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도시철도 | |||||
2호선 | |||||
장산 방면 남 천 | ← 0.8 km | 경성대·부경대 (212) | → 0.9 km | 양산 방면 대 연 |
慶星大·釜慶大驛 / Kyungsung Univ.ㆍPukyong Nat'l Univ. Station [1][2]
경성대·부경대역 (동명대학교)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Kyungsung Univ.· Pukyong Nat'l Univ. |
한자 | 慶星大·釜慶大 |
일본어 | 慶星大学·釜慶大学 |
중국어 | 庆星大学·釜庆大学 |
역번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212 |
300px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크게보기 | |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 |
주소 | |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지하 324 (대연동) | |
부산 도시철도 | |
운영기관 | " />?width=100 |
2호선 개업일 | 2001년 8월 8일 |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 |||||
1호선 | 부산진 | ◁ | 서 면 | ▷ | 동 래 |
2호선 | 장 산 | ◁ | 경성대·부경대 | ▷ | 냉 정 |
3호선 | 수 영 | ▷ | 사 직 |
- 승강장 위치 : 지하 3층
- 승강장 형태 : 2면2선(상대식 승강장)
- 승강장 횡단여부 : 가능(가운데 계단 이용)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12번.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지하 324(대연동) 소재.
2 역명 논란
경성대학교와 부경대학교[3]의 대학역명 붙이기 신공으로 인해 지금의 병맛스런 역명이 되었다. 그로 인해 까이는 정도가 신창(순천향대)(한국폴리텍4대학)역와 비슷하다. 역과 대학교 간 거리 자체의 문제는 둘 다 없으나 워낙 치열한 병림픽의 결과물인지라 까이는 것이다. 경성대든 부경대든, 어디든 둘 중 한 대학만 있었더라면 충분히 개념역명에 등재될 만한 거리를 갖고 있다.
부산교통공단 측에서 경성대학교 부지에 지하철이 통과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보상으로 경성대역으로 취급을 할 예정이었다. 그런데 부경대에서 태클을 걸었고 첨예한 갈등 속에서 법정 공방까지 이어졌다. 그 와중에 대연동 주민들은 그러느니 차라리 옛 지명인 '용소역'으로 지정해달라고 요구했는데, 정작 그 옆동네인 문현동과 용호동에서는 용소? 그 동네 어디있어요?라고 깔 정도로 생소한 지명이었다.[4] 어쨌든 이렇게 갈등이 지속되자 결국 부산교통공단(지금의 부산교통공사) 역명위원회는 토론 끝에 두 대학의 이름을 딴 경성대·부경대역으로 역 이름을 결정하였다. 석계역[5], 천안아산역, 학동·증심사입구역, 평내호평역, 가평(자라섬·남이섬)역, 김천(구미)역, 매탄권선역,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등의 두 지명 역명 중에서도 가장 병맛이 심한 케이스다.그래도 총신대입구보다는 몇천 배는 낫다. 경성대, 부경대는 둘 다 거리라도 가깝지...
파일:Attachment/make 1296307406767.jpg
게다가 부역명마저도 동명대학교라 한 역에 대학교 이름이 3개가 붙은 초 막장상황이 발생.[6] 아, 이건 아니네.(...) 덕분에 분쟁지역이란 이름으로 이 역의 짤방이 돌아다녔다.[7] 하지만 이 대학교 바로 앞에는 부산 최대 랜드마크 중 하나인 UN기념공원(속칭 UN묘지)이 있다. 대연역이 미묘하게 가깝긴 하지만 동명대학교보다는 아주 미묘하게 이 역과도 가깝다. 한마디로 동명대학교가 비집고 들어갈 만한 자리는 아니라는 것.
여담으로 부산 도시철도 용호선 계획에 따르면 부경대 정문 앞에도 역 하나가 생길 예정으로 다른 중요시설이 마땅히 없는 여기에 역이 생긴다면 위치상 부경대 관련된 역명이 유력한데 부경대역이 따로 있게 된다면 이 역에서는 부경대 이름을 빼야 할 수도 있다. 아니면 총신대입구역처럼 부경대 정문 앞 역이 용소역이 될지도 다만 용호선이 처음 계획된 후 10년이 넘도록 지지부진한 상태라 언제 그렇게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서울에 사는 친구가 올해 안에 생길 수도...
