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여왕의 남편
國壻
비교적 유명한 명칭은 아니나, 동양권에서 여왕의 남편을 이르는 호칭이다. 부마를 뜻하기도 한다.
1.1 실존인물
현재 재위중인 국서는 ★표시
국가 | 국서 | 배우자 | 출생 | 사망 | 비고 |
한국 | 음갈문왕(飮葛文王) | 선덕여왕 | ? | ? | [1][2] |
김위홍 | 진성여왕 | ? | 888 | ||
중국 | 당고종 | 측천무후 | 628.7.21 | 683.12.27 | [3] |
영국 | 프랑수아 2세 | 메리 스튜어트 | 1544.1.19 | 1560.12.5 | [4] |
헨리 스튜어트 | 1545.12.7 | 1567.2.10 | |||
윌리엄 3세 | 메리 2세 | 1650.11.4 | 1702.3.8 | [5] | |
컴벌랜드 공작 조지 | 앤 | 1653.4.2 | 1708.10.28 | ||
앨버트 공 | 빅토리아 | 1819.8.26 | 1861.12.14 | ||
에든버러 공 필립 마운트배튼 ★ | 엘리자베스 2세 | 1921.6.10 | (현재) | ||
네덜란드 |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헨드릭 | 빌헬미나 | 1876.4.19 | 1934.7.3 | |
리페비스터펠트의 베른하르트 | 율리아나 | 1911.6.29 | 2004.12.1 | ||
클라우스 폰 암스베르크 | 베아트릭스 | 1926.9.6 | 2002.10.6 | ||
오스트리아 | 프란츠 1세 | 마리아 테레지아 | 1708.12.8 | 1765.8.18 | [6] |
스페인 | 페르난도 2세 | 이사벨 1세 | 1452.3.10 | 1516.6.23 | |
카디스 공작 프란시스코 | 이사벨 2세 | 1822.5.13 | 1902.4.17 | [7] | |
러시아 | 알렉세이 라즈모프스키 | 엘리자베타 여제 | 1709.3.17 | 1771.7.6 | [8] |
표트르 3세 | 예카테리나 2세 | 1728.2.21 | 1762.7.17 | [9] | |
팔미라 제국 | 오데나투스 | 제노비아 | 220 | 267 | |
이집트 | 투트모세 2세 | 하트셉수트 | ? | BC1479 | [10] |
1.2 가상인물
작품 | 국가 | 국서 | 배우자 | 비고 |
이상적인 기둥서방 생활 | 카파 왕국 | 야마이 젠지로 | 아우라 카파 |
2 임금의 사위
부마 문서 참조
3 國書
국가 원수가 국가 이름으로 보내는 외교문서
나라의 역사나 문장 따위에 대한 책
4 國瑞
나라에 길한 일이 있을 조짐
5 局署
관청과 그 부속기관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관서(官署)와 같은 말이다.- ↑ 음갈문왕은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으며, 위서 논란이 있는 필사본 화랑세기에는 김용춘, 흠반, 을제가 선덕여왕의 남편이라고 써 있다.
- ↑ 대왕의 꿈에서는 음(飮)을 반(飯)의 오기로 보는 설을 차용해서, 진덕여왕의 아버지인 국반 갈문왕 김국반과 선덕여왕이 혼인하는 것으로 설정하기도 했다. 드라마에서 마음대로 지어낸 설이 아니라 학계에서도 음갈문왕을 오기로 보는 시각이 있다.
- ↑ 당고종이 살아있을때는 고종이 황제고 측천무후는 황후였으나, 당고종이 죽고 나서 측천무후가 황제가 됐으므로 당고종이 살아있을 때 국서였던 적은 없다.
- ↑ 스코들랜드 입장에서 보면 국서.
- ↑ 정확히는 공동 왕이다.
- ↑ 마리아 테레지아(1번 항목)의 남편으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다.
- ↑ 이사벨 2세의 사촌.
- ↑ 엘리자베타 여제의 남편 혹은 애인. 여제와의 사이에 딸이 둘 있었다고 한다.
- ↑ 아내가 제위에 오르고 여드레 후 감옥에서 죽었다.
- ↑ 다만, 이집트의 파라오는 남여 공동 통치자이기 때문에 단순히 여왕의 남편만으로 보기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