 나오거나 들어가는 시내버스는 모두 경성대/부경대역을 지난다.
  10. 번화가로서의 경쟁상대가 부산 최대의 번화가인 서면이라(20분 거리)라 커지기는 어렵지만, 주변 영향권에 대학교만 4개가 있기에 무시할 정도의 규모는 아니다. CGV를 비롯해 있을건 다 있는 동네.
  11. 하차량 포함 안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