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진역

경부선·동해남부선·우암선에 있는 동명의 역에 대해서는 부산진역(부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신평 방면
초 량

0.8 km
부산진
(115)

1.0 km
노포 방면
좌 천
1호선 인입선
기점부산진경부선
부산진역

다국어 표기
영어Busanjin
한자釜山鎭
일본어釜山鎮
중국어釜山镇
역번
부산 도시철도 1호선115
300px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주소
부산광역시 동구[1] 중앙대로 지하 350
(舊 초량동 1170)
부산 도시철도
운영기관 " />?width=100
1호선 개업일1987년 5월 15일

釜山鎭驛 / Busanjin Station

  • 승강장 위치 : 지하 2층
  • 승강장 형태 : 2면 3선
  • 승강장 횡단여부 : 가능(계단이용)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1호선사 하부산진동 래
2호선경성대·부경대서 면감 전
3호선배 산연 산사 직

1 개요

500px
스크린도어 설치 전 승강장[2]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15번.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지하 350(舊 초량동 1170번지) 소재. 특이하게도 역명과 달리 부산진역은 부산진구에 있지 않다.

2 승강장

초량
좌천
부산 도시철도 1호선부산역·중앙·남포·신평 방면
부산 도시철도 1호선서면·연산·동래·노포 방면
부산 도시철도 1호선사용하지 않는 승강장

1상대 1섬식이지만[3] 사실상 상대식 승강장처럼 운용한다. 따라서 노포 방향은 섬식형이지만 노포 방향의 나머지 한 선로는 경부선에서 1호선으로 신차 등을 들여오기 위해 만든 인입선로이며 영업용으로 절대로 쓰지 않기 때문에 여닫이문으로 막아 놨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심야 중간 주박이 없기 때문에 주박용으로도 쓰이지 않고 있다. 노포역 방면 승강장에서 이 인입선로를 난간 너머로 바라보면 매우 오싹한 느낌이 들 것이다.

500px
한때 노출되었던 쓰이지 않는 승강장. 그나마도 2016년 5월 말에 인입선로를 블럭으로 막고 있는 것이 포착되었다.

이 인입선로는 위성사진으로 관측할 경우 경부선 선로에서 도로쪽으로 뻗어나와서 사라지는것처럼 보이기때문에 쉽게 찾을 수 있다.

상대식 승강장 중에서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갈 수 있는 몇 안 되는 역이다.

2016년 현재 승강장에 안전문이 설치되어 있다. 단 전술한 경부선 직결선에는 스크린도어가 아닌 여닫이 펜스로 막아 놓은 상태. 1호선 신차가 반입되어 이 선로에 한시적으로 열차가 드나드는 모습을 볼 수 있게 되었다.

3호선 개통 전에는[4] 쓰이지 않는 승강장에 신평발 부산진행 막차가 주박했다.

2016년 6월 현재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이 블럭으로 막혔다.# 전포역같이 벽으로 막아 버리는 것을 생각하면 될 듯.

3 유의사항

코레일 부산진역에 달라붙어 있지만 2005년부터 부산진역은 여객 취급을 부전역에 넘기고 화물 영업만 하기 때문에 일반인이 부산진역에서 환승할 일은 없다. 소재지도 도시철도역은 초량동에 있지만 철도 부산진역은 수정동에 있다.(그래도 역 출구로 나오면 바로 보인다)

4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
13,204명11,810명10,825명9,848명8,845명8,516명9,000명9,149명8,953명9,349명
2012년2013년2014년2015년
9,232명9,286명9,307명9,098명
  1. 부산진역임에도 부산진구가 아닌 동구에 있는 이유는 부산진 이름의 유래인 부산진성이 동구에 있기 때문이다. 이 역 역명의 유래가 된 바로 앞의 코레일 부산진역1957년 부산에 구제가 실시되면서 부산진구가 생기기 훨씬 전부터 그 자리에 있었다.
  2. 건너편 승강장을 자세히 보면 상대식 승강장인것으로 보아 노포 방면에서 찍은 것이다.
  3. (선로)(노포행 승강장)(선로)(선로)(신평행 승강장) 구조다.
  4. 서대신역과 같은 문서 등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소리인데, 이 시기에 다이아 대개정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