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 출신 문인

1 개요

말그대로 군대를, 주로 장교로 간 문학가를 의미한다. '문인 장교'나 '언론인 장교'라고 부르기도 한다. 주로 국방부에서 발행하는 잡지, 신문에 소설, 수필, 기행문이나 홍보에 가까운 문학 작품을 연재하는 경우가 많다. 사병들을 위해 반공틱한 소설을 연재하는 정훈장교도 마찬가지다.

유명한 군인 출신 문인은 앰브러스 비어스(그 유명한 악마의 사전 작가)로 아예 처음부터 끝까지 미국남북전쟁을 다 겪었다. 한국은 선우휘선생이 있으며 이 사람은 육군 대령(정훈장교)출신으로 제대 후 소설을 발표해서 신춘문예에 등단했는데 군복차림으로 등단했으며 선우휘는 군인 출신답게 전쟁이나 특수작전에 대한 소설들을 많이 발표했다. 그 덕인지 선우휘의 몇주기 추모식에는 군 장교 출신 문인들이 많이 참석했다고 한다. 기사 :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606130080

보통 군 장교 출신 문인들은 영관급 장교군 장성들이 굉장히 많고 글을 쓸수 있는 이라든가, 글솜씨가 충분한 나이이지만 뭐니 뭐니 해도 경험이 많기 때문이다. 문학뿐만 아니라, 예술의 경우, 기존의 예술 작품들은 읽고 볼 수 있지만, 경험은 세월만이 채워줄수 있기 때문이며 그리고 군대에서 생활하는 특성상, 인간의 다양한 측면을 볼 수 있다.

문학을 하고 싶다면 다양한 경험을 쌓아보길 권하지만 사실 군인 출신 문인들 대부분은 동인문학-메이져급 출판사 문학이 아님-인 경우가 많으며 군인은 공무원이기에 부업금지이지만 집필활동은 가능하다. 군대에서 책을 내면 뒤끝이 안 좋으며 상관한테 허락도 받아야 하고... 근데 이상하게도 번역은 가능하다.

온라인 게임 중독 소설을 다룬 팔란티어는 군의관이 쓴것이다.

2 각 국가별

2.1 국내

군사정부 시절에는 군인들이 각부서의 요직을 차지했었고, 예술 분야에서도 예외는 아니어서 군인 출신의 화가나 군인 출신 소설가 및 영화 감독도 있었다. 사실 주 임무는 검열이었다.

2.2 해외