무슨 소리! 내가 더 절친이다!
3 역 정보
3.1 구조
주변에 번화가와 대형 주거지역이 있다는 특성이 고려되어서인지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2호선 내에서 완전밀폐형으로 설치된 몇 안되는 역이다.[8]
나머지 역사 내에 설치된 스크린도어는 반밀폐형이다.
3.2 승강장
남천 ↑ | |||
하 | ㅣ | ㅣ | 상 |
↓ 대연 |
상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광안·수영·해운대·장산 방면 |
하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서면·사상·덕천·양산 방면 |
4 역 주변 지역
기본적인 수요는 역 이름으로 붙은 두 대학의 등교수요, 역 인근의 대연비치, 대연 푸르지오, 대연 롯데캐슬, 대연 힐스테이트푸르지오등 여러 대단지 아파트주민들의 수요와, 역 인근에 위치한 도시철도 비수혜 지역이며 대단지 아파트들이 밀집한 지역인 용호동의 주민들도 주로 이 역을 이용한다. 용호동으로 가는 시내버스 연계도 잘 되어있기에[9] 용호동쪽 도시철도 수요까지 이 역이 붙잡고 있다. 거기에 주변동네는 대학로다 보니 상당한 번화가가 조성되어 있다.[10] 한마디로 수요가 없을래야 없을 수 없는 동네. 다만 최대 수요가 대학 2곳의 등교수요다 보니 개학 때와 방학 때의 차이가 엄청난 편. 개학 때는 승하차 합계로 4만 정도로, 사상역(서부터미널), 센텀시티역 등 2호선 최상위권 역들에게 명함 들이밀 수준은 되는데, 방학 때는 3만 바로 밑으로 떨어진다... 물론, 등교수요가 빠진 숫자도 충분히 많은 수치기는 하다.
5 일평균 승차량[11]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14,177명 | 14,330명 | 14,832명 | 14,314명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13,699명 | 13,060명 | 15,049명 | 15,899명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16,967명 | 18,009명 | 18,229명 | 18,698명 |
2014년 | 2015년 | ||
19,193명 | 19,140명 |
- ↑ 부역명 제외하고 51자, 부역명 포함하면 70자가 된다. 현재까지 대한민국에서 영문명 역명이 가장 긴 철도역이다. 공항, 버스, 지하철(도시철도), 기차역들을 포함하면 광주광역시의 한국생산기술연구원/정부광주지방합동청사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Gwangju Jeonnam Government Complex 75자가 차지한다. 한국어 명칭으로 가장 긴 대중교통 시설인 수원의 '경기도인재개발원.경기연구원.평생교육진흥원.가족여성연구원' 정류장은 영문명이 GHRDC/GDI/GNILE/GFWRI (18자)라서 Fail.
- ↑ 반대로 가장 짧은 역은 Isu, Ori, Mia의 세 군데이다.
- ↑ 사실 부경대학교는 이곳(대연동) 말고도 용당동에도 캠퍼스가 있다. 그 이유는 부경대가 기존의 부산수산대와 부산공업대의 통합으로 생긴 대학이기 때문.
- ↑ 그나마 경성대학교 부근에 위치한 대연혁신지구(대연 힐스테이트푸르지오)가 입주한후 용소초등학교가 2014년에 개교하였다.
- ↑ 한 글자씩 따긴 했지만 지하철 역 가운데 두 지명 역명
과 병림픽의 원조다. - ↑ 그런데 동명대 근처에는 상기 서술한 부경대 용당캠퍼스가 있다. 도시철도역 근처 캠퍼스는 부경대
산이 없는대연캠퍼스. - ↑ 이 병맛나는 작명센스는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의 유성온천역 부역명(충남대·목원대)에도 나타났다.
- ↑ 다른 역은 서면역, 사상역, 센텀시티역 정도 되려나..
- ↑ 용호동에서 나오거나 들어가는 시내버스는 모두 경성대/부경대역을 지난다.
- ↑ 번화가로서의 경쟁상대가 부산 최대의 번화가인 서면이라(20분 거리)라 커지기는 어렵지만, 주변 영향권에 대학교만 4개가 있기에 무시할 정도의 규모는 아니다. CGV를 비롯해 있을건 다 있는 동네.
- ↑ 하차량 포함 안